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위 공격성의 심리적 기제를 파악하기 위해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분노 억제, 분노 표출)의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참가자 327명(남자 128명, 여자 198명)의 설문지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 검증한 결과, 경쟁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이를 토대로 결과를 살펴보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 표출의 관계에서 분노 억제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했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분노 억제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분노 억제와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분노 표출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고, 결과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을 이중으로 매개하여 전위 공격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위 공격성이 높은 개인에게 문제시되는 정서와 정서 처리 방식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치료 접근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displaced aggression, investigating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e., anger-in, anger-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A total of 327 adults (128 males, 198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no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We compared the model fit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and found that the competition model was the best model for the present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relationships between noted anger-in fully mediated as no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out, and anger-in partially mediated as s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and displaced aggression. Also, the incident of anger-ou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in and displaced agg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cident of internalized shame influenced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anger-in and anger-out with dual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are going to be useful for clinicians to understand and assist clients who have problems of managing their displaced aggression with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Furthermo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김계현 (1993). 분노조절 프로그램. 청소년 범죄연구, 11(11), 49-64.
김교헌, 전겸구 (1997). 분노, 적대감 및 스트레스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2(1), 79-95.
김미란 (2001). 고등학생의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우울 및 공격성의 차이. 대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미림, 홍혜영 (2013). 중학생의 수치심 경향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135-156.
김상균 (2016). 여성수형자의 사회심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2(4), 27-46.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현주, 이정윤 (2011). 청소년의 애착과 분노표현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2), 965-981.
박경화 (1991). 한국인의 자아방어기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박영숙 (1993). 연령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차이에 관한 연구. 이화의대지, 16(2), 133-143.
박혜성, 홍창희 (2008). 고등학생들의 분노표현방식에 따른 감정표현기법과 인지이완기법의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1(2), 53-69.
서민재, 박기환 (2013). 전위 공격성과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신체화 및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163-181.
서수균, 권석만 (2002a).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1(4), 809-826.
서수균, 권석만 (2002b).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1.
송지은, 황순택, 전미주 (2009).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한국 심리학회지: 학교, 6(2), 213-227.
신종희 (2002).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우울, 불안, 공격성의 차이-여중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은주 (2007). 청소년의 분노경험과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이철호, 이민규 (2007). 분노 조절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분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1), 35-46.
이하나 (2009). 전위된 공격성 집단의 특성에 관한 탐색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1998).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STAXI-K).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3(1), 18-32.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정해숙, 정남운 (2011).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분노표현 양식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2(2), 89-107.
조긍호, 김지연, 최경순 (2009). 문화성향과 분노통제: 분노 수준과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69-90.
조은영 (2011).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분노특성과 전위 공격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주지영 (2005). 고등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우울 및 공격성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천성문, 이영순, 이현림 (2000).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53-82.
최임정, 심혜숙 (201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방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79-492.
최효선 (2003).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시행과정 연구: 비행아동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표 현 (2012).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또래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일반집단과 잠재비행집단 비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황선주, 박기환 (2014). 우울-품행장애성향 청소년의 전위 공격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1125-1144.
황지선 (2013). 성인 애착이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 과잉활성화, 정서 비활성화, 외로움 및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Ausubel, D. P. (1955). Relationships between shame and guilt in the socializing process. Psychological review, 62(5), 378-390.
Averill, J. R. (1983).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38(11), 1145-1160.
Berkowitz, L. (1990). On the Formation and Regulation of Anger and Agg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45(4), 494-503.
Bushman, B. J., Bonacci, A. M., Pedersen, W. C., Vasquez, E. A., & Miller, N. (2005). Chewing on it can chew you up: effects of rumination on triggered displaced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6), 969-983.
Claesson, K., & Sohlberg, S. (2002). Internalized Shame and Early Interactions Characterized by Indifference, bandonment an Rejection: Replicated Finding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9(4), 277-284.
Cook, D. R. (1988).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4(2), 197-215.
