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박중독자의 GA참여를 통한 회복 경험을 참여자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탐색함으로써 도박중독 회복의 본질과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도박중독자의 회복에 있어 GA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실질적인 근거를 제시하며, 정책적이며 실천적인 대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참여자는 5년 이상 단도박을 유지하고 GA에 참여하고 있는 12명이다. 참여자는 적게는 7년 9개월부터 많게는 28년 정도 GA에 참여하였으며 도박으로부터 회복된 년 수는 7년부터 27년 10개월 정도이다. 연구 자료는 2013년 12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수집하였다. 심층적 면담을 개인별로 실시하였으며 90분부터 120분 정도 소요되었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화로 추가 면접하였다.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1차 분류에서 3차 분류 작업을 통해 79개의 의미단위와 19개의 주제모음과 5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도박중독자들의 GA참여를 통한 회복경험은 1) ‘GA를 받아들이지 못하다’, 2) ‘GA에 마음을 열다’, 3) ‘GA에 점점 빠져들다’, 4) ‘GA원칙을 삶에서 실천하다’, 5) ‘위대한 힘의 은총’ 등 5개의 범주로 분류되고 또 회복과정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영성적 지향은 도박중독자의 회복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GA가 도박중독으로부터 회복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재확인하고 이해하였으며 도박중독자의 회복에 유용한 해결책을 제시한 것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recovery from gambling addiction by questing for the recovery experiences of the compulsive gambler without exagger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participants themselves and to suggest the practical bases for the reason why they need GA in the process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s. The 12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ttendees of GA who have recovered from gambling addiction for at least 5 years. Participants have attended GA for a minimum of 7 years and 9 months to a maximum of 28 years, and have recovered from gambling addiction for a minimum of 7 years to 27 years 10 months. The period of collecting data was from December, 2013 to April, 2014. Intensive interviewing time was spent for 90 minutes to 120 minutes one-on-one, more interviews were implemented by phone whenever they were need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Colaizzi’s, 79 meaning units, 19 theme units and 5 categories were classified through from the primary sorting to the third categorizing. The recovery experiences derived from attending gambling addiction GA was classified as 5 categories 1) ‘Not receptive to GA’, 2) ‘Receptive to GA’, 3) ‘Gradual participation in GA’, 4) ‘Follows GA principles in everyday life’, 5) ‘Grace of the Greater Power'. Spiritual orientat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their recover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derstanding and confirming the important role GA plays in helping gambling addicts recover from gambling addiction. The study also addresses issues that need to be solved to facilitate the recovery of gambling addiction.
권선중, 이충기, 김교헌, Kim, S. W. (2010). 합법 인터넷 도박의 역기능: 병적 도박 위험성과 불법 도박확산 가능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215-225.
권수영 (2011). 도박중독과 영성: 기독(목회) 상담적인전망과 과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77. 237-257.
권영실, 김현정, 김소라, 현명호 (2014). 도박심각도와자살생각의 관계: 도박 빚 압박감의 매개효과와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2), 603-618.
김교헌, 성한기, 이민규 (2004). 도박성 게임이용자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문제성 및 병적 도박의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61-277.
김미경 (2008). AA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경험 탐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병오 (2003). 중독을 치유하는 영성. 상담과 선교, 봄, 116-144.
김성재, 김선민, 강향숙 (2011). 도박중독자의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 강원랜드 연구용역 보고서.
김영경 (2013). 의대생의 스트레스와 알코올 중독, 인터넷 중독 및 도박중독과의 관계: 영적 안녕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1), 97-114.
김정연 (2005). 병적 도박자의 회복(recovery)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김진숙, 이근무, 이혁구 (2011). 도박자 배우자들의 회복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사회복지연구. 42(1): 83-115.
김한오 (2010). 자조집단, 한국중독정신의학회 편 : 엠엘커뮤니케이션
박상규 (2010). 알코올 의존환자를 위한 행복프로그램의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801-815.
