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Effects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Gestalt Art Therapy and Parent Training on Mother and Children with ADHD:Preliminary Stud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4, pp.865-884
https://doi.org/10.17315/kjhp.2014.19.4.001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s of the combined treatment problem of medication, gestalt art therapy, and parent training on reducing problem behaviors, improving self-esteem acceptance of children with ADHD, and improving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of mothers. The study comprised of two groups : Combined treatment group of medication, gestalt art therapy with parent-child, and parent training(N=10), and Medication only group(N=7) to 10 weeks has been performed once a week.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raining, they were subjected to measuring problem behaviors, self-esteem and parenting skill scal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mpared group, the combined treatment group children was showed decrease in problem behaviors, and the combined treatment group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elf-esteem. The combined treatment group's mot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parenting str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gestalt art therapy and parent training was maintained, which means that the therapy still had an effect on reducing problem behaviors, improving self-esteem acceptance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 Combined treatment of Gestalt art therapy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reducing problem behaviors and improving self-esteem acceptance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disposi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Gestalt Art Therapy, ADHD, Parent Training, Combined Treatment, 게슈탈트 예술치료, ADHD, 부모훈련, 병합치료

Reference

1.

강명희 (2000).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 아동, 교사 평가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고려원 (1993). 부모훈련을 통한 주의결핍 과잉활동아의치료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도연 (200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인지행동놀이치료․부모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매선 (2006). 놀이중심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ADHD 경향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주의집중력,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세실 (1996).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장애(ADHD) 아동에 대한 약물․부모 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재원, 박홍기, 최민정 (2004). 지역사회에서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선별기준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3(2), 200-208.

7.

김정규 (1995). 게슈탈트 심리치료. 학지사.

8.

박난숙 (1992). Methylphenidate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인지, 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미형 (2002). 모-자 상호작용 미술치료가 ADHD 아동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민정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부모교육·약물 병합치료의 효과변인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순영, 곽영숙, 김미경 (1998).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9(2), 154-164.

12.

박중규, 오경자 (2004). 아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에 대한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인지행동적 부모훈련과행동적 부모훈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829-849.

13.

방진희 (2005). 저소득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 적응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변미숙 (2006).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자아존중감․안정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민정, 장은진, 정철호, 최상용 (2003).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정서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어머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69-81.

16.

송수미, 김재환 (2002). ADHD 및 우울/불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교사간 평정 일치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859-869.

17.

송윤조 (2004).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및 가족특성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5).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장애 아동에서 약물 단독 치료와 부모 훈련 병합 치료의 효과 비교. 소아·청소년정신의학, 6(4), 65-73.

19.

신민섭, 조성준, 전성영, 홍강의 (2000). 전산화된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1, 91-99.

20.

신수라 (2007). ADHD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기효능감에대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양민옥 (2008). ADHD 아동에 대한 통합치료와 약물치료 간의 효과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양현경 (2006). 인지행동놀이집단․약물의 병합치료가주의산만 아동의 행동,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오경자, 민성길, 박중규, 고려원 (1998). 아동의 비순응및 공격행동 개선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개발.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임상. 17(2), 1-15.

24.

오경자, 이혜련 (1989).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 중 평가도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 척도의 활용.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임상, 8(1), 135-142.

25.

오경자, 홍강의, 고려원, 박난숙 (1995). 주의력결핍-과잉활동 장애에 대한 약물 치료와 부모 훈련을 통한 행동 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1-14.

26.

윤선영, 구영진, 전진아, 현명호, 김효창 (2007). ADHD 아동에 대한 사회기술훈련과 부모 교육 병합 치료의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지, 건강, 12(3), 529-545.

27.

이승희 (2006). 경험적 가족놀이치료가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혜숙 (2007). ADHD 아동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9.

임자성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성신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30.

임혜정, 김혜리, 손정우, 김영랑 (2008). 학령기 ADHD 아동에 대한 사회기술훈련과 부모훈련의 병합치료효과. 아동교육, 17(1), 225-239.

31.

정선미 (2001). 복합 훈련 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합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행동수정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정영숙 (2008). ADHD 성향아동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게슈탈트 예술치료의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정운선 (200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아세텔콜린수용체 유전자 α 4와의 연합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4.

조수철, 정인과, 남민, 윤혜진 (1996).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와 우울, 불안증상과의 상호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7(2), 213-223.

35.

하은혜, 오경자 (1992).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약물치료에 따른 모-자 상호 행동과 인지적․행동적 증상의 변화. 한국심리학회, '92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 641-652.

36.

황병주, 안동현, 이재영 (2012). ADHD 치료에서 가족치료캠프의 적용.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3(2), 82-89.

37.

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2013). 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V. Washington, DC: Auther.

38.

Bakely, R. A.(1990).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 Guilford Press.

39.

Barkley, R. A. (1991). Diagnosis and assessment of at tent ion-def ici t /hyperact ivi tydisorder. Comprehensive Mental Health Care. 1, 27-43.

40.

Barely, R. A. (1996).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E. J. Mash & R. A. Barley(Eds.), Child psychopathology. New York : Guilford Press.

41.

Blom, R. (2004). The Handbook of Gestalt Play Therapy. London and hiladelphia : Jessica Kingsley Publishers.

42.

Colleen A. R. (1995). ADHD and Teens : A parent's Guide to Making it through the Tough Years. Taylor Publishing Company Dallas, Texas.

43.

Graumann, E (2006).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s a Response to Traumatic Stress. University of Pretoria etd.

44.

Greenhill, L. L. (1991).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J. M. Wiener(Eds.), Textbook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Washington, DC:American Psychiatric Press.

45.

Harris, C. A. (2000). Gestalt work with psychotics. In:Nevis, E. C. Gestalt Therapy. Perspectivies and Applications. Cambridge, MA: Gestalt Press.

46.

Harriet Wadeson(2000). Art Therapy Practice. John Wiley & Sons, Inc.

47.

Hinshaw S. P. (2000).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The search fir viable treatments, In P. C. Kendall(Ed.). Child and adolescent therapy (2nd. ed.) pp88-128. New York : The Guigord Press.

48.

John T., Lauren Stossel, Rebecca Rendleman, (2013). Beyond Rising Rates: Personalized Medicine and Public Health Approaches t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9.

Lampert, R. (2003). Gestalt Therapy with Children, Adolescents and Their Familes. Gestalt Journal Press.

50.

Lynch E & Lynch B (2003). Creative in Family Therapy: Margherita Spagnuolo Lobb, Nancy Amendt-Lyon(eds.) Creactive License : The art of Gestalt Therapy pp.239-248. New York :Springer Wien.

51.

Oaklander, V. (2006). 아이들에게로 열린 창[Windows to our Children]. (김정규, 윤인, 이영이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78에 출판)

52.

Sherod Miller & Phyllis A. Miller (2002). 채규만 역, 핵심대화, 성신심리건강연구소.

53.

Petruska Clarkson (2010). 게슈탈트 상담의 이론과 실제[Gestalt Coinselling in Action. Sage Publications]. (김정규, 강차연, 김한규, 이상희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9에 출판)

54.

Polster, E. & Polster, M. (1973). Gestalt Therapy Intergrated: Contours of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Brunner/Mazel.

55.

Ross, D. M., & Ross, S. A. (1982). Hyperactivity:Current issues, resarch, and theory(2nd. ed). New York: John Wiley and Son.

56.

Roizen, N. J., Blondis, T. A., Irwin, M., Stein, M. (1994). Adaptive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rchives of Pediatric Adolescence Medication, 148(11), pp.1137-1142.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