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용-거부 부모양육과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정서표현 갈등 및 대인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5, v.20 no.1, pp.175-191
https://doi.org/10.17315/kjhp.2015.20.1.010
최주영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서경현 (삼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수용-거부 부모양육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62명의 대학생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1.48(SD=2.27)세였다. 본 연구에서 부모 수용-거부 질문지(PARQ), 정서표현 갈등 질문지(AEQ), 상호작용 불안척도(IAS), PANAS, 삶의 만족 척도(SWLS)와 같은 심리검사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은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과는 부적 상관이, 주관적 웰빙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대로 부모의 거부적 양육은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과는 정적 상관이, 주관적 웰빙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은 주관적 웰빙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은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이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갈등, 대인불안 그리고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이 추가적인 설명력이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대학생의 정서표현 갈등이나 대인불안이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 정서표현 갈등 및 대인불안의 부정적 효과에 관해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고 추후연구의 방향과 임상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keywords
child rearing, acceptance, rejection, emotional expression, interpersonal anxiety, well-being, 부모양육, 수용, 거부, 정서표현, 대인불안, 웰빙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terpersonal anxiety,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r interpersonal anxiety between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36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age was 21.48 (SD=2.27).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PARQ),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 (IA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Inversely, parental reje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ternal acceptance accounted for the most variance i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additional accountabilitie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self-protection, interpersonal anxiety and paternal rejection were significa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ccountabilitie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self-protection as well as interpersonal anxiety partially mediat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negative effects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ies as well as the clinical meaning of this study was suggested.

keywords
child rearing, acceptance, rejection, emotional expression, interpersonal anxiety, well-being, 부모양육, 수용, 거부, 정서표현, 대인불안, 웰빙

참고문헌

1.

구재선 (2005).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관계: 토착심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석만 (2010).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욕망과 행복의 관계. 철학사상, 36, 121-152.

3.

권순명 (1993). 지각된 양육경험과 자아정체감 및 통제귀인 간의 관계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남재 (1995). 대인불안의 측정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73-81.

5.

김남재 (1996). 대인불안에서의 귀인 양식 그리고 우울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 4, 9-34.

6.

김명소, 김혜원, 임지영, 차경호, 한영석 (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7.

김미옥,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ACT)가 대학생의대인 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01-324.

8.

김성일 (1996). 부모의 수용도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3(1), 67-105.

9.

김정호 (2007a).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10.

김정호 (2007b). 한국판 긍정 및 부정 정서 척도. 덕성여자대학교 건강심리연구실. 미간행.

11.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2009).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87-205.

12.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 (200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5(2), 161-182.

13.

박지선, 김인석, 현명호, 유재학 (2008).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71-581.

14.

박희현, 김진아, 한귀례 (2014).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놀이치료연구, 17(3), 345-362.

15.

오강섭, 허묘연, 이시형 (1999). 대인불안과 사회문화적요인의 상관관계. 신경정신의학, 38(1), 64-76.

16.

유미영, 홍혜영 (2010).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4(3), 915-937.

17.

이경순, 서경현(2011).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부모와의 갈등과 주관적 웰빙: 원한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595-608.

18.

이동원, 박옥희 (2004). 사회심리학. 서울: 학지사.

19.

이승미, 오경자 (2006).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중년 기혼 여성의 심리적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113-128.

20.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1997). 정서의 체험 및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117-140.

21.

전선미, 오인수 (2011).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처리과정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12(5), 1737-1752.

22.

정윤경, 박보은 (2010).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111-125.

23.

정윤주, 이주리 (200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부모이외 애착대상의 수용-거부, 행동통제와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14(6), 947-959.

24.

정은선, 조한익 (2009).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09-227.

25.

조명한, 차경호(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26.

조양선, 서경현 (2013). 부모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7), 99-122.

27.

차경호 (2004).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청소년학연구, 11(3), 321-337.

28.

최상진, 김태연 (2001). 인고에 대한 한국인의 심리: 긍정적 보상기대와 부정적 과 실상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2), 21-38.

29.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71-89.

30.

통계청 (2013). 한국의 사회동향 2013. 통계청.

31.

하정 (1997). 정서표현성향과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가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 사고, 행동영역의 통합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하창순, 박주하 (2012). 정서표현갈등과 대인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인간연구, 1(22), 173-197.

33.

황재원, 김계현 (2009).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10(1), 57-71.

34.

황혜정 (1997). 아동의 정서 , 행동 문제와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1(3), 331-350.

3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7.

Baron, R. M., & Kenny, D.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8.

Curran, J. P. (1977). Skills training as an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heterosexual-social anxiety. Psychological Bulletin, 89, 140-157.

39.

DePaulo, B. M. (1992). Nonverbal behavior and self-present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1, 203-244.

40.

Diener, E., & Tov, W. (2012). National accounts of well-being. In K. C. Land, A. C. Michalos, & M. J. Sirgy (Eds.), Handbook of social indicators and quality of life research (pp. 137-156). New York, NY: Springer.

41.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42.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43.

Diener, E., Suh, E.,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44.

Emons, R. A., & Colby, P. M. (1995).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947-959.

45.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46.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362.

47.

Jersild. A. T. (1966). Child psychology. NY:Prentice-Hall.

48.

Joiner, T. E., Jr., & Metalsky, G. I. (1995). A prospective test of an integrative interpersonal theory of depression: A naturalistic study of college roommates.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69, 778-788.

49.

Josephs, S., Williams, R., Irwing, P., & Cammock, T. (1994). The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attitudes towards emotional ex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6), 869-875.

50.

Katz, I. M., & Campell, J. D. (1994).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well-being:Nomothetic and idiographic tests of the stress-buffering 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513-524.

51.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y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864-877.

52.

Leary, M. R. (1983). Social anxiousness: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7, 66-75.

53.

Mongrain, M., & Zuroff, D. C. (1994).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life events: Media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dependent and self-critical individual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 447-458.

54.

Pierce, G. R., Sarason, B. R, & Sarason, I. G. (1996). Handbook of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pp. 3-23). NY: Plenum.

55.

Rohner, R. P. (1981). Worldwide tests of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theory. Behavior Science Research, 15, 1-21.

56.

Rohner, R. P. (2004). The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syndrome: Universal correlates of perceived rejection. American Psychologist, 59, 830-840.

57.

Rohner, R. P. (2009). 부모의 사랑: 수용과 거부이론 (김성일). 서울: 원미사. (1986)

58.

Rohner, R. P., & Nielsen, C. C. (1978).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A review and annotated bibliography of research and theory (Vol.2). New Haven, CT: Human Relations Area Files.

59.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60.

Straus, M. A., Gelles R. J., & Steinmetz, S. K. (1980). Behind closed doors: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Garden City, NY: Doubleday.

61.

Suh, E. (1994). Emotion norms, values, familiarity and subject well-being: A cross-cultural exam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62.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63.

Zanarini, M. C., & Frankenburg, F. R. (1997). Pathways to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11(1), 93-10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