박상규 (2012). 인지행동치료에서 치료자의 마음챙김의역할. 상담학연구, 13(4), 1631-1647.
박상규 (2014). 정신건강론. 서울: 학지사.
박정임, 최윤정 (2006). 알코올 중독자의 재활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 105-144.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08). 합법적 도박이 도박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부정적 결과를 중심으로. 서울 :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송진아, 김선민, 김용근, 신행호 (2014). 카지노 인근에머무는 도박중독자가 체험한 공간성. 사회복지연구. 44(1), 193-216.
신행호 (2014). 남성도박중독자의 재발 경험: 죽음의 심연 속으로 추락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유승훈, 최이순, 김홍석 (2013). 남성 도박중독자의 사회적 문제해결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751-759.
윤명숙, 채완순 (2010). 도박중독자의 회복과정: 수렁에서 빠져나오기. 한국사회복지학회. 62(3), 271-297.
이경희, 도승이, 김종남, 이순목 (2011). 도박이용자의도박중독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6(1), 189-213.
이상훈, 신성만(2011). 알코올의존자들의영성의변화가중독재활에미치는영향: DAYTOP 치료공동체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1, 253-274,
이솔지 (2013). 알코올중독자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이준복, 윤상현, 허태균 (2014). 누가, 왜 불법도박을 할까? 불법도박경험 수준에 따른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2), 155-176.
이흥표, 김태우 (2010). 도박중독의 재활: 타 정신장애와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3). 241-265.
채정아, 유수현 (2012). 도박중독 상담자들의 상담 현장 경험에 관한 연구: 도박중독, 그 상처의 옆자리에서다.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0 , 418-448.
채정아 (2013). 단도박자의 회복유지과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천덕희 (2010). A.A.를 통해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들의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최송식, 이솔지 (2008).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업, 12, 418-448.
최원석 (2008). N.A. 12단계 프로그램이 치료공동체입소약물중독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한영옥, 김현정, 이연숙, 김한우 김태우, 이재갑 (2012). 도박중독치료기관을 방문한 도박자의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2), 353-369.
한국단도박모임 (2007). 창립25주년 감동과 희망의 사반세기. 청주 : 뒷목출판사.
홍주연, 윤미 (2013). 중년여성의 영성이 행복과 우울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1), 219-242.
Allen, T. A., & Lo, C. L. (2010). Religiosity, spirituality, and substance abuse. Journal of Drug Issues, 433-459.
Avery, L ., & Davis, D. R. (2008). Women's recovery from compulsive gambling: formal and informal supports.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in the Addictions 8(2). 171-191.
Blaszczysnki, A. P., & McConaghy. N. (1994). Criminal offenses in Gamblers Anonymous and hospital treated pathological gamblers.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0(2): 99-127.
Colaizzi, P. F. (1978). Psychologist research as the phenomenonologist views it. Existential phenomeno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Ferentzy, P., Skinner, W., & Antze, P. (2006). Recovery in Gamblers Anonymous. Journal of Gambling Issue, 17, August. 1-18.
Ferentzy, P., Skinner, W., & Antze, P. (2010). The serenity prayer: Secularism and spirituality in Gamblers Anonymous. Journal of Groups in Addiction & recovery, 5, 124-144.
Galanter, M., Dermatis, H., Bunt, G., Williams, C., Trujillo, M., Steinke, P. (2007). Assessment of spirituality and its relevance to addiction treatment.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33, 257-264.
Pardini, D. A., Plante, T. G., Sherman, A., & Stump, J. E. (2000). Religious faith and spirituality in substance abuse recovery determining the mental health benefits.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19, 347-354.
Petry, N. M. (2005). Gamblers Anonymous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for pathological gamblers. Journal of Gambling Studies, 21(1), 27-33.
Petry, N. M. (2003). Patterns and correlates of gamblers anoymous attendance in pathological gamblers seeking professional treatment, Addictive Behaviors, 28, 1049-1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