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Relationship Enhancement Training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1, pp.43-62
https://doi.org/10.17315/kjhp.2014.19.1.00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Relationship Enhancement(MBRE) training for marital satisfaction levels. Middle-aged married women were assigned to either the training or control group. MBRE training consists of 8 sessions. Participants have completed Mindfulness Scal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Marital Intimacy Scale, Dyadic Adjustment Scale at pre-training, post-training and 4 weeks of follow-up test periods. The MBRE training significantly increased marital satisfaction, mindfulness, and marital intimacy whereas it significantly decreased marital stress. The effects were still maintained at the follow- up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BRE has positiv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levels through changing the mindfulness,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stre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being discussed.

keywords
마음챙김, 관계증진, 결혼만족도, 부부 스트레스, 부부 친밀감, mindfulness, marital stress, marital intimacy, marital satisfaction. relationship enhancement

Reference

1.

권정혜. 채규만 (2000). 부부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207-218.

2.

김명자 (1992). 중년기 부부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가족응집력, 적응력 및 복지감 연구. 논문집 33, 31-56. 12월. 숙명여자대학교.

3.

김수진(2012). 중년여성의 부부 친밀감, 우울과 갱년기증상과의 관계.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연수(2010). 가족탄력성 접근을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59-90

5.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 심리학회지:건강, 6, 23-58

6.

박성현 (2006). 마음챙김 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소병숙(2009). 결혼이민여성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이론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오명선(2010). 교류분석-집단미술치료가 부부 친밀감과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오윤선 (1995). 한국 부부들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상관연구 : 기독교인 부부 중심으로. 논문집 3(95. 5), 27-68. 한국성서신학교 선교문제연구소.

10.

이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기복 (2006).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수용프로그램.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이미나 (2000). 흔들리는 중년 두렵지 않다 : 이미나 서울대교수의 준비된 마흔을 위한 가이드 31. 서울: 한겨레신문사.

13.

이민식, 김중술 (1995). 부부관계 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의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 ‘95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99-299.

14.

이우경 (2008). 중년기 여성의 마음챙김, 스트레스,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정우, 이윤미 (1995). 배우자에 대한 가정 내 역할기대·수행평가의 차이가 부부 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 서울시 거주 부부를 대상으로. 숙명여자대학교 한국학 연구, 5(‘95, 12), 205-240.

16.

이지은, 윤호균 (2007). 기혼여성의 마음챙김과 부부의사소통패턴, 결혼만족도의 관련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331-345.

17.

이현숙 (1998). 인지 행동적 부부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형득 (1987). 인간관계 훈련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

임영희 (2004). 중년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관한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장병옥 (1985). 도시주부의 스트레스 인지수준 및 적응방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장춘미 (2001).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 지지 및 갈등해결 행동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511-538.

23.

장현갑 (2006). 마음챙김 명상. 한국임상심리학회 동계연수회 자료집, 1, 25-86

24.

전경아 (1991). 도시부부의 스트레스와 적응방법에 관한연구: 서울시 부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규련 (2005). 이혼의 심리사회적 원인과 상담적 함의. 상담학연구 제6권, 3, 1025-1040

26.

최유경 (2003). 결혼 초기 부부의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방안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통계청 (2009). 연도별 총 이혼 건수 및 증감률.

28.

하은혜, 오경자, 김은정(1999). 기혼여성의 우울증상에따른 양육 스트레스와 부부관계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79-93.

29.

홍미기(2009).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부적응에 관한연구: 사회적 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Aron, A. & Aron, E. N. (1997). Self-expansion motivation and including other in the self. In S. Duck (Ed.). Handbook of personal relationships: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s. 251-270, Chichester, UK: Wiley.

31.

Astin, J. A. (1997). Stress reduction through mindfulness meditation: Effects on psychological symptomatology, sense of control, and spiritual experiences. Psychotherapy & Psychosomatics, 66, 97-106.

32.

Bishop, S. R., Lau, M., Shapiro, S., Carlson, L., Anderson, N .D., Carmody, J., Segal, Z. V., Abbey, S., Speca, M., Velting, D. & Devins, G. (2004).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Science and Practice, 11, 230-241.

33.

Burpee, L. C. & Langer E. J. (2005). Mindful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2, 43-51.

34.

Carson, J. W. (2002).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for relationship enhancement.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35.

Carson, J. W., Carson, K. M., Gil, K. M., & Baucom, D. H. (2004). Mindfulness-based Relationship Enhancement. Behavior Therapy, 35, 471-494.

36.

Guerney, G. B. Jr. (1977). Relationship Enhancement. San Francisco : Jossey-Bbass.

37.

Coleman, J. C. (1984). Intimate relationships, marriage, and family. Indianapolis: The Bobbs-Merrill.

38.

Halford, M. K., Sander, M. K., & Behrens, B. C.(1994). Self-regulation in behavioral couples therapy. behavioral therapy, 25, 431-452

39.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40.

Holmes, T. H. & Rahe, R. H. (1976). The social readjustma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41.

Kabat-Zinn, J. (1990/1998). Full catastrophe living: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Delta(명상과 자기치유(상, 하). 장현갑, 김교헌, 장주영 공역. 2005. 서울: 학지사).

42.

Kabat-Zinn, J. (1996). Mindfulness Meditation. What It Is, What It Isn't, and Its Role in Health Care and Medicine, in Haruki, Y. and Suzuki, M. (eds) Comparative and Psychological Study on Meditation. Eburon, Delft, Netherlands, 161-170.

43.

Karney, B. R. & Bradbury, T. N. (1995).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 review of theory, methods,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18, 3-34.

44.

Kinnunen, U. & Pulkkinen, L. (1998). Linking economic stress to marital quality among Finnish marital couples. Journal of Family Issues, 19, 705-724.

45.

Linehan, M. M. (1993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for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substance abuse. National Institude for Drugs Abuse Research Monographys, 137, 201-216.

46.

Martin, R. J. (1997). Mindfulness: A Proposed Common Factor,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rgration, 7, 291-312.

47.

Nock, S. L. (1981). Family life Transitions:Longitudinal effects on family membe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 703-714.

48.

Sayers, S. L., Kohn, C. S., & Heavey, C. (1998). Prevention of marital dysfunction Behavioral approaches and beyond. Clinical Psychology Review, 18, 713-744.

49.

Spanier, G. B. (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 15-28.

50.

Shapiro, S. L., Schwartz, G. E., & Bonner, G. (1998).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on medical and premedical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 581-599.

51.

Shapiro, L., Schwartz, G., & Santerre, C. (2005). Meditation as an adjunct to a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1, 269-273

52.

Teasdale. J., Pope, M,, Moore, R. G., Willimas, S. & Segal, Z. (2002).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relapse in Depression: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 275-287.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