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부모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요인별 성별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its Sub-Dimensions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7, v.22 no.3, pp.629-643
https://doi.org/10.17315/kjhp.2017.22.3.009
윤혜경 (가톨릭대학교)
정남운 (가톨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부모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대학(원)생 4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부모애착(K-PBI), 자기자비(K-SCS), 사회불안(K-SADS)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 간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남녀 차이검증, 상관분석, 그리고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애착은 성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자기자비 수준은 남성이, 사회불안 수준은 여성이 더 높았다. 둘째, 부모애착과 자기자비는 각각 사회불안과 부적 상관관계에, 부모애착과 자기자비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셋째, 자기자비가 부모애착과 사회불안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하위요인별로는 자기친절, 자기비난, 보편적인간성, 고립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이 중 자기비난과 고립의 설명량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자기자비 매개효과가 성별로는 여성 집단의 경우만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자비가 불안정애착의 사회불안에 대한 영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적응적 매개요인임을 밝혔다는 점, 나아가 매개효과에 자기자비 하위요인별, 성별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 정교화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에 근거한 의의과 한계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사항을 제시하였다.

keywords
parental attachment, self-compassion, social anxiety, 부모애착, 자기자비, 사회불안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418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completed the Parental Bond Instrument, the Self-Compassion Scale, and the Social Avoidance-Distress Scale. Our analysis has revealed that, first of all,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parental attachment, self-compassion was higher in men and social anxiety was higher in women. Secondly, social anxiety demonstrat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Third,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Forth, among the self-compassion sub-dimensions, only self-kindness, self-criticism, common humanity and isolation had mediating effects.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significant only for wo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elf-compassion for those who are suffering from social anxie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keywords
parental attachment, self-compassion, social anxiety, 부모애착, 자기자비, 사회불안

참고문헌

1.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2.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3.

김다정, 노지영, 박경우, 박성원, 박수지, 박진아 (2014). 애착과 도움행동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439-439.

4.

김무경, 오윤희, 오강섭 (2005). 지각된 부모 양육 행동이 사회 불안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4(3), 599-614.

5.

김미령 (2011). 부모의 양육태도와 불안, 우울, 강박과의관계에서 정체성 혼미의 매개효과 검토: 일본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학연구, 18(9), 337-362.

6.

김신실, 유금란 (2014). 청소년의 애착유형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22(1), 27-45.

7.

문경주, 오경자 (2002).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과 초기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29-43.

8.

박선영 (2013).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심리적 디스트레스 및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보건복지부 (2011).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발표.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266858&page=1.에서 2017. 9. 6 인출.

10.

송지영 (1992).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PBI)의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신경정신의학, 31, 979-992.

11.

심우엽 (2014). 초등학생의 사회불안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 27(1), 83-102.

12.

오경자, 양윤란 (2003).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557-576.

13.

오윤희 (2006). 사회불안장애 발병요인의 구조적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2010).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0(2), 43-59.

15.

유은희, 박성연 (1991). 기혼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및 자율성 발달유형과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29(1), 139-158.

16.

이선영 (2013). 자기-자비와 불안 및 강박과의 관계에서매개변인으로서의 사고 억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4), 835-851.

17.

이선영, 안창일 (2012).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치료의치료과정 변인과 치료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4(2), 223-254.

18.

이시형, 신영철, 오강섭 (1994). 사회공포증에 관한 10년간의 임상연구. 신경정신의학, 33(2), 305-312.

19.

이정윤, 최정훈 (1997).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K-SAD, K-FN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251-264.

20.

이현주, 조성호 (2011). 관조적 자기-자비(Selfcompassion)와 스트레스 통제 지각에 따른 대처방식의 차이. 학생생활상담, 29, 5-33.

21.

장휘숙 (1997). 아동기 이후의 애착에 관한 최근 연구의 개관.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7(1), 439-454.

22.

정민현 (2008). 애착유형,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인불안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26, 99-116.

23.

조영미, 이희경 (2013).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2), 1227-1245.

24.

조용래 (2011).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및 탈중심화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767-787.

25.

조화진, 서영석 (2011).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471-490.

26.

진현정, 이기학 (2009). Self-compassion scale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7(2), 1-20.

27.

최미미, 조용래 (2008).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 행동억제가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576-577.

28.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27-454.

2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0.

Bosquet, M., & Egeland, B. (2006).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anxiety symptom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in a longitudinal sampl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8, 517-550.

31.

Bowlby, J. (1958).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39, 350-373.

32.

Cross, S. E., & Madson, L. (1997). Models of the self: Self-construals and gender. Psychological Bulletin, 122, 5.

33.

Gamsa, A. (1987). A note on a modification of parenting bonding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60, 291-294.

34.

Gilbert, P., & Procter, S. (2006).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3, 353.

35.

Gilligan, C. (1990). Remapping the moral domain:New images of the self in relationship.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36.

Hofmann, S. G. (2005). Perception of control over anxiety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catastrophic thinking and social anxiety in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3, 885-895.

37.

Kendler, K. S., Neale, M. C., Kessler, R. C., Heath, A. C., & Eaves, L. J. (1992). The genetic epidemiology of phobias in women: The interrelationship of agoraphobia, social phobia, situational phobia, and simple phobi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9, 273-281.

38.

Mahler, M. S., Pine, F., & Bergman, A. (1975). The psychological birth of the human infant:Symbiosis and individuation. New York: Basic Books.

39.

Main, M., Kaplan, N., & Cassidy, J. (1985).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A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 66-104.

40.

Mckay, M., & Fanning, P. (2000). Self-esteem: A proven program of cognitive technique for assessing, improving, and maintaining your self-esteem. Oakland: New Harbinger Pub.

41.

Neff, K.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 85-101.

42.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 223-250.

43.

Neff, K. D., & McGehee, P. (2010).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lf and Identity, 9, 225-240.

44.

Neff, K. D., Rude, S. S., & Kirkpatrick, K. L. (2007). An examination of self-compassion in relation to posi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personality trait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 908-916.

45.

Parker, G., Tupling, H., & Brown, L. B. (1979).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52, 1-10.

46.

Raes, F. (2010). Rumination and worry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8, 757-761.

47.

Raja, S. N., McGee, R., & Stanton, W. R. (1992). Perceived attachments to parents and pe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1, 471-485.

48.

Rapee, R. M. (1997). Potential role of childrearing practices in the develop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7, 47-67.

49.

Raque-Bogdan, T. L., Ericson, S. K., Jackson, J., Martin, H. M., & Bryan, N. A. (2011). Attachment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Self-compassion and mattering as media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 272.

50.

Song, H., Thompson, R. A., & Ferrer, E. (2009). Attachment and self-evaluation in chinese adolescents: Age and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Adolescence, 32, 1267-1286.

51.

Stemberger, R. T., Turner, S. M., Beidel, D. C., & Calhoun, K. S. (1995). Social phobia: An analysis of possible developmental facto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 526.

52.

Strahan, E. Y. (2003).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ocial skills on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347-366.

53.

Van Dam, N. T., Sheppard, S. C., Forsyth, J. P., & Earleywine, M. (2011). Self-compassion is a better predictor than mindfulness of symptom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in mixed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5, 123-130.

54.

Vertue, F. M. (2003). From Adaptive Emotion to Dysfunction: An Attachment Perspective on Social Anxiety Disorde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7(2), 170-191.

55.

Watson, D., & Friend, R. (1969).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3, 448-457.

56.

Wei, M., Liao, K. Y., Ku, T., & Shaffer, P. A. (2011). Attachment, self‐compassion, empath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and community adults. Journal of Personality, 79, 191-2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