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생애 단계별(청소년, 대학생, 직장인) 지각된 스마트폰 사용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The Concept Map on Smartphone Stress Factors Based on the Life-Stage (Adolescent, Undergraduate, and Office Worker)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7, v.22 no.3, pp.745-777
https://doi.org/10.17315/kjhp.2017.22.3.015
김나래 (연세대학교)
유기은 (연세대학교)
김지혜 (연세대학교)
이기학 (연세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생애단계에 따라 청소년, 대학생, 직장인 집단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받는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청소년 16명, 대학생 15명, 직장인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후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경험하는 주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아이디어로 50∼64개의 핵심문장을 산출하고, 참여자들이 유사성 분류를 한 결과에 대해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해 개념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이 경험하는 스마트폰 스트레스 군집으로는 1) 외부적(부모 및 학교) 제재, 2) 과다사용 및 절제 어려움, 3) SNS 사용 관련, 4) 기기 및 기능 관련, 5) 인간관계 관련으로 범주화되었다. 공감도 평정 결과, 청소년들은 과다 사용 및 절제 어려움과 인간관계 관련 스트레스 군집에 높은 평정치를 보였으며, SNS사용과 관련한 스트레스는 가장 낮은 공감 평정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이 경험하는 스마트폰 스트레스 군집은 1) 과다사용에 따른 불편감, 2) SNS를 통한 인간관계 문제, 3) 프라이버시 침해, 4) 정보 확인 관련, 5) 기기 및 기능 자체로 범주화되었다. 공감도 평정 결과, 대학생들은 프라이버시 침해와 과다사용에 따른 불편감에 높은 평정치를 보였고, 기기 및 기능 자체에 대한 스트레스는 가장 낮은 공감 평정도를 보였다. 셋째, 직장인이 경험하는 스마트폰 스트레스 군집은 1) 과도한 정보에의 노출, 2) 인간관계 문제, 3) 사회변화에 대한 통찰, 4) 타인에 대한 의식, 5) 업무 및 직장생활 관련, 6)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주객전도로 범주화되었다. 공감도 평정 결과, 직장인들은 업무 및 직장생활 관련 스트레스와 과도한 정보에의 노출에 가장 높은 공감을 보였으며, 타인에 대한 의식과 인간관계 문제는 가장 낮은 공감 평정도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애단계별 스마트폰 스트레스와 관련한 연구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smartphone stress, adolescent, undergraduate, worker, concept mapping, 스마트폰 스트레스, 청소년, 대학생, 직장인, 개념도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stress factors from the smartphone usage based on different life-stages(adolescent, undergraduate, and office worker) via concept mapping method, which is a methodology used to produce a map of the ideas of participants. 1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5 undergraduates, and 15 office workers were interviewed and the key points extracted were then grouped by similarity. (key sentences for the ideas about smartphone stress were extracted and sorted between similar ones by those interviewees.)Multidimensional scaling(MD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tilized to perform the concept mapping analysis process.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adolescents participants identified 5 stress factors that they had experienced: 1) external(parent/teacher) restriction, 2) excessive use and self-control difficulties, 3) SNS(Social Network Service) related stress, 4) equipment and function related stress, 5) relationship related stress. Through the participants' sympathy rating, adolescent participants sympathize with the contents of the 'excessive use and relationship related stress' clusters the most. On the contrary, 'SNS related stress' cluster evoke the least sympathy from them. Second, undergraduate participants identified 5 stress factors that they had experienced: 1) discomfort from overuse, 2) relationship in SNS(Social Network Service), 3) invasion of privacy, 4) obsession with information checking, 5) equipment and function related stress. Among them, 'invasion of privacy and discomfort from overuse'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factors whilst 'equipment and function related stress' was gain the least sympathy from the participants. Third, office worker participants identified 6 stress factors that they had experienced: 1) excessive exposure to the information, 2) relationship issue, 3) concerns towards (insight of )societal change, 4) consciousness of others(be aware of the way other people are looking at one), 5) work and job related stress, 6) over-domination of smartphone("a reversal of the order of host and guest"). Workers reported they feel sympathy with 'excessive exposure to the information and work and job related stress' cluster the most and 'consciousness to others and relationship issue' cluster the least.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were proposed.

keywords
smartphone stress, adolescent, undergraduate, worker, concept mapping, 스마트폰 스트레스, 청소년, 대학생, 직장인, 개념도

참고문헌

1.

강석영, 윤민지, 이동훈 (2015).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 및 예방교육에 대한 부모, 교사, 학교 현장 전문가의 인식. 인문학논총, 39, 263-296.

2.

고성자 (2012). 초등학생용 휴대전화 의존성 진단척도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25(2) 43-68.

3.

