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문제:스마트폰 중독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The Moderation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4, pp.683-697
https://doi.org/10.17315/kjhp.2016.21.4.001
한가희 (강원대학교)
이인혜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인지적/정서적 공감과 대인관계 문제 사이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발달단계 상 대인관계의 역할이 중요하며, 스마트폰 중독 위험 역시 가장 높을 것으로 사료되는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대학생 463명(남=248, 여=215)에게 인지적 및정서적 공감능력 지수(IRI)와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대인관계 문제(KIIP-SC)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인에서 성차가 있다는 보고에 따라 성별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인지적/정서적 공감과 대인관계 문제, 스마트폰 중독 및 사용시간 모두 남성에 비해 여성의 점수가 높았으며 변인 간 상관 패턴은 남녀가 유사하였다. 또한 남성의 관점취하기 능력과 대인관계 문제에 있어서 스마트폰 중독의 상호작용 효과를확인하였다. 즉, 관점 취하기 능력이 낮을 때에는 대인관계 문제가 높았으며, 관점 취하기 능력이높더라도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 때에는 대인관계 문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에서는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남성에게 관점 취하기 능력은 대인관계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지만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 경우에는 공감능력이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울 수있다. 따라서 대인관계 문제를 나타내는 대학생의 경우 공감능력보다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개입이 먼저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논의하였다.

keywords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능력, 스마트폰 중독, 대인관계 문제,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terpersonal problem, smartphone addi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cognitive & affective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study,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whos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lays a critical role in terms of development and who are considered to have the highest rate of smartphone addiction risk. The adult Smartphone Addiction Scale(SAC),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and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KIIP-SC) were applied to 463 university students (male: 248, female: 215).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Given the report that each variable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gender,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gender. As a result, regarding most variables, female students had higher points than male ones, and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similar correlation pattern between variables.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had interaction effects on perspective tak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 More specifically, while having higher perspective taking ability lowers the amount of interpersonal problem, when high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also exist perspective taking ability is reduce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 for male students,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y can alleviate interpersonal problems. However, when they have high smartphone addiction, it is difficult for their empathy ability to bring about any effects. Therefore,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interpersonal problems, it is more effective to intervene in smartphone addiction, than empathy ability.

keywords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능력, 스마트폰 중독, 대인관계 문제,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terpersonal problem, smartphone addiction

참고문헌

1.

강연달, 이은희 (2010). 열정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게임중독과 대인관계,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적대감과 사회적 기술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5(3), 529-548.

2.

고기숙 (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2), 189-216.

3.

고문정 (2006). 대학생의 공감수준과 대인관계문제 유형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28, 5-30. 숙명여자대학교학생생활지도연구소.

4.

김미현 (2003). 공감과 청소년의 대인관계성향에 관한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성회, 박경희 (2010). 대학상담: 대학생 대인관계조화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1(1), 375-393.

6.

김신옥 (2010).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 및 요인분석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양태 (2011). 중독환자에서 보이는 사회인지의 손상. 생물치료정신의학, 17(1), 5-10.

8.

김현진, 한종철 (2004).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6(2), 277-294.

9.

남궁선, 이영호 (2016). ADHD 아동의 화용론적 결함및 공감능력 부족과 또래관계문제와의 관련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2), 43-61.

10.

문은옥, 김혜리, 천영운, 김태화, 최현옥 (2014). 품행문제 청소년의 공감손상.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127-146.

11.

문의용, 김택호(2014). 스마트폰중독자와인터넷중독자의스트레스대처방식과대인관계성향의차이.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5-87.

12.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3.

박민 (2012).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재활심리연구, 19(3), 387-405.

14.

박성옥, 유순옥 (2003).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사회적응력과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5, 110-132. 대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5.

박성희 (1992). 공감적 이해의 구성 요소. 청주교육대학교 논문집, 29, 193-235.

16.

박성희 (1997). 공감과 친사회 행동. 서울: 민음사.

17.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20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4(5), 289-297.

18.

박웅기 (2014).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95-125.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

박혜원 (2002). 공감훈련이 여중생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14). 2014년 사행산업 관련통계. http://www.ngcc.go.kr/data/pds.do에서 인출.

21.

서원진, 김미리혜, 김정호, Ebesutani, 조인성 (2015).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497-512.

22.

신영미 (2012). 스마트폰 이용동기 및 정도와 과다사용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3.

양유희 (2014). 울산광역시 중학생의 스마트폰 이용특성, 외로움, 가족기능, 사회적지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성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4.

오광수 (2015).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공감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초당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오영은 (2015).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 영향: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6.

유승숙, 최진오 (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불안, 공격성의 관계: 자기통제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3(1), 131-144.

27.

이경탁, 노미진, 권미옥, 이희욱 (2013). SNS 사용자의외로움, 자기노출, 사회적지지 그리고 삶의 만족에관한 실증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3(2), 19-39.

