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 :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7, v.22 no.3, pp.645-667
https://doi.org/10.17315/kjhp.2017.22.3.01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80 students in university located in South Korea.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parenting attitude scale(EMBU-short), two social anxiety scales(SIAS and SPS) and a Self-differentiation scale(DSI-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ing attitude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self-differentiation was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each subtypes of parenting attitude and both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And according to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motional-cutoff’ had the greatest effect on social anxiety among the subsidiary variables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e rejective type of parenting attitude was the most effective predictable variable of ‘emotional-cutoff’.

keywords
부모 양육태도, 사회불안,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수행불안, 자기분화, parenting attitudes, self-differentiation, social anxiety, social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Reference

1.

강경훈 (2009).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 존중감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소라, 박혜인 (2001).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과 가족건강도 지각 관련 변인 연구: 계명대학교 생활 과학 연구소, 27(2001), 19-37.

3.

강정현 (2012).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자기통제력, 대인관계 및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강지혜 (2011).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역기능적 신념 및 사회 불안의 관계. 강원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5.

곽윤영 (2008).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6.

권보연 (1999). 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문제 유형과 그들이 지각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권소희 (2014).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대학생의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두현 (2015). 수용전념치료가(ACT) 사회 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거절 민감성 및 경험회피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무경, 오윤희, 오강섭 (2005). 지각된 부모 양육행동이 사회 불안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4(3), 599-614.

10.

김민선, 서영석 (2009).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525-545.

11.

김상옥 (2010).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신정, 김영희 (2007).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고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0(2), 172-181.

13.

김영일 (2006). 성인애착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유정 (2015).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 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 불일치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정택, 심혜숙 (1993). 자아분화 개념을 통한 Bowen의정신역동 적 가족치료의 특징.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1), 31-45.

16.

김진영 (2011).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 태도와 자아분화 및 자아 존중 감의 관계: 기독교인 대학생과비기독교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김향숙 (2001). 사회공포증 하위유형의 기억 편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김혜민 (2008).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와수치심 및 사회불안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김혜영 (2000).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이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김희숙 (2012).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이 대인간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나보영 (2008).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분화및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남연희 (200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 간의 관계분석.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문혜신 (2001). 또래의 괴롭힘이 청소년기 사회 불안에영향을 미치는 기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박경환 (2011). 직장인의 지각된 부모 양육 태도와 자아분화가 핵심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1), 243-264.

25.

박선영 (2003). 사회불안 유발상황의 구분 및 사회불안하위 유형의 차별적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박성은 (2015).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애착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박희룡 (2015). 대학생 성인아이 특성과 정서인식 명확성, 자기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커플 관계 탄력성의 관계. 한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배성민 (2012). 설문조사의 정확성에 대한 온. 오프라인의 비교.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서경현 (2012).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아동의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불일치와 사회불안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9(1), 207-226.

30.

서경현, 신현진, 양승애 (2013). 거부적 부모 양육 태도와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사회 불안간의 관계: 냉소적 적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837-851.

31.

신혜린 (2012). 사회적 불안 상황을 중심으로 한 사회불안 하위 유형의 불안 반응 차이 연구. 연세대학교박사학위 청구논문.

32.

오경자, 양윤란 (2003).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I: 행동 억제기질, 부모 양육 태도및 외상 경험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557-576.

33.

우수희, 송근혜, 조규판 (2012).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0(4), 59-80.

34.

유혜경 (2004). 부모 양육 태도 및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남자 중학생 자아분화 수준과의 관계. 호서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윤선미 (2010). 자아분화수준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윤성민 (2014).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 양육 태도와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자아분화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 효과.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9(4), 757-779.

37.

윤성민, 신희천 (2007). 내현 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67-982.

38.

윤은주 (2012).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와 완벽주의 성향, 사회불안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윤향숙, 황윤미, 김덕범, 장성화 (2011).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25.

40.

이경은, 하은혜 (2011). 청소년 사회불안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모델: 대인불안과 수행불안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9(4), 757-779.

41.

이미경 (2007).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과 자기분화 및 내외 통제 성향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이서정 (2013).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건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이은희 (2011). 대학생의 자기분화 수준과 심리적 부적응: 자기 통제력과 문제 해결 방식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18(12), 157-180.

44.

