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ffect of Personalities and Use Motivations of Smartphone Users on Smartphon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2, pp.357-372
https://doi.org/10.17315/kjhp.2016.21.2.004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martphone Use Motivations and Personality on Smartphone Addiction. The participants were 483 college students(male 189, female 294) in Busan, Ulsan, Gyeongnam, Daegu, Gyeongbuk. They were administered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Self-report, Smartphone Use Motivations Scale, and Korean-Eysenck Personality Scale for Adult(K-EPS: Adult). The impact of Smartphone Use Motivations and Personality on Smartphone Addiction respectively were analyzed by stepwise regression. Entertainment and Leisure, Flaunt and Trend, Keep the relationship Motivations positively predicted Smartphone Addiction. Also, Neuroticism, Extraversion-introversion, and Impulsiveness positively predicted Smartphone Addiction. Neuroticism and Empathy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Entertainment and Leisure. In addition, Extraversion-introversion, Psychoticism, Lies, and Impulsiveness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Flaunt and Trend Use Motivations. Extraversion-introversion, and Empath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Keep the relationships. Structural model based o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Neuroticism, Extraversion-introversion, Impulsiveness, Entertainment and Leisure, Flaunt and Trend, and Smartphone Addition. Entertainment and Leisu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Neuroticism. Flaunt and Trend fully mediated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Extraversion-introversion, and Impulsiveness.

keywords
smartphone addiction, personality, use motivations, 스마트폰 중독, 성격, 이용 동기, K-EPS

Reference

1.

강주연 (2012).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희양, 박창호 (2012).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63-580.

3.

김교헌 (2002).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159-179.

4.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학지사.

5.

미래창조과학부 (2016). 무선통신 사업자 통계. http://www.msip.go.kr에서 자료 얻음.

6.

박지영, 김귀애, 홍창희 (2012).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이용 동기, 또래관계 및 정서적 요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1), 151-169.

7.

송선희, 하대현, 최형주 (2004). 내,외재 동기 유형과Big-five 성격요인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한연구, 10(1), 125-150.

8.

신석기, 최태진, 박성미, 이은영, 김유미 (2007). 심리검사의 이론과 실제. 경기: 서현사.

9.

신영미 (2012). 스마트폰 이용 동기 및 정도와 과다사용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양일영, 이수영 (2011). 이용 동기에 기반한 스마트폰초기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5(1), 110-138.

11.

엠디팩트 (2015,10,23). 자기애 강하고 신경질적인 사람, 스마트폰중독 위험 높다. http://www.mdfact.com/healthlife/477/1에서 자료 얻음.

12.

우형진 (2007). 미디어 이용자의 자아 안정성, 성향적미디어 이용 동기, 플로우, 그리고 중독에 관한 연구: 온라인 게임, 인터넷, 휴대폰 중독 비교분석. 한국방송학보, 21(4), 101-140.

13.

이성엽, 구동모, 주선희 (2009). 개인 심리 요인이 모바일콘텐츠 이용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24(1), 127-158.

14.

이용 (2008). 한국과 중국의 인터넷 이용행태 비교연구:한․중 대학생들의 이용 동기와 성격 요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해경 (2008).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33-157.

16.

이현수 (1997). 한국판 아이젱크 성격검사: 검사실시 및결과해석을 위한 지침서. 서울: 학지사.

17.

임혜진, 이은희 (2015). 중학생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열정,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2015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314-314.

18.

장은순 (2006).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동기와 중독의 관계.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혜진 (2002).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미경 (2014).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의 스마트폰 이용동기, 중독과 자기 통제력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2(5), 311-323.

21.

조수연 (2014). NEO 청소년 성격 특성과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취약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매개변인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현옥 (2012).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지각된 스트레스의 차이.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혜연 (2001).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과 성격특성변인연구:자기효능감, 자기통제감, 공격성, 충동성을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한겨레 함께하는 교육 (2012, 9, 3). 스마트폰 중독에 빠진 아이들을 구하라. 6면.

2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2011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2014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8.

한주리, 허경호 (2004). 이동전화 중독척도개발 및 타당성검증. 한국언론학보, 48(6), 138-165.

29.

허정선(2009).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동기와 병리적 인터넷 사용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Blaszezynsk, A., Steel, Z., & McConaghy, N. (1997). Impulsivity in pathological gambling: The antisocial impulsivist. Addiction, 92(1), 75-87.

31.

Bowen, M. F., & Firestone, M. H. (2011). Pathological use of electronic media: case studies and commentary. Psychiatr Q, 82, 229-238.

32.

Eysenck, H. J. (1970). The structure of human personality (3rd ed.). London: Methuen.

33.

Eysenck, H. J., & Eysenck, B. J. (1991).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 Revised (EPQ-R). Hodder & Stoughton.

34.

Cattell, R. B. (1950). Personality: A systematic theoretical and factual study. New York:McGraw-Hill.

35.

Cohen, J., Cohen, P., Aiken, L. S., & West, S. G. (2002). Applied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36.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