28.

이선명, 김완일 (2015).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대한군상담학회, 4(1), 53-64.

29.

이슬아, 김근향, 정지영, 김나라, 권정혜 (2012). 분열형성격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의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1), 77-91.

30.

이승현 (2010). 남녀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대처전략, 분노표현양식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이영은, 박현주, 허창구 (2016). 내현적·외현적 자기애와SNS 중독경향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0(1), 63-80.

32.

이은진, 최정훈 (1991).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의사소통기법훈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207-216.

33.

이정은, 배성만 (2015). 대인관계 만족도, 인터넷 게임중독 및 정서적 문제간의 관계: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687-701.

34.

조규영, 김윤희 (2014).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3), 1632-1640.

35.

조맹제, 박종익, 배안, 배재남, 손정우, 안준호, ..., & 정인원 (2011). 2011년도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36.

조미헌, 신경선 (2004).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현황및 원인.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7(5), 45-56.

37.

조재범 (2010). 초등학생의 공감하기, 체계화하기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8.

주석진 (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42, 98-127.

39.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2012).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5), 1005-1015.

4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41.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23-940.

42.

Alden, L. E., Wiffins. J. S., & Pincus, A. L. (1990).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 521-536.

43.

Baron-Cohen, S., Golan, O., & Ashwin, E. (2009). Can emotion recognition be taught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conditions?. Ph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iological Sciences, 364(1535), 3567-3574.

44.

Baron-Cohen, S., Wheelwright, S., Hill, J., Raste, Y., & Plumb, I. (2001). The “Reading the Mind in the Eyes” test revised version: A study with normal adults, and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2), 241-251.

45.

Beer, J. S., & Ochsner, K. N. (2006). Social cognition:A multi level analysis. Brain Research, 1079(1), 98-105.

46.

Bibby, H., & McDonald, S., (2005). Theory of mind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Neuropsychologia, 43(1), 99-114.

47.

Blair, R. J. R. (2005). Responding to the emotion of others: Dissociating forms of empathy through the study of typical and psychiatric population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4(4), 698-718.

48.

Brüne, M., & Ebert, A. (2011). From social neurons to social cognition: Implications for schizophrenia research. Journal of Psychiatry and Neurological Siences, 24(1), 58-68.

49.

Chow, C. M., Ruhi, H., & Buhrmester, D. (2013).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adolescents’ empathy and frienship quality: A dyadic approach. Journal of Adolescence, 36(1), 191-200.

50.

Cicerone, K. D., & Tanenbaum, L. N. (1997)Disturbance of social cognition after traumatic orbitofrontal brain injury.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2(2), 173-188.

51.

Davis, M. H.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 113-126.

52.

Davis, M. H. (1994).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53.

Dovidio, J. F., & Banfield, J. C. (2015).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y.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216-220.

54.

Dziobek, I., Rogers, K., Fleck, S., Bahnemann, M., Heekeren, H. R., Wolf, O. T., & Convit, A. (2008). Dissociation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using the Multifaceted Empathy Test(MET).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38, 464-473.

55.

Enex-Darcin, A., Noyan, C., Nurmedov, S., Yilmaz, O., & Dilbaz, N. (2015). Smartphone Addiction in Relation with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urkey. European Psychiatry, 30, 28-31.

56.

Fahim, C., Stip, E., Mancini-Marïe, A., Boualem, M., Malaspina, D., & Beauregard, M. (2004). Negative socio emotional resonance in schizophrenia: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hypothesis. Medical Hypotheses, 63, 467-475.

57.

Fernández-Serrano, M. J., Lozano, O., Pérez-García, M., & Verdejo-Gería, A. (2010). Impact of severity of drug use on discrete emotions recognition in polysubstance abuser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09(1), 57-64.

58.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B. A., Ureno, G., & Villasenor, V. S. (1988).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t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885-892.

59.

Ishak, N. M., Abidin, M. H. Z., & Bakar, A. Y. A. (2014) Dimensions of social skill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mpathy amo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Malaysia.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6(21), 750-753.

60.

Lishner, D. A., Hong, P. Y., Jiang, L., Vitacco, M. J., & Neumann, C. S. (2015). Psychopathy, narcissism, and borderline personality: A ciritical test of the affective empathy-impairment hypothesi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nences, 85, 205-211.

61.

Melchers, M., Li, M., Chen, Y., Zhang, W., & Montag, C. (2015). Low empathy is associated with problematic use of the internet: Empirical evidence from China and Germany. Asian Journal of Psychiatry, 17, 56-60.

62.

Rueckert, L., & Naybar, N. (2008). Gender differences in empathy: The role of the right hemisphere. Brain and Cognition, 67(2), 162-167.

63.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3), 237-24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