고용노동부 (2016). 기업·근로자가 체감하는 근로관행에대한 실태조사. http://eiec.kdi.re.kr/policy/material/view.jsp?num=161177&dcount=&searchtopic=&showListSize=20&pageNo=1에서 2017, 4, 24 인출.

4.

김나래, 이기학 (2016). 여성의 자발적 경력변경(Voluntary Career Change) 영향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7(1), 227-248.

5.

김동일, 이윤희, 이주영, 김명찬, 금창민, 남지은, ... 정여주 (2012). 미디어 이용 대체 보완과 중독: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0(1), 71-88.

6.

김동일, 정여주, 이윤희 (2014). 청소년 스마트폰 건전사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청소년상담연구, 22(1), 393-421.

7.

김병년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4), 208-217.

8.

김완석, 김인구 (2013). 대입 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 인지 및 대처유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143-161.

9.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10.

김헌식, 장서윤, 권석정, 강일권, 김겨울 (2016). 대중문화 트렌드 2017. 서울: 마리북스.

11.

김재엽, 양세정 (2013).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성별과 한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5(1), 1-22.

12.

마은애, 손은정 (2014).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 욕구 좌절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5), 2035-2051.

13.

박성복, 황하성 (2014).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탐구. 한국언론학보, 58(4), 289-311.

14.

박영석 (2017, 01, 22). 스마트폰 없이 못사는 대한민국… “60대 10%가 중독위험”.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21/0200000000AKR20170121025600017.HTML?input=1195m에서 2017, 5, 1 인출.

15.

박웅기 (2003). 대학생들의 이동전화 중독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7(2), 250-281.

16.

박인곤, 신동희 (2010).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0(4), 192-225.

17.

심효평, 김도연 (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언론학연구, 17(4), 149-174.

18.

안주아 (2016).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중독. 언론과학연구, 16(4), 128-162.

19.

유태정, 김석선 (201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4(2), 127-135.

20.

이보라, 김미애, 이기학 (2005). 외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1), 99-112.

21.

이상서 (2017, 01, 05). 프랑스는 접속차단권리 보장…우리는 ‘카톡 야근중’.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03/0200000000AKR20170103133800797.HTML에서 2017, 4, 19 인출.

22.

이슬비, 김지연 (2017, 03, 23). 1시간 34번… 스마트폰코 박은 스몸비에 받혔다.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20/2017032000064.html에서 2017, 4, 19 인출.

23.

임숙희, 권선중, 엄나래, 김민정, 신현지, 김교헌 (2014).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 지표 개발을 위한예비 연구. 사회과학연구, 20(2), 549-565.

24.

임지훈 (2017, 02, 14). 직장인 80% “업무시간 외에도회사연락 받는다”, 서울경제, http://www.sedaily.com/NewsView/1OC3CBVM1M/에서 2017, 4, 19인출.

25.

원용진, 이동연, 노명우 (2006). 청소년주의와 세대 신화. 한국언론정보학보, 36, 324-347.

26.

안수정 (2017, 04, 14). 혼자가 편한 대학생들... 78.4%“나는 혼밥러”. 잡코리아, http://www.jobkorea.co.kr/goodjob/news/View?News_No=11971&schCtgr=100004&schGrpCtgr=100&Page=2에서 2017, 4, 23인출.

27.

장근영, 윤진 (1992). 청소년기 자아중심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5(1), 157-175.

28.

장석진, 송소원, 조민아 (2012).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또래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9(5), 161-187.

29.

장유미, 유금란 (2016). 위기 상황과 현재 상황에서 중학생의 희망 재충전 및 증진 전략 탐색. 청소년연구, 27(2), 243-270.

30.

장은경, 이후경 (2010). 스마트폰 이용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3, 129-145.

31.

장진숙 (2017). 헌법상 자기정보관리통제권과 잊혀질 권리. 아주법학, 10(4), 73-120.

32.

정구철 (2016).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4), 655-665.

33.

정만수 (2014). 연령과 인지욕구가 스마트폰 사용행동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마트폰 의존도, 앱 활용도, 앱 호감도, 사생활침해 우려, 광고회피행동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5(6), 105-133.

3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SNS 이용현황. 충북:정보통신정책연구원.

35.

정지원 (2017, 04, 04). 4차 산업혁명 시대 ‘노동 디지털화’는 양날의 칼. 시사저널 e, 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67110에서 2017, 5, 24 인출.

36.

정애경, 김계현, 김동민 (2008). 진로상담: 진로미결정 및 관련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9(2), 551-564.

37.

조규영, 김윤희 (2014).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3), 1632-1640.

38.

조현, 남달우, 김성희 (2011).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2(3), 251-268.

39.

조화 (2013). 스마트폰 이용자의 성별· 연령별 이용현황에 대한 연구. Internet & Security Focus, 11, 35-51.

40.

천명재, 김창대 (2005). 인터넷 이용동기 프로파일에 의한 인터넷 중독자 분류 연구. 상담학연구, 6(1), 211-227.

