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음상태분석 모형에 따른 여고생의 학교 적응과 성격강점: 자발적 참여 여고생을 중심으로

School Adjustment and Character Strength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States of Mind Analysis Model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4, pp.1019-1040
https://doi.org/10.17315/kjhp.2014.19.4.008
이은경 (덕성여자대학교)
김연수 (청담심리클리닉)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마음상태분석 모형에 따라 청소년들의 학교 적응 및 성격강점에서 집단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긍정심리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서울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고생 192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대화집단(PD), 갈등적 대화집단(ID), 부정적 대화집단(ND)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집단에 따라 역기능적 신념, 정서, 학교적응, 주관적 웰빙 그리고 성격강점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마음상태분석비(SOM ratio)에 따라 역기능적 신념, 긍정 정서, 부정 정서, 학교적응에서 차이가 있었고, 삶의 만족에서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즉 긍정적 사고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긍정적 대화집단(PD)은 갈등적 대화집단(ID)이나 부정적 대화집단(ND)보다 역기능적 신념은 낮고, 학교적응을 잘 하며 긍정 정서, 부정 정서의 점수가 둘 다 높았다. 둘째, 성격강점 하위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긍정적 대화집단(PD)은 갈등적 대화집단(ID)이나 부정적 대화집단(ND)보다 호기심과 지혜, 사랑과 사회지능, 끈기 및 진실성, 활력 등의 성격강점에서 더 높은 점수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성격강점 중 창의성, 개방성, 학구열, 이타성, 겸손, 신중성, 종교성 등에서는 유의한 집단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가 논의되었다.

keywords
마음상태분석, 마음상태분석비, 성격강점, 긍정적 자동적 사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 states of mind, character strengths, positive automatic thought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bstract

The study examined if there are group differences in female teenagers’ school adjustment and character strengths according to the states of mind analysis model. Female students from a high school in Seoul, South Korea, volunteered to participate. The 192 students were assigned to Positive Monologue (PD), Internal Dialogue of Conflict (ID), and Negative Dialogue (ND) groups. We investigated group differences in dysfunctional beliefs, emotion, school adjustment, life satisfaction, and character strengths. Differences were evident in dysfunctional beliefs, school adjustments,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atio of state of mind. Compared to ID and ND students, PD students who had a more positive state of mind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dysfunctional beliefs and to more readily adjust to school. Compared to ID and ND students, PD students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character strengths, such as curiosity, wisdom, love, social intelligence, persistence, honesty, and vitalit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character strengths of creativity, open-mindedness, love of learning, kindness, modesty, prudence, and spiritualit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마음상태분석, 마음상태분석비, 성격강점, 긍정적 자동적 사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 states of mind, character strengths, positive automatic thought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참고문헌

1.

권석만, 김지영, 하승수 (2012). CST-A 메뉴얼(Character Strengths Test for Adolescents; 성격강점검사–청소년용). 학지사.

2.

권혁희 (2002). 우울에 있어서의 부정적, 긍정적 자동적사고와 인지균형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3(2), 305-321.

3.

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 (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4.

김문열 (2009). 외향성과 감사훈련 방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5.

김아영 (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5(1), 157-184.

6.

김아영, 이명희 (2008). 청소년의 심리적 욕구만족, 우울경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구조와 학교급간 차이. 교육심리연구, 22(2), 423-441.

7.

김원경, 우남희 (2002).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심리적관련 변인 연구. 한국아동학회. 23, 1-16.

8.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 287-315.

9.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53-484.

10.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325-345.

11.

김정호 (2008). 긍정심리학과 한의학.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3), 1-22.

12.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2009). ‘삶의 만족’은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 187-205.

13.

김정호 (2009). 통합동기관리 혹은 통합동기치료; 인지행동치료의 새로운 흐름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4(4), 677-697.

14.

김종민, 제영신, 김종심 (2009). 청소년들의 독서습관과자기조절능력 중 노력과 끈기와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논문집, 645-670.

15.

노지혜, 이민규 (2011).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 159-183.

16.

성지희, 정문자 (2007). 학교 폭력 피해아동의 학교적응과 보호요인. 한국아동학회, 28(5), 1-18.

17.

심재억 (2006, 5, 8). 우울성향인가 조울병인가.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에서 2006, 5, 8, 인출.

18.

안나영 (201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이청소년의 우울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

양재원, 홍성도, 정유숙, 김지혜 (2005). 부정적 자동적사고 질문지(ATQ-N)와 긍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ATQ-P)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3), 631-646.

20.

용란숙 (2008). 청소년의 학교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1.

이명숙, 이규민 (2009).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0(1), 167-193.

22.

이용주 (2010). 청소년의 성격적 강점과 학교적응과의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3.

이은경 (2000). 경조성 성격과 충동적 성격의 사회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은경, 권정혜 (미간행). 마음상태 분석모델에 따른 경조증, 우울성향, 통제집단의 자동적 사고 비교: 여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5.