Denson, T. F., Pedersen, W. C., & Miller, N. (2006). The displaced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ail Psychology, 90(6), 1032-1051.
Denson, T. F., Pedersen, W. C., Ronquillo, J., & Miller, N. (2008). Trait displaced aggression, phys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 process model. In S. Boag (Ed.), Personality down under: Perspectives from Australia (pp. 203-211). Hauppauge, NY, US: Nova Science Publishers.
Dollard, J., Doob, L. W., Miller, N. E., Mowrer, O. H., & Sears, R. R. (1939). Frustration and aggression.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Epstein, R. (1965). Authoritarianism, displaced aggression, and social status of the targe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4), 585-589.
Forgays, D. G., Forgays, D. K., & Spielberger, C. D. (1997). Factor Structure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9(3), 497-507.
Frodi, A., Macaulay, J., & Thome, P. R. (1977). Are women always less aggressive than men? A review of the experimental literature. Psychological Bulletin, 84(4), 634-660.
Hovland, C., & Sears, R. (1940). Minor studies in aggression: VI. Correlation of lynchings with economic indices. Journal of Psychology, 9(2), 301-310.
Kaufman, G. (1974). The meaning of shame: Toward a self-affirming ident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1(6), 568-574.
Kaufmann, H., & Feshbach, S. (1963). Displaced aggression and its modification through exposure to antiaggressive communications.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7(1), 79-83.
Kim, B. S., Atkinson, D. R., & Yang, P. H. (1999). The Asian Values Scale: Development, factor analysis, validation, and reliabil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3), 342-352.
Lewis, H.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Psychoanalytic review, 58(3), 419-438.
Lewis, M. (1995). Shame: the exposed self. New York: Free Press.
Liu, Y., Wang, M., Chang, C. H., Shi, J., Zhou, L., & Shao, R. (2015). Work–family conflict, emotional exhaustion, and displaced aggression toward others: The moderating roles of workplace interpersonal conflict and perceived managerial family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0(3), 793-808.
Marcus-Newhall, A., Pedersen, W. C., Carlson, M., & Miller, N. (2000). Displaced aggression is alive and well: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4), 670-689.
Megargee, E. I. (1973). Recent research on over-controlled and under-controlled personality patterns among violent offenders. Sociological Symposium, 9, 37-50.
Miller, N. E. (1948). Theory and experiment relating psychoanalytic displacement to stimulusresponse generalization.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3(2), 155-178.
Miller, N., Pedersen, W. C., Earleywine, M., & Pollock, V. E. (2003). A theoretical model of triggered displaced aggres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7(1), 75-97.
Nathanson, D. L. (Ed.). (1987). The many faces of shame. New York: Guilford Press.
Nolen-Hoeksema, S. (1991).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4), 569-582.
Pedersen, W. C., Gonzales, C., & Miller, N. (2000). The moderating effect of trivial triggering provocation on displaced aggression. Jou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5), 913-927.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Spielberger, C. D. (1988).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 Individual differences, stress, and health psychology (pp. 89-108). New York: Springer Verlag.
Tangney, J. P., Miller, R. S., Flicker, L., & Barlow, D. H. (1996). Are shame, guilt, and embarrassment distinct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256-1269.
Tangney, J. P., Niedenthal, P. M., Covert, M. V., & Barlow, D. H. (1998). Are shame and guilt related to distinct self-discrepancies? A test of Higgins's (1987) hypothe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1), 256-268.
Tangney, J. P., Wagner, P. E., Hill-Barlow, D., Marschall, D. E., & Gramzow, R. (1996).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constructive versus destructive responses to anger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4), 797-809.
Taylor, A. B., MacKinnon, D. P., & Tein, J. Y. (2008). Tests of the three-path mediated effect.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1(2), 241-269.
Yontef, G. (2008). 알아차림, 대화 그리고 과정: 게슈탈트 치료에 대한 이론적 고찰 [Awareness, dialogue & process : essays on gestalt therapy]. (김정규, 김영주, 심정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3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