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용전념치료(ACT)가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Self-Esteem, Interpersonal Problem, and Ego Resilience of Adolescent with Childhood Trauma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4, pp.885-907
https://doi.org/10.17315/kjhp.2014.19.4.002
노푸른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손정락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수용-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소재의 중·고등학교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경험 질문지, 외상후 증상 수준 검사, 자아존중감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대인관계 문제 항목표를 실시하였으며 28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수용 전념 치료 집단에 14명, 대기 통제집단에 14명을 무선할당 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가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1개월 후 추적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대기 통제 집단보다 자아탄력성이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외상후 증상 수준, 대인관계 문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 수준은 추적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안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아동기 외상, 수용 전념 치료(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외상후 증상,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문제, childhood trauma experience,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ACT), post-traumatic symptoms, self-esteem, interpersonal problem, ego-resiliency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self-esteem, interpersonal problem, and ego resilience of adolescent with childhood trauma. A total of 460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of Chonbuk province completed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Child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CROPS), Self-Esteem Scale (SES), Ego-Resiliency Scale (ER), and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IIP). Twenty-eight patients who selected by 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ACT group(n=14) or the control group(n=14).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CTQ, CROPS, SES, ER, IIP at pre-test and at one month follow-up period. Our result resealed that ER in the therapy group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post-traumatic symptom,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therapy group were decreased.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아동기 외상, 수용 전념 치료(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외상후 증상,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문제, childhood trauma experience,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ACT), post-traumatic symptoms, self-esteem, interpersonal problem, ego-resiliency

참고문헌

1.

고아름 (2012). 수용-전념 치료가 죽음관련 외상경험이있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고통, 부정적 정서수준 및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석만, 김진숙, 서수균, 주리애, 유영진, 이지영 (2009). 심리도식치료. 서울: 학지사.

3.

김미희 (2011).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 안정성 및 자아존중감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136.

5.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 검사의 타당화: KIIP - C 와KIIP - PD 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1(2), 391-411.

6.

김윤희, 황순택 (2003). 부모갈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통제신념과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343-362.

7.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박선영, 도현심 (1998).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19(1), 229-244.

9.

박주희, 신현숙 (2014). 가정폭력이 아동의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발달자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1), 291-315.

10.

배활립 (201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에서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요법(EMDR)의 치료반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보건복지부 (2012). 2011 전국아동학대보고서.

12.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17-231.

13.

안현의 (2007). 복합외상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1), 105-119.

14.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15.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 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16.

유희정 (2012).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선영, 안창일 (2012).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치료의치료과정 변인과 치료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4(2), 223-254.

18.

이소라 (2010). 자기-자비와 심리적 수용, 마음챙김이용서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이유경 (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지영, 손정락 (2010).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분노간 관계에서 불안정애착과 초기 부적응 도식의매개역할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841-851.

21.

이홍림 (2004).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과 우울, 품행장애성향, 반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22.

정정엽 (2014). 최근 외상을 경험한 초등학교 아동들에대한 정동 조절 집단치료의 반응.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조용래 (2001). 불안장애에 대한 노출치료: 비판적 분석, 작용기제 및 개선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1), 229-257.

24.

주수진 (2014). 수용전념치료가 대인 외상 경험이 있는대학생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부정적 인지, 정서 조절곤란 및 경험회피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최해림 (199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증, 가정적 자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1(2), 183-197.

26.

통계청 (2008). 혼인-이혼 통계발표.

27.

한경은 (2005). 아동의 학대경험과 자아탄력성이 외상후스트레스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허정윤, 유영달 (2012).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가족과 문화, 24(1), 177-211.

29.

Alden, L. E., Wiggins, J. S., & Pincus, A. L. (1990).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national Pr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 521-536.

30.

Allen, J. G. (2005). 트라우마의 치유. (권정혜 외 역). 서울: 학지사.

31.

Arch, J. J., Eifert, G. H., Davies, C., Vilardaga, J. C. P., Rose, R. D., & Craske, M. G. (2012).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Versu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for Mixed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80(5), 750-765.

32.

Bernstein, D. P. & Fink, L. (1998).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San Antonio, TX: Harcourt Brace.

33.

Block, J.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58-167.

34.

Cahill, S. P., Foa, E. B., Hembree, E. A., Marshall, R. D., & Nacash, N. (2006). Dissemination of exposur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5), 597-610.

35.

Chamberlain, J. M. & Haaga, D. A. F. (2001a).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 Therapy, 19, 163-176.

36.

Cummings, M., Berkowitz, S. J., & Scribano, P. V. (2012). Treatment of childhood sexual abuse: An Updated Review. Current Psychiatry Report, 14, 599-607.

37.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38.

Cordova, J. V. & Kohlenberg, R. J. (1994). Acceptance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 (Eds.), Acceptance and change: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Reno, NV:Context Press.