41.

최운실, 이희수, 변종임 (2003). 생애단계에 따른 평생교육 체제 모델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9(3), 299-325.

42.

최윤정, 김계현 (2007). 진로상담: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Concept Mapping) 연구: 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 간의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1045.

43.

최윤정, 윤혜정, 이중정 (2013).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측정지표 개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2(3), 87-104.

44.

최은미, 김명식 (2016).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을 위한동기강화중심 집단상담과 인지행동 집단상담의 효과 연구. 상담학연구, 17(3), 169-185.

45.

최정일, 장예진 (2015). 스마트 폰의 연령별 이용 형태와 보안의 필요성. 융합보안논문지, 15(6), 89-97.

46.

한경 경제용어사전 (2009, 11, 23). 디지털 장의사.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http://dic.hankyung.com/apps/economy.view?seq=11399에서 2017, 4, 23 인출.

47.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미디어이슈-2권 3호-연결되지않을 권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http://www.kpf.or.kr/site/kpf/research/selectMediaPdsView.do?seq=573930에서 2017, 4, 23 인출.

48.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2012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3027에서 2017, 4, 23 인출.

4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2012년 정보문화실태조사.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8302&bcIdx=11268&parentSeq=11268에서 2017, 4, 23 인출.

50.

홍지은, 강민주 (2013). 고등학생의 SNS 이용 행태가자아존중감과 공적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4(3), 33-65.

51.

황하성, 손승혜, 최윤정 (2011). 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5(2), 277-313.

52.

Barker, V. (2009). Older adolescents’ motivations for social network site use: the influence of gender, group ident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2(2), 209-213.

53.

Brod, C. (1984). Technostress: The human cost of the computer revolution. Reading, MA: Addison-Wesley.

54.

Creswell, J. W.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Choosing among five design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8에출판)

55.

Elo, A. L., Leppänen, A., & Jahkola, A. (2003). Validity of a single-item measure of stress symptom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29(6), 444-451.

56.

Gebauer, J., & Shaw, M. J. (2004). Success factors and impacts of mobile business applications:results from a mobile e-procuremen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8(3), 19-41.

57.

Jackson, H., & Nuttall, R. L. (2001). Risk for preadolescent suicidal behavior: An ecological model.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er Journal, 18, 189-203.

58.

Kamibeppu, K., & Sugiura, H. (2005). Impact of the mobile phone on junior high-school students'friendship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Cyberpsychology & Behavior, 8(2), 121-130.

59.

Kane, M., & Trochim, W. M.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60.

KT경제경영연구소 (2016), ‘2016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 전망’보고서. 서울: KT경제경영연구소. http://www.digieco.co.kr/KTFront/board/board_view.action?board_seq=11047&board_id=issue_trend에서2017, 4, 18 인출.

61.

KT경제경영연구소 (2017), ‘2017년 모바일 트렌드 전망’보고서. 서울: KT경제경영연구소. http://www.digieco.co.kr/KTFront/board/board_view.action?board_seq=11371&board_id=issue_trend에서 2017, 4, 18 인출.

62.

Lazarus, R. S., & Folkman, S. (1984). Coping and adaptation. In W. D. Gentry (Ed.),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pp. 282-325). New York:Guilford.

63.

Lee, Y. K., Chang, C. T., Lin, Y., & Cheng, Z. H. (2014). The dark side of smartphone usage:Psychological traits, compulsive behavior and technostre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 373-383.

64.

Liang, T. P., & Wei, C. P. (2004).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Mobile commer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8(3), 7-17.

65.

Ohly, S., & Latour, A. (2014). Work-Related Smartphone Use and Well-Being in the Evening.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13, 174-183.

66.

Paulson, B. L.,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spectiv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1), 86-93.

67.

Perpek, T. A., Yermolayerva, Y. A., & Calvert, S. L. (2009). College students’ social networking experiences on Facebook.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0(3), 227-238.

68.

Pillow, D. R., Zautra, A. J., & Sandler, I. (1996). Major life events and minor stressors: Identifying mediational links in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81.

69.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Basic Books.

70.

Schulenberg, J. E., Bryant, A. L., & O'malley, P. M. (2004). Taking hold of some kind of life: How developmental tasks relate to trajectories of well-being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6(4), 1119-114

71.

Shiner, R. L., & Masten, A. S. (2002). Transactional links between personality and adaptation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6(6), 580-588.

72.

Valkenburg, P. M., Peter, J., & Schouten, A. P. (2006). Friend networking sit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dolescents well-being and socal self-esteem.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9(5), 173-177.

73.

Yun, H., Kettinger, W. J., & Lee, C. C. (2012). A new open door: the smartphone's impact on work-to-life conflict, stress, and resist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6(4), 121-15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