임주영 (2013). 가족건강성 및 자아분화가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장경문 (2014). 청소년의 자아분화수준, 부모통제에 대한 지각과 심리 및 행동문제의 관계: 자아분화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2). 845-854.

46.

장효주 (2009). 청소년의 행동억제 기질과 사회불안의관계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중재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정유선, 권정혜 (2006). 피드백 유형이 사회공포증 집단의 예상불안과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성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2), 489-504.

48.

조나영 (2014). 사회 지향성과 자율 지향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 적 자기초점 주의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조유진 (2012). 부모 양육 태도에 따른 군집과 아동의개인내적 특성과의 관계-개인내적 특성 중 자아 존중 감, 내외통제 소재, 자기 통제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16(2), 289-307.

50.

조한익 (2011).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 태도와인터넷 이용 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자기 통제력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3(4), 269-287.

51.

최미미, 조용래 (2008). 지각된 부모 양육행동과 행동억제가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신념과 정서 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576-577.

52.

한국인터넷진흥원,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5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결과. http://search.msit.go.kr/RSA/front_new/Search.jsp에서 2016. 8. 10 인출.

53.

한동헌 (2012). 부모의 양육태도와 공격성과의 관계: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4.

한상연 (2015).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절하와 사회불안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허재홍 (2005b). 대학시기 사회불안 발생의 심리적 기제: 행동 억제 기질, 부모양육태도 및 외상경험의영향. 학생생활 연구, 17. 71-8.

56.

허재홍 (2005). 사회불안 치료기제 모형 검증: 자동적신체반응 체험과 자각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57.

허재홍 (2006). 부모 양육태도, 완벽주의, 외상 경험이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593-611.

58.

황영훈, 박은영 (2003). 애착 이론과 자아분화 이론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가족치료, 11(1), 155-177.

59.

홍원표 (2013).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 태도와 자아 분화가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0.

Alden, L. E., Taylor, C. T., Mellings, T. M. J. B., & Laposa, J. M. (2008). Social anxiety and the interpretation of positive social event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2(4), 577-590.

61.

APA (2015). DSM-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 (대표 역자 권준수). 서울: 학지사. (원전은2013년에 출판)

62.

Archer, S. L., & Waterman, A. S. (1988). Psychological individualism: Gender difference of gender neutrality. Human Development, 31, 65-81.

63.

Arnett, J. J. (2001). Conceptions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Perspectives from adolescence to midlife.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8(2), 133-143.

64.

Arrindell, W. A., Emmelkamp, P. M. G., Monsma, A., & Brilman, E. (1983). The role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practices in the etiology of phobic disorders: A controlled stud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3(2), 183-187.

65.

Arrindell, W. A., Kwee, M. G. T., Methorst, G. J., Van der Ende, J., Pol, E., & Moritz, B. J. (1989).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s of agoraphobic and socially phobic in-patient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5, 526-535.

66.

Arrindell, W. A., & Engebretsen, A. A. (2000). Convergent validity of the short-EMBU and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PBI): Dutch finding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7(4), 262-266.

67.

Asbrand, J., Svaldi, J., Krämer, M., Breuninger, C., & Tuschen-Caffier, B. (2016). Familial Accumulation of Social Anxiety Symptoms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PLoS ONE, 11(4), 1-14.

68.

Baumrind, D. (1991).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abus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1, 56-95.

6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70.

Bowen, M. (1976).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Guerin. P. M. Jr. (Ed). Family Therapy. New York: Gardner Press.

71.

Bowen, M. (1982).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ckson Aronson.

72.

Bruce, S. E., Yonkers, K. A., Otto, M. W., Eisen, J. L., Weisberg, R. B., Pagano, M., ... , Keller, M. B. (2005). Influence of psychiatric comorbidity on recovery and on recurrence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ocial phobia, and panic disorder: A 12-year prospective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6), 1179-1187.

73.

Bruch, M. A., Heimberg, R. G., Berger, P., & Collins, T. M. (1989). Social Phobia and perceptions of early parental amd personal characteristics, Anxiety Research, 2, 57-65.

74.

Buckner, J. D., Lemke, A. W., Jeffries, E. R., & Shah, S. M. (2017). Social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Test of the utility of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e.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45, 60-63.

75.

Clark, J. V., & Arkowitz, H. (1975). Social anxiety and self-evaluation of interpersonal performance. Psychological Report, 36. 211-221.

