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Effects of a Motivation Management Program on Procrastin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7, v.22 no.1, pp.39-60
https://doi.org/10.17315/kjhp.2017.22.1.00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motivation management program on procrastin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a tendency towards procrastination. Forty-eight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based on their Procrastination Assessment Scale-Student scores and divided into a treatment group (n=22) and a waiting-list control group (n=26).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following scales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follow-up: Aitken Procrastination Scale(APS), Korean Adaptation of State-Trait Anxiety Inventory-Y (K-STAI-Y),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Affect scale, and Life Orientation Test-Revised(LOT-R).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motivation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Motivational States Theory and Integrative Motivation Management for 80-minute sessions per week over a 6-week perio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the APS, K-STAI-Y, and LSES scores, as compared to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In addition, at follow-up,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ES-D, SWLS, Affect scale, and LOT-R scores. After the second assessment, the wait-list control group received three 100-minute sessions of the motivation management program and showed similar improvemen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keywords
motivation, motivation management, motivational states theory, integrative motivational management, academic procrastination, 동기, 동기관리, 동기상태이론, 통합동기관리, 동기인지행동치료, 학업적 지연행동

Reference

1.

강혜자 (2012). 대학생의 지연행동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담론 201, 15(1), 67-92.

2.

고은미, 김정호, 김미리혜 (2015). 웰빙인지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웰빙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0(1), 69-89

3.

김광숙 (2006). 꾸물거림에 대한 성격 5요인의 영향과꾸물거림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민선, 최영희, 석분옥, 백근영, 이동귀 (2009).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자기결정성에 따른 하위집단과 학업지연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3), 39-56.

5.

김보경 (2013). 대학생의 성별과 인지적 조절초점에 따른 지연행동과 불안의 차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김은지 (2012).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적지연행동과 의지통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정호 (2000a). 조금 더 행복해지기: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 서울: 학지사.

8.

김정호 (2000b).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동기 및 인지. 학생생활연구, 16, 1-26.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9.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87-315.

10.

김정호 (2005). 스트레스는 나의 스승이다. 서울: 아름다운인연.

11.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53-484.

12.

김정호 (2007a).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13.

김정호 (2007b). 낙관성 척도. 미출판 원고, 덕성여자대학교 건강심리연구실. 서울. 대한민국.

14.

김정호 (2009). 통합동기관리 혹은 통합동기치료: 인지행동치료의 새로운 흐름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4(4), 677-697.

15.

김정호 (2015). 생각 바꾸기: 동기인지행동치료를 통한스트레스-웰빙 관리. 서울: 불광출판사.

16.

김정호, 김선주 (1998).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서울:도서출판 아름다운세상.

17.

김정호, 김선주 (2007).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개정증보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18.

김정호, 임성견, 김선주, 유제민, 서경현, 김미리혜, 공수자 (2008).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정서경험유형. 대한스트레스학회지, 16(4), 343-350.

19.

김정희 (2003). 습관적 지연 극복을 위한 집단훈련의 효과 검증: 대학생의 학업과 관련하여. 상담학연구, 4(4), 685-698.

20.

문현정 (2015).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정서조절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박보람, 양난미 (2012). 대학생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 수행회피 성취목표와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41-561.

22.

박재우, 권정혜 (1998). 과제의 자아위협도와 완벽주의가 과제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105-119.

23.

배대식 (2009).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업 동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462-463.

24.

배병훈, 신희천 (2009). 자기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3), 747-764.

25.

서은희 (2006). 학업적 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6.

서은희, 박승호 (2007). 지연행동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교육학연구, 45(2), 105-119.

27.

엄선영 (2009). 의지통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윤숙경 (1996). 완벽성향과 자기개념에 따른 대학생의지연특성의 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은희진 (2008). 성경의 웰빙인지가 웰빙증진에 미치는효과: 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이수민, 양난미 (2011).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17-738.

31.

이진주 (2016).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능동/수동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2.

임성문 (2006). 각성형과 회피형의 만성적 지연행동 측정: Ferrari가 제안한 방법은 타당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91-102.

33.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34.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35.

추상엽, 임성문, 홍율표, 오지은 (2008). 실패공포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 회피목표, 인지적 의지통제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심리적 통제, 부모의성취압력의 조절효과.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344-345.

36.

한덕웅 (2005). 인간의 동기심리. 서울: 박영사.

37.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 (1996). Speilberger 상태-특성불안 검사의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73-83.

38.

한영숙, 김선욱 (2012). 완벽주의, 자기통제력,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4), 203-224.

39.

함경애, 송부옥, 노진숙, 천성문 (2011). 남자 중학생을위한 학업적 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상담학 연구, 12(3), 861-879.

40.

허효선, 임선영, 권석만 (2015). 완벽주의와 충동성이 학업적 착수지연 및 완수지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4(1), 147-171.

41.

Aitken, M., E. (1982). A Personality profile of the college student procrastinator.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Pennsylvania, USA.

42.

Burka, J., B., & L., M., Yuen. (1983). Procrastination: Why do You It and What to do about It. PA:Addison-Wesley.

43.

Diener, E., Emmons, R.A., Larsen, R.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44.

Eerde, W., V. (2003). Procrastination at work and time management train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137(5), 421-434.

45.

Ellis, A., & Knaus, W., J. (1977). Overcoming procrastination. New York: Institute for Rational Living.

46.

Ferrari, J., R. (1992). Psychometric validation of two adult measures of procrastination: Arousal and avoidance measure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14, 97-100.

47.

Ferrari, J., R., Johnson, J., L., & McCown, W., G. (1995). Procrastination and task avoidance: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New York:Plenum.

48.

Flett, G., Blankstein, K. R., & Martin, T., R. (1995). Procrastination, negative self-evaluation and stress in depression and anxiety: A review and preliminary model. The Plenum series in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37-167.

49.

Harrington, N. (2005). It's too Difficult! Frustration Intolerance Beliefs and Procrastin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5), 873-883.

50.

Maslow, A. H. (1962).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Princeton: D. Van Nostrand Co., Inc.

51.

McCown, W., & Roberts, R. (1994). A study of academic and work-related dysfunctioning relevant to college version of an indirect measure of impulsive behavior. Technical Paper(pp. 94-128). PA: Integra.

52.

Mills, J. S., & Blankstein, K. R. (2000). Intrinsic vs. extrinsic motivation, and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9, 1191-1204.

53.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54.

Rothblum, E., D. (1990). Fear of Failure: The psychodynamic, need achievement, fear of success, and procrastination models. In H. Leitenberg (Ed.), Handbook of social and evaluation anxiety. New York: Plenum.

55.

Scheier, M. E. F., Caver, C. S., & Bridges,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Th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6), 1063-1078.

56.

Senecal, C., Koestner, R., & Vallerand, R., J. (1995). Self-regul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5(5), 607-619.

57.

Solomon, L., & Rothblum. (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havio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03-509.

58.

Spielberger, C., D. (1983).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Form Y). CA: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9.

Steel, P. (2007). The nature of procrastination: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of quint essential self-regulatory failure. Psychological Bulletin, 133(1), 65-94.

60.

Tice, D., M., & Baumeister, R., F. (1997). Longitudinal study of procrastination, performance, stress and health: The costs and benefits of dawding. Psychological Science, 8, 454-458.

61.

Tuckman, B. W. (1991). The developmen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procrastination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1(2), 473-480.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