39.

Dekeyser, M., Raes, F., Leijssen, M., Leysen, S., & Dewulf, D. (2008). Mindfulness skills and interpersonal behaviou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5), 1235-1245.

40.

Dougher, M. J. (1994). The Act of Acceptance.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pp. 37-45). Reno, NV: Context Press.

41.

Flach, F. (1999). The resilience hypothesi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M. E. Wolf, &A. D. Mosnaim (Ed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thiology, phenomenology, and treatment(pp. 36-45). American Psychiatric Press.

42.

Foote, B., Smolin, Y., Kaplan, M., Legatt, M., Lipschitz, D., Sar, V., & Dogan, O. (2006). Axis I dissociative disorder comorbidit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reports of childhood trauma.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7, 1583-1590.

43.

Goldstein, S. & Brooks, R. B. (2009). 아동 청소년 적응 유연성 핸드북. (신현숙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6년에 출판)

44.

Greenberg, L. S., Ford, C. L., Alden, L. S., & Johnson, S. M. (1993). In-session change in emotional focused 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1), 78-84.

45.

Greenwald, R. & Rubin, A. (1999). Brief assessment of children's post-traumatic symptoms: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parent and child scales.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9, 61-75.

46.

Harter, S. (1990). Self and identity development. In S. S. Feldman & G. R. Elli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7.

Hayes, S. C., Strosahl, K., & Wilson, K.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29 Understanding and treating human suffering. New York: Guilford Press.

48.

Horowitz, L. M., Rosenberg, S. E., Bear, B. A., Ureno, G., & Villasenor, V. S. (1998).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885-892.

49.

Leung, D. W. & Slep, A. M. (2006). Predicting inept discipline: The role of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anger, and attribu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 524-534.

50.

Longmore, R. J. & Worrell, M. (2007). Do we need to challenge thoughts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2), 173-187.

51.

Luoma, J. B., Hayes, S. C., & Walser, R. D. (2007). Learning ACT: A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kills-training manual for therapists. Oakland: New Harbinger Publications.

52.

Lovejoy, M. C., Graczyk, P. A., O’Hare, E., & Neuman, G. (2000).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 561-592.

53.

Michalaka, J., Teismanna, T., Heidenreich, T., Ströhlec, G., & Vocka, S. (2011). Buffering low self-esteem: The effect of mindful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5), 751-754.

54.

Niles, A. N., Burklund, L. J., Arch, J. J., Lieberman, M. D., Saxbe, D., & Craske, M. G. (2014). Cognitive Mediators of Treatmen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Comparing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Behavior Therapy, 45, 664-677.

55.

Orsillo, S. M. & Batten, S. V. (2002). ACT as treatment of a disorder of excessive control:Anorexia.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9(3), 253-259.

56.

Pennebaker, J. W. (1997). Writing about emotional experiences as a therapeutic process. Psychological Science, 8(3), 162-166.

57.

Price, M. Higa-McMillan, C., Kim, S., Frueh, B. C. (2013). Trauma exper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trauma type and role of interpersonal proximity.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7(7), 652-660.

58.

Richardson, G. E. (2002). The metatheory of resilience and resilienc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3), 307-321.

59.

Rosenberg, M. & Simmons, R. G. (1972). Black and White Self-Esteem: The Urban School Child. Washingt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10.

6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61.

Salters-Pedneault, K., Tull, M. T., & Roemer, T. L. (2004). The role of avoidance of emotional materials in the anxiety disorders.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11, 95-114.

62.

Santrock, J. W. (2005). 아동 발달심리학[Child Development]. (곽금주, 정윤경, 김민화, 박성혜, 송현주. 역). 서울:박학사.

63.

Scheff, T. J. (1995). Family environment and shame:Is there a differe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2, 617-623.

64.

Shipman, K., Edwards, A., Brown, A., Swisher, L., & Jennings, E. (2005). Managing emotion in a maltreating context: A pilot study examining child neglect. Child Abuse & Neglect, 29(9), 1015-1029.

65.

Strosahl, K. D., Hayes, S. C., Bergan, J., & Romano, P. (1998). Assessing the field effectivenes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ample of the manipulated training research method. Behavior Therapy, 29, 35-64.

66.

Thomson, B. Luoma, J. B., & LeJeune, J. T. (2013). Using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o Guide Exposure-Based Intervention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43, 133-140.

67.

Thompson, B. L. & Waltz, J. (2010). Mindful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as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voidance symptom severity.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4(4), 409-415.

68.

Twohig, M. P. (200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Treatment-Resistan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Case Study.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6(3), 243–252.

69.

Walser, R. D. & Hayes, S. C. (2006). Acceptance and Commotment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V. M. Follette &J. I. Ruzk(Eds.), Cognitive behavioral therapies trauma, pp. TBA, Guildford Press: New York.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