76.

DePaulo, B. M., Epstein, J. A., & LeMay, C. S. (1990). Responses of the socially anxious to the prospect of interpersonal eval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58(4), 623-640.

77.

Essau, C. A., & Conradt, J. (1999). Frequency and comorbidity of social phobia and social fears in adolescent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7(9), 831-843.

78.

Friedman, E. (1991). Bowen theory and therapy. In A. S. Gurman & D. P. Kniskern (Eds.), Handbook of family therapy(Vol. Ⅱ). by Alan S. Gurman and David P. Kniskern. New York: Brunner/Mazel, INC.

79.

Framo, J. L. (1984). Foundation of behavior research. New York: Holt, Rinehart Qwinston.

80.

Furman, W., & Buhrmester, D. (1992).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3(1), 103–115.

81.

Hayes, A. F. (2014). SPSS, SAS, Mplus Macros and codes. http://www.afhayes.com/spss-sas-andmplus-macros-and-code.html에서 2016.1.10. 인출.

82.

Heimberg, R. G., & Holt, C. S. (1993). The issue of subtypes in the diagnosis of social phobia.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7, 249-260.

83.

Hook, J. N., Valentiner, D. P., & Connelly, J. (2013). Performance and interaction anxiety: specific relationships with other-and self-evaluation concerns. Anxiety, Stress, & Coping, 26(2), 203-216.

84.

Karen, N., Luke, A., Downe, Y., Karen, H., Issac, S., & Con, S. (2013). Associations Between Social Anxie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Within Clinically Depressed Patients. Psychiatric Quarterly, 84(4), 513-521.

85.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NY: Norton 1988.

86.

Kerr, M. E., & Bowen, M. (2005).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남순현, 전영주, 황영훈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1988에 출판).

87.

Klint, F., Devon, P., & Lynn, E. A. (2017). Are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Best Conceptualized as a Unitary Trait?.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36(4), 335-345

88.

La Greca, A. M., & Stone, W. L. (1993).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2, 17- 27.

89.

Last, C. G., Hersen, M., Kazdin, A. E., Orvashcel, H., & Perrin, S. (1991).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8, 928- 934.

90.

Liebowitz, M. R., (1987). Social phobia. Modern Problems of Pharmacopsychiatry, 22, 141-173.

91.

Mattick, R. P., & Clarke, J. C.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ocial phobia scrutiny fear and social.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6(4), 455-470.

92.

Nagata, T., Suzuki, F., & Teo, A. R. (2015). Generalized social anxiety disorder: A stillneglected anxiety disorder 3 decades since Liebowitz's review. Psychiatry & Clinical Neurosciences. 69(12), 724-740.

93.

Peleg, O. (2005).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and Social Anxiety: What Can Be Learned from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 167–183

94.

Peleg, O., Deutch, C., & Dan, O. (2016). Test anxiet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ts relation to perceived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s and differentiation of self. Learning & Individual Differences, 49, 428-436.

95.

Peleg-Popko, O. (2002). Bowen theory: A study of differentiation of self, social anxiety, and physiological symptom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4, 355-369.

96.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AMO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 879-891.

97.

Schaefer, E. S. (1965). Children's reports of parental behavior inventory, Child Development, 36, 417-424.

98.

Schlenker, B. R., & Leary, M. R. (1982).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and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92(3), 641-669.

99.

Schneier, F. R., Johnson, J., Hornig, C. D., Liebowitz, M. R., & Weissman, M. M. (1992). Social phobia;Comorbidity and morbidity in an epidemiologic samp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9(4), 282-288.

100.

Skowron, E. A., & Friedlander, M. L. (1998).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235-246.

101.

Skowron, E. A., & Schmitt, T. A. (2003). Assessing interpersonal fu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DSI fusion with others sub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9(2), 209-222.

102.

Stopa, L., & Clark, D. M. (1993). Cognitive processes in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1(3), 255-267.

103.

Symonds, P. M. (1949).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New York: Bureau of Publication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04.

Vernberg, E. M., Abwender, D. A., Ewell, K. K., & Beery, S. H. (1992). Social anxiety and peer relationships in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 189- 196.

105.

Wallace, S. T., & Alden, L. E. (1995). Social anxiety and standard setting following social success or failur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6), 613-631.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