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Symptoms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Hwa-Byung among Middle-Aged Women with Hwa-Byung Disord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1, pp.83-98
https://doi.org/10.17315/kjhp.2014.19.1.005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 meditations for reducing symptoms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Hwa-Byung(a cultural-specific Korean disorder) among middle-aged Korean females with Hwa-Byung. The present sample consisted of 18 participants (mean age=41.33 years; SD=3.53)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met the criteria for Hwa-Byung.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n=9) or a waitlist control group (n=9). The women from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participated in 8 weekly sessions in s small group format (3-6 participants per group), which lasted for approximately 20 minutes per session. Symptom changes were monitored by using the Hwa-Byung symptom scal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Stress Response Index. Results revealed that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arger pre-post differenc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for all outcomes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Hwa-Byung sympto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dfulness meditations can be effective for the alleviation symptoms associated with Hwa-Byu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Mindfulness Meditation, Hwa-Byung, Depression, Anxiety, Stress, 마음챙김 명상, 화병, 우울, 불안, 스트레스

Reference

1.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개발. 대한정신의학회지, 39, 707-719.

2.

권정혜, 김종우, 박동건, 이민수, 민성길, 권호인 (2008). 화병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237-252.

3.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Korean Manual of Symptom Cheklist-90-Revision, 서울 : 중앙적성연구소.

4.

김도연 (2006). 마음챙김 명상 및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보민 (2008).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선옥 (2008).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정규 (2003). 비파사나 명상과 인지행동 치료를 통합한 불안장애의 게슈탈트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475-503.

8.

김정택, 신동균 (1978). STAI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21(11), 69-75.

9.

김정호 (1994). 인지과학과 명상. 인지과학, 4 & 5, 53-84.

10.

김정호 (1995). 마음챙김 명상의 소집단 수행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11, 1-35.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1.

김정호 (1996a). 위빠싸나 명상의 심리학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4, 35-60.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2.

김정호 (1996b). 한국의 경험적 명상연구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3, 79-131.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3.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23-58.

14.

김정호, 조현진 (2002). 마음챙김명상을 통한 체중조절프로그램의 실체. 학생생활연구, 18, 83-109.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15.

김정호 (2004a).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511-538.

16.

김정호 (2004b). 마음챙김 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 4(2), 27-44.

17.

김정호 (2004c). 마음챙김 명상에서의 안과 밖의 문제. 사회과학연구, 10, 143-155.

18.

김정호 (2006). 마음챙김 명상의 교육을 위한 제언. 스트레스 硏究, 14(4), 281-286.

19.

김정호 (2011). 마음챙김 명상 멘토링. 서울: 불광출판사

20.

김종우 (1997). 홧병. 서울 : 여성신문사.

21.

김종우 (2004). 화병에 대한 한의학의 이해. 의학행동과학, 3(1), 103-107.

22.

류려선 (2007). 마음 챙김 명상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3.

문현미 (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 3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삼리치료, 17(1), 15-33.

24.

문현미 (2005).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25.

민성길, 이만홍, 강홍조, 이호영 (1987). 홧병(火病)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의학협회지, 30, 187-197.

26.

민성길 (1989). 홧병의 개념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28(4), 604-616.

27.

민성길, 남궁기, 이호영 (1990). 홧병에 대한 일 역학적연구. 신경정신의학, 29, 867-874.

28.

박성현 (2007). 위빠싸나 명상, 마음챙김, 그리고 마음챙김을 근거로 한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 7(2). 83-105.

29.

박성현, 성승연 (2008). 자기-초점적 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27-1147.

30.

박영주, 김종우, 조성훈, 문소현 (2004). 화병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4(6), 1035-1046.

31.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73-688.

32.

서경현, 오경희 (2009).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건강에 대한 삶의 기대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633-648.

33.

이명주 (1993). 심리학적 측면에서 본 명상의 세계. 學生生活硏究, 18, 숙명여자대학교 학생생활지도연구소.

34.

이미경(2009).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이 이혼 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5.

이봉건, 신재숙 (2007). 단기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K-MBSR)의 스트레스 감소효과 - ∥형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 -.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7(2), 63-68.

