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Targeted organ procurement and transplantation coordinato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1, pp.127-14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 procurement and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To this end, emotional labor scal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cale, self-soothing ability scale, and job burnout scale were used, and among organ procurement and transplant coordinators registered on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KONOS), 94 participated in a survey for the analysis. Considering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a research model and a competition model were set, and then a final model was selected based on their comparison. According to the final model, emotional labor not only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it by mediating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soothing ability.

keywords
장기구득 및 이식코디네이터, 감정노동, 조직지원인식, 자기위로능력, 직무소진, organ procurement and transplant, organ procurement coordinators,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 emotional labor, job burnou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lf-soothing ability

Reference

1.

강소영 (2015). 간호학생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의 조절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21(1), 77-87.

2.

강인언, 이지영, 윤대혁. (2013). 방호업체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조직지원인식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0(5), 45-61.

3.

강학구 (1996).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특징과 요인간의 관계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2016). http://www.konos.go.kr/konosis/index.jsp에서 2016. 11. 5 자료 얻음.

5.

권순범 (2017). 직무요구-자원 관점에서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권정은 (2012). 교사의 직무환경과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경휘 (2017).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자본 및 서비스 질의 관계.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민주 (1998).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21(2), 129-141.

9.

김수옥, 왕미숙 (2015).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긍정자원 및 직무소진에 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2), 1273-1283.

10.

김영실 (2014).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김재희, 김욱 (2015). 서울시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전문적 역량의 조절효과. 서울도시연구, 16(4), 195-216.

12.

김종길(2015).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1(6), 721-728.

13.

박동필, 이지연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53-70.

14.

박부선, 곽원준 (2015). 장기구득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관심의 조절효과. 한국비즈니스리뷰, 8(2), 19-32.

15.

박상언, 김민용 (2006). 직무요구와 직무소진(Job Burnout) 그리고 조직공정성 요인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5(2), 367-388.

16.

박상언, 신다혜 (2011). 감정노동과 직장-가정 갈등. 인사조직연구, 19(1), 227-266.

17.

박성심 (2017). 혈액 투석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료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은아, 손헌일, 이찬수 (2014). 환대산업의 감정노동 연구동향: 국내학술지 내용 분석. 관광연구, 29(4), 291-307.

19.

박은정 (2016). 감정노동과 노동법. 노동정책연구, 16(3), 55-85.

20.

박효서 (1999). 자기위로능력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22.

서재현 (2000). 조직공정성이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29(3), 451-472.

23.

서진희 (2014).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설지선 (2015).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 효과.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손행미, 고문희, 김춘미, 이명선 (2006).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실무경험. 대한간호학회지, 36(6), 1012-1022.

26.

신영숙, 이지연 (2014).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2(3), 463-489.

27.

신향란, 모정희. (2017). 피부미용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원의 조절적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2), 349-358.

28.

양야기, 유혜숙 (2012).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감정노동,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자아 개념의 매개 및 조절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9(2), 158-167.

29.

양혜련(2015). 비서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상사-비서 교환관계(LMX)의 역할. 비서학논총, 24(1), 197-221.

30.

오아라, 박경규, 용현주 (2013). 조직지원인식과 직장 내 일탈행동의 관계: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기반 자긍심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6(1), 119-147.

31.

원선화 (2015). 고등학생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3(2), 75-84.

32.

윤일현 (2010). 사회복지사의 직무행동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이경란, 김정미 (2016).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능과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간호행정학회지, 22(1), 22-32.

34.

이상우, 박혜리, 박성진, 한진욱 (2017). 골프장 종사자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골프학회지, 11(1), 35-53.

35.

이선일 (2017).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감정노동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영애, 변상해 (2015).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상담사의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238-249.

37.

이재학 (2014). 유통산업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교육이 서비스제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전문경영인연구, 17(3), 99-123.

38.

이정철, 이정욱, 조윤직 (2015).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2), 353-383.

39.

장미경, 강상묵 (2013).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지원 인식이 조직공정성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Tourism Research, 38(4), 107-123.

40.

장정애 (2017). 장기요양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2(2), 215-244.

41.

장정우 (2016). 톨게이트 여성근로자들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2.

조한용 (2016).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창조와 혁신, 9(2), 85-117.

43.

최정임, 전순영 (2014). 감정노동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 연구. 기업경영연구(구 동림경영연구), 55, 71-91.

44.

허정, 이희천 (2015). 의료관광산업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사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30(3), 367-387.

45.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6.

황진숙 (2015).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Ashforth, B. E., & Humphrey, R. H. (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48.

Bagozzi, R. P., & Edwards, J. R. (1998). A general approach for representing construc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1), 45-87.

49.

Bakker, A. B., Demerouti, E., & Euwema, M. C. (2005). Job resources buffer the impact of job demands on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2), 170-180.

50.

Bakker, A. B., Demerouti, E., & Verbeke, W. (2004). Using the job demands resources model to predict burnout and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43(1), 83-104.

51.

Bandalos, D. L. (2002).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1), 78-102.

52.

Cherniss, C. (1980). Staff burnout: Job stress in the human servic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53.

Cordes, C. L., & Dougherty, T. W. (1993). A review and integration of research on the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4), 621-656.

54.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55.

Demerouti, E., Bakker, A. B., Nachