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dergraduates: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Physique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7, v.22 no.4, pp.925-941
https://doi.org/10.17315/kjhp.2017.22.4.00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Physique Anxiety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MPS), Self-Concept Clarity Scale(SCCS), Social Physique Anxieties Scal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KEAT-26) are used as measurements. The data from 381 undergraduate female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Physique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ncept Clarity. Also, Self-Concept Clarit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Physique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In addition, Social Physique Anxie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Seco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not directly an effect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but only indirectly an effect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via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Physique Anxiety. So,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Physique Anxiety had a complete dua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keywords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이상 섭식 행동,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적 체형불안,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Disordered Eating Behaviors, Self-Concept Clarity, Social Physique Anxiety.

Reference

1.

강선영, 홍혜영 (2012). 직장인의 자기애와 공격성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통합치료연구, 4(1), 25-51.

2.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3.

김대익 (1998). Self-concept clarity in Korea :Personality, self-consciousness and behavioral correlates.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미소 (2015).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 명확성과 특성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미형 (2014). 여대생의 사회적 체형불안과 자아존중감이 신체활동과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승경, 손승아 (2005). 여대생의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여성건강, 6(1), 53-70.

7.

김신희 (2013, 6, 7). 20대 섭식장애 여성, 남성보다 약9배 높아. 미디어생활. http://m.imedialife.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15에서 2016, 11, 02 인출.

8.

김응주 (2016).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지윤, 이동귀 (2013).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4(1), 63-82.

10.

김현지, 김미예, 김덕진 (2014). 여대생의 사회적 체형불안 척도 개발.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8(3), 143-165.

11.

남정혜, 이수재, 김현정 (2014). 경기 일부지역 여대생의 체질량지수와 섭식장애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식품영약학회지, 27(1), 80-88.

12.

대한비만학회 (2012). 비만치료지침. 서울: 대한비만학회.

13.

도현정, 김정민 (2014). 여자 청소년의 행동억제와 섭식태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체형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3), 57-82.

14.

디지털뉴스부 (2016, 05, 16). 한국여성 살빼기 노력 ‘세계 최고’. 국제신문.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0200&key=20060516.99002081605에서 2016, 10, 20 인출.

15.

류애리, 송원영 (2013).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신체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신체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45-365.

16.

마지혜 (2016. 7. 12). 과도한 다이어트…'섭식장애' 급증…'폭토'·'씹뱉'을 아시나요. 한국경제. http://health.hankyung.com/article/2016071149881에서2016, 11, 29 인출.

17.

박세희, 박경 (2016). 자기비난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연구와 실제, 2(1), 19-37.

18.

박지연, 신민섭, 김은정 (2011).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신체에 대한 수치심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663-679.

19.

박지연, 양난미 (2014).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363-388.

20.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21.

송은영, 하은혜 (2008). 청소년의 외상 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영향. 인지행동치료, 8(1), 41-56.

22.

양수진, 최영, 이형영 (2001). 도시 여고생들의 식이 태도와 자아 정체감 및 자아 존중감. 신경정신의학, 40(3), 477-486.

23.

오경자, 정현강 (2008). 이상 섭식 행동에 영향을 주는완벽주의 성향과 정서조절 양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41-55.

24.

옥주희, 김은정 (2015). 부정적 자기개념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5(3), 619-637.

25.

왕미란 (1995). 완벽주의, 자의식 및 우울성향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경혜, 김숙경, 천기정, 한숙희 (2003). 여자대학생들의섭식장애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4), 390-399.

27.

이미화, 류진혜 (2002).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 성취목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 관련하여. 청소년학연구, 9(3), 293-316.

28.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손창호, 정영조, 홍성국, ... 윤애리 (1998). 한국판 식사태도검사-26((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s Test-26: KEAT-26)표준화 연구 I: 신뢰도 및 요인분석. 정신신체의학, 6(2), 155-175.

29.

이민규, 고영택, 이혜경, 황을지, 이영호 (2001). 한국판식사태도검사-26(The Eating Attitude Test-26:KEAT-26)의 타당화. 정신신체의학, 9(2), 153-163.

30.

이수란, 이동귀 (2008). 자존감의 영역별 수반성과 자기평가 간 불일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313-335.

31.

이은주 (2009). 여자청소년의 섭식장애 증상과 사회문화적적 요인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0(2), 307-326.

32.

이정윤 (2003). 여대생의 이상식사행동 수준에 따른 심리적, 정서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111-124.

33.

이지연, 김아름, 박미란 (2010).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정서강도, 정서인식명확성에 따른 하위집단과 정신건강. 아시아교육연구, 11(3), 181-207.

34.

이진영 (2016).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및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의 조절효과. 서울여자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이진희 (2009). 무용수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내재화가 대상화된 신체의식, 사회적 체형 불안 및섭식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48(1), 81-91.

36.

이현정, 이승연 (2016). 여대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1), 83-99.

37.

전수빈 (2012). 여대생의 사회문화적 압력과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정대용, 채연희 (2016). 고용가능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9(1), 467-488.

39.

조경희, 이봉건 (2015). 경험논문: 자기개념 명확성이 이상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 비교 및 신체불만족의 이중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2), 469-484.

40.

조진주 (2008). 청소년의 애착과 완벽주의성향이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최진영 (2000). 여대생의 섭식절제와 신체불만족 및 완벽주의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3.

황규영 (2014).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사회적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 한국스포츠학회지, 12(3), 149-161.

44.

황란희 (2009). 여대생의 섭식장애,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관계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5(4), 328-335.

45.

Campbell, J. D., Trapnell, P. D., Heine, S. J., Katz, I. M., Lavallee, L. F., & Lehman, D. R. (1996). Self-concept clarity: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1), 141-156.

46.

Crocker, J., & Wolfe, C. T. (2001). Contingencies of self-worth. Psychological Review, 108(3), 593-623.

47.

Dunn, E. C., Neighbors, C., & Larimer, M. (2003). Assessing readiness to change binge eating and compensatory behaviors. Eating Behaviors, 4(3), 305-314.

48.

Flett, G. L., & Hewitt, P. L. (2013). 완벽주의 이론, 연구 및 치료 (박현주, 이동귀, 신지은, 차영은, 서해나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2에 출판)

49.

Garner, D. M., Olmsted, M. P., Bohr, Y., & Garfinkel, P. E. (1982). The Eating Attitudes Test: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ogical Medicine, 12(4), 871-878.

50.

Haase, A. M., Prapavessis, H., & Owens, R. G. (2002). Perfectionism, social physique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elite athlete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3(3), 209-222.

51.

Hart, E. A., Leary, M. R., & Rejeski, W. J. (1989). The measurement of social physique anxiety.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1(1), 94-104.

52.

Hayes, F. A. (2015).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이형권 편역). 경기: 신영사. (원전은 2013에 출판)

53.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470.

54.

Mintz, L. B., O'Halloran, M. S., Mulholland, A. M., & Schneider, P. A. (1997). Questionnaire for eating disorder diagnos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perationalizing DSM-IV criteria into a selfreport forma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1), 63-79.

55.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56.

Stein, D., Kaye, W. H., Matsunaga, H., Orbach, I., Har-Even, D., Frank, G., ... Rao, R. (2002). Eating-related concerns, mood, and personality traits in recovered bulimia nervosa subjects: A replica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32(2), 225-229.

57.

Stopa, L., Brown, M. A., Luke, M. A., & Hirsch, C. R. (2010). Constructing a self: The role of selfstructure and self-certainty in social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8(10), 955-965.

58.

Thompson, A. M., & Chad, K. E. (2002). The relationship of social physique anxiety to risk for developing an eating disorder in young female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1(2), 183-189.

59.

Thompson, J. K., & Stice, E. (2001). Mounting evidence for a new risk factor for body image disturbance and eating pathology. Current Direction in Psychological Science, 10, 181-183.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