이은경, (미간행). MMPI-A를 통한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조성(hypomania)에 관한 연구: 여자고등학생을 중심으로.

26.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27.

임승락, 김지혜 (2001). 감성판단에 대한 SOM(States of Mind)모형 : 긍정적/부정적 정보의 비대칭성. 감성과학회지, 4(2), 69-77.

28.

임승락, 김지혜 (2002). SOM(States of Mind) 모형에따른 긍정적/부정적 사고의 인지적 균형I: 일반 성인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125-146.

29.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2).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261-278.

30.

장혜정 (2009).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타당화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31.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32.

차경호, 김명소 (2002). 개별발표 : 발달;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 논문집, 203-209.

33.

최은미 (2009). 성격적 강점이 성인의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34.

하승수 (2012).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기질이 정신건강에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5.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1993년 대 2013년 청소년 고민 상담 비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36.

한상규 (2006). Enright의 용서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석사논문.

3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8.

Barnett, P. A. & Gotlib, I. H. (1988). Dysfuntional attitudes and psychosocial: The differential prediction of future psychological symptomatology. Motivation and Emotion, 3, 251-270.

39.

Barnett, P. A. & Gotlib, I. H. (1990).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men and wome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47-61.

40.

Beck, A, T., Rush, A, J., Shaw, B. F., & Emery. G. (1979).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New York : Guilford Press.

41.

Beck, A. T. (1964). Thinking and depressionⅡ.:Theory and therap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0, 561-571.

42.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43.

Bjourklund, D. F. (2007). Why youth is not wasted on the young. Blackwell publishing.

44.

Carver, C. S. & Scheier, M. F. (1981). Attention and self-regulation: A control-theory approach to human behavior. New York : Springer-Verlag.

4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46.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47.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48.

Ellis, A. (1962).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New York: Stuart.

49.

Fredrickson, B. & Losada, M. F. (2005). positive affect and, the complex dynamic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ist, 60(7), 678-86.

50.

Gilman, R., Huebner, E. S., & Furlong, M. J. (2009).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in schools. New York: Routledge.

51.

Hamilton, E, W., & Abramson, L. Y. (1983). Cognitive patterns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A longitudinal study in a hospital setting.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2, 173-184.

52.

Hollon, S. D., & Kendall, P. C. (1980). Cognitive self-statements in depression: development of an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4, 383-395.

53.

Hollon, S. D., Kendall, P. C., & Lumry, A. (1986). Specificity of depressotypic cognitions in clinical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 52-59.

54.

Ingram, R. E., & Wisnicki, K. S. (1988). Assessment of positive automatic cogni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898-902.

55.

Johnson, J. J., & Sarason, I. G. (1979). Recent development in research on life stress. In V. Hamilton & D. M. Warburton (eds.), Human stress and cognition: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pp. 205-233). Chichester, England:Wiley.

56.

Lararus, R. S. (1966).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coping process. New York: McGraw-Hill.

57.

Lefebvre, V. A., Lefebvre, V. D., & Adams-Webber, J. R. (1986). Modeling and experiment on construing self and other.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30, 317-330.

58.

Losada, M. (1999). The complex dynamics of high performance teams.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ing, 30, 179-192.

59.

Losada, M. F., & Heaphy, E. (2004). The role of positivity and connectivity in the performance of business teams: A Nonlinear dynamic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7, 740-765.

60.

Meichenbaum, D. (1977). Cognitive-behavior modification: An integrative approach. New York:Plenum.

61.

Persons, J. B., & Rao, P. A. (1985). Longnitudinal study of cognition, life events, and depress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4, 51-63.

62.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문용린, 김인자, 원현주, 백수현, 안선영 역(2009): 성격강점과 덕목의 분류; 한국심리상담연구소

63.

Rigdon, M. A., & Epting, F. R. (1982). A test of the golden section hypothesis with elicited construc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1080-1087.

64.

Robins, C. J., & Block, P. (1989). Cognitive theories of depression viewed form a diathesis-stress perspective: Evaluations of the models of Beck and of Abramson, Seligman, and Teasdal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3, 297-313.

65.

Romany, S., & Adams-Webber, J. (1982). The golden section hypothesis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9, 89-92.

66.

Schwartz, R. M. (1997). Consider the simple screw:Cognitive science, quality improvement, and psycho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 970-983.

67.

Schwartz, R. M., & Garamoni, G, L. (1989). Cognitive balance and psychopathology: Evaluation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positive and negative states of mind.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Review, 9, 271-294.

68.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69.

Shalit, B. (1980). The golden section relation in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71, 39-42.

70.

Tange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 (2004). High self 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2-322.

71.

Wong, S. S. (2010). States-of-Mind in Psychopatholo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Psychopathology Behavior Assessment, 32, 178-18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