36.

장현갑 (1990). 명상과 행동의학: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자기조절 기법으로서의 명상. 學生硏究, 21. 영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7.

장현갑 (1996). 명상의 심리학적 개관: 명상의 유형과정신생리학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5-33.

38.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39.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 -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59-76.

40.

전종희, 이우경, 이수정, 이원혜 (2007).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 201-212.

41.

한주희 (2007). 마음챙김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매커니즘. 보건과 사회과학, 22, 127-151.

42.

Bond, F. W., & Bunce, D. (2000). Mediators of change in emotion-focused and problemfocused worksit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 156-163.

43.

Bond, F. W., & Bunce, D. (2003). The role of acceptance and job control in mental health,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 1057-1067.

44.

Brown, G. W., & Harris, T. O. (1989). Life events and illness. London: Guilford.

45.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46.

Carlson, L. E., Speca, M., Patal, K. D., & Goodey, E. (2003).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in relation to quality of life, mood, symptoms of stress and levels of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DHEAS) and melatonin in breast and prostate cancer outpatients. Psychoneuroendocrinology, 28, 1-27.

47.

Cooper, M., & Aygen, M. (1978). Effect of meditation on blood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Journal of the Israel Medical Association, 95, 1-2.

48.

Derogatis, L. R. (1971), Neurotic Symptom Dimensions, Arch. Gen. Psychiatry, l(24), 454-464.

49.

Goleman, D., & Schwartz, G. (1976). Meditation as an intervention in stress reactivity. Jou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 456-466.

50.

Holmes, T. H. (197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quantitative measure of life change magnitude. In J. E. Barrett (Ed), Stress and mental disorder. New York: Raven.

51.

Kabat-Zinn, J., & Burney, R. (1985). The clinical uses of mindfulness meditation for the self regulation of chronic pai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8, 163-190.

52.

Kabat-Zinn, J., Lipworth, L., & Sellers, W. (1987). Four-year of meditation-based program for self-regulation of chronic pain: treatment outcomes and compliance. Clin Journal Pain, 2, 159-173.

53.

Kabat-Zinn J., Massion, A. O., Kristeller, J., Peterson, L. G., Fletcher, K. E., Pbert, L., Lenderking, W. R., Santorelli, S. (1992). Effectiveness of a meditation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Am J Psychiatry, 149(7), 936-943.

54.

Kabat-Zinn, J. (1998). 명상과 자기치유 [Full Catastrophe living: The program of the Stress Reduction clinic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Center]. (장현갑, 김교헌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에 출판)

55.

Kabat-Zinn, J. (2003).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psychology-cary, (10)2, 144-156.

56.

Kessler, R. C., & Magee, W. J. (1993). Childhood adversities and adult depression: basic patterns of association in a U.S. national survey. Psychological Medicine, 23, 679-690.

57.

Linehan, M. M., Armstrong, H. E., Suarez, A., Allmon, D., & Heard, H. L. (1991).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chronically parasuicidal borderline patien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8, 1060-1064.

58.

Miller, J. J., Fletcher, K., & Kabat-Zinn, J. (1995). Three-year follow-up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a mindfulness meditationbased stress reduction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7, 192-200.

59.

Radol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60.

Schneider, R. H., Staggers, F., Alexander, C. N., Sheppard, W., Rainforth, M., Kondwani, K., Smith, S., King, C. G. (1995).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tress reduction for hypertension in order African Americans. Hypertension, 26(5), 820-827.

61.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 Altro, CA: Consulting Psychology Press.

62.

Strosahl, K. D., Hayes, S. C., Bergan, J., & Romano, P. (1998). Assessing the field effectivenes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ample of the manipulated training research method. Behavior Therapy, 29, 35-64.

63.

Teasdale, J. D., Segal, Z. V., & Williams, J. M. (1995). How does cognitive therapy prevent depressive relapse and why should attentional control(mindfulness) training help?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3, 25-39.

64.

Vroom, P. S. (2002). Meditation as a moderator of the effect of optimism on positive coping for cancer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