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motivation management program on procrastin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a tendency towards procrastination. Forty-eight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based on their Procrastination Assessment Scale-Student scores and divided into a treatment group (n=22) and a waiting-list control group (n=26).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following scales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follow-up: Aitken Procrastination Scale(APS), Korean Adaptation of State-Trait Anxiety Inventory-Y (K-STAI-Y),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Affect scale, and Life Orientation Test-Revised(LOT-R).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motivation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Motivational States Theory and Integrative Motivation Management for 80-minute sessions per week over a 6-week perio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the APS, K-STAI-Y, and LSES scores, as compared to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In addition, at follow-up,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ES-D, SWLS, Affect scale, and LOT-R scores. After the second assessment, the wait-list control group received three 100-minute sessions of the motivation management program and showed similar improvemen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강혜자 (2012). 대학생의 지연행동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담론 201, 15(1), 67-92.
고은미, 김정호, 김미리혜 (2015). 웰빙인지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웰빙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0(1), 69-89
김광숙 (2006). 꾸물거림에 대한 성격 5요인의 영향과꾸물거림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민선, 최영희, 석분옥, 백근영, 이동귀 (2009).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자기결정성에 따른 하위집단과 학업지연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3), 39-56.
김보경 (2013). 대학생의 성별과 인지적 조절초점에 따른 지연행동과 불안의 차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은지 (2012).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적지연행동과 의지통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정호 (2000a). 조금 더 행복해지기: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 서울: 학지사.
김정호 (2000b).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동기 및 인지. 학생생활연구, 16, 1-26.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87-315.
김정호 (2005). 스트레스는 나의 스승이다. 서울: 아름다운인연.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53-484.
김정호 (2007a).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김정호 (2007b). 낙관성 척도. 미출판 원고, 덕성여자대학교 건강심리연구실. 서울. 대한민국.
김정호 (2009). 통합동기관리 혹은 통합동기치료: 인지행동치료의 새로운 흐름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4(4), 677-697.
김정호 (2015). 생각 바꾸기: 동기인지행동치료를 통한스트레스-웰빙 관리. 서울: 불광출판사.
김정호, 김선주 (1998).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서울:도서출판 아름다운세상.
김정호, 김선주 (2007).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개정증보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김정호, 임성견, 김선주, 유제민, 서경현, 김미리혜, 공수자 (2008).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정서경험유형. 대한스트레스학회지, 16(4), 343-350.
김정희 (2003). 습관적 지연 극복을 위한 집단훈련의 효과 검증: 대학생의 학업과 관련하여. 상담학연구, 4(4), 685-698.
문현정 (2015).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정서조절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박보람, 양난미 (2012). 대학생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 수행회피 성취목표와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41-561.
박재우, 권정혜 (1998). 과제의 자아위협도와 완벽주의가 과제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105-119.
배대식 (2009).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업 동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462-463.
배병훈, 신희천 (2009). 자기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3), 747-764.
서은희 (2006). 학업적 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서은희, 박승호 (2007). 지연행동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교육학연구, 45(2), 105-119.
엄선영 (2009). 의지통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윤숙경 (1996). 완벽성향과 자기개념에 따른 대학생의지연특성의 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은희진 (2008). 성경의 웰빙인지가 웰빙증진에 미치는효과: 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수민, 양난미 (2011).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17-738.
이진주 (2016).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능동/수동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임성문 (2006). 각성형과 회피형의 만성적 지연행동 측정: Ferrari가 제안한 방법은 타당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91-102.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추상엽, 임성문, 홍율표, 오지은 (2008). 실패공포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 회피목표, 인지적 의지통제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심리적 통제, 부모의성취압력의 조절효과.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344-345.
한덕웅 (2005). 인간의 동기심리. 서울: 박영사.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 (1996). Speilberger 상태-특성불안 검사의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73-83.
한영숙, 김선욱 (2012). 완벽주의, 자기통제력,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4), 203-224.
함경애, 송부옥, 노진숙, 천성문 (2011). 남자 중학생을위한 학업적 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상담학 연구, 12(3), 861-879.
허효선, 임선영, 권석만 (2015). 완벽주의와 충동성이 학업적 착수지연 및 완수지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4(1), 147-171.
Aitken, M., E. (1982). A Personality profile of the college student procrastinator.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Pennsylvania, USA.
Burka, J., B., & L., M., Yuen. (1983). Procrastination: Why do You It and What to do about It. PA:Addison-Wesley.
Diener, E., Emmons, R.A., Larsen, R.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Eerde, W., V. (2003). Procrastination at work and time management train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137(5), 421-434.
Ellis, A., & Knaus, W., J. (1977). Overcoming procrastination. New York: Institute for Rational Living.
Ferrari, J., R. (1992). Psychometric validation of two adult measures of procrastination: Arousal and avoidance measure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14, 97-100.
Ferrari, J., R., Johnson, J., L., & McCown, W., G. (1995). Procrastination and task avoidance: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New York:Plenum.
Flett, G., Blankstein, K. R., & Martin, T., R. (1995). Procrastination, negative self-evaluation and stress in depression and anxiety: A review and preliminary model. The Plenum series in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37-167.
Harrington, N. (2005). It's too Difficult! Frustration Intolerance Beliefs and Procrastin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5), 873-883.
Maslow, A. H. (1962).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Princeton: D. Van Nostrand Co., Inc.
McCown, W., & Roberts, R. (1994). A study of academic and work-related dysfunctioning relevant to college version of an indirect measure of impulsive behavior. Technical Paper(pp. 94-128). PA: Integra.
Mills, J. S., & Blankstein, K. R. (2000). Intrinsic vs. extrinsic motivation, and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9, 1191-1204.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Rothblum, E., D. (1990). Fear of Failure: The psychodynamic, need achievement, fear of success, and procrastination models. In H. Leitenberg (Ed.), Handbook of social and evaluation anxiety. New York: Plenum.
Scheier, M. E. F., Caver, C. S., & Bridges,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Th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6), 1063-1078.
Senecal, C., Koestner, R., & Vallerand, R., J. (1995). Self-regul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5(5), 607-619.
Solomon, L., & Rothblum. (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havio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03-509.
Spielberger, C., D. (1983).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Form Y). CA: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Steel, P. (2007). The nature of procrastination: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of quint essential self-regulatory failure. Psychological Bulletin, 133(1), 65-94.
Tice, D., M., & Baumeister, R., F. (1997). Longitudinal study of procrastination, performance, stress and health: The costs and benefits of dawding. Psychological Science, 8, 454-458.
Tuckman, B. W. (1991). The developmen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procrastination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1(2), 473-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