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이들의 자아존중감 및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남부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273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척도, 시험불안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였다. 연구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가 시험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민주적 양육태도와 허용적 양육태도는 시험불안에 대하여 부적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차이도 나타났는데 아버지의 양육태도 보다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시험불안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권위적 양육태도수준이 높으면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낮고,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민주적 양육태도수준이 높으면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아존중감은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권위주의형 양육태도와 시험불안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parenting, and students’ test-anxiety and self-esteem within the third graders of high school. A total of 363 third yea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Yong-in Area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s’ authoritarian attitude and the students’ level of test-anxie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self-esteem varied according to whether both of their parents were authoritarian or liberal. Third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and test-anxiety was prove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김문주, 이혜성 (1991). 부모양육태도가 자녀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정신의학 제2권 제1호.
김애리 (1991). 부모양육태도와 학업배려가 자녀의 시험불안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은숙 (1990). 한국학생들의 연령에 따른 시험불안 추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희, 안귀여루 (2013).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지, Vol.18, No.4.
김지연 (1999). Elchoness의 Enrichment프로그램효과연구 : 청소년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정희, 신현숙 (2006). 시험불안, 동기적 성취전략 및학업적 유능감의 관계 모형검증. 한국상담학회지, Vol.7, No.1.
박순환 (1986). 시험불안성공-실패경험 및 자기지향적주의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경미 (2007). 아동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사회불안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희정 (1993). 가정환경과 아동의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모형 체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숙 (1988).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양육태도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시형, 이세용, 정현희, 박현선 (1997). 부모-자녀관계와 청소년기 심리사회적 적응. 삼성생명 사회 정신건강연구소연구보고서제97-7호.
임영희 (2008). 아동이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영향.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수철 (1989). 시험불안의 측정. 신경정신의학 제28권제4호.
조수철 (1991). 시험불안의 개념과 이론.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2권 제1호.
조진희 (1998). 여고생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요인계 관한 연구. 이화여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최보가, 전귀연 (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대한 연구(Ⅰ). 대한가정학회지, 제31권 2호
통계청 (2010).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44310
Barber, B. K (Eds.). (2002).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ecis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aumrind, Diana (1991).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 Development." pp.746-758 in Richard M.Lerner,Anne C. Peterson, and Jeanne Brooks-Gunn (eds.). Encyclopedia of adolescence. Garland Pub.Co. : New York London.
C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H. Freeman.
Fishbein, M. (1975). Attitude intension and behavior:Anintroduction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esachusetts:Addison-Wesley.
Gaudry, E & Spielberger, C. D. (1971). Anxiety and Educational Achievement. NewYork:. Johnwiley.
Pope, A. W., McChale, S. M., Craighead, W. E. (1988). Self-esteem enhancemen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Pergamon Press.
Purkey, W. W. (1967). The self 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Florida Educ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ouncil.
Sarason, I. G (1972). Test anxiety and the mondel who fai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22, 410-413.
Sieber, H. (1980). Mathematische Formeln-Erweiterte Ausgube E.Ernst klelt, Stuttgart, Germany.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c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rntory. Pal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Symonds. P. M. (1949).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N.T.: Bureau of publicatons, Teachers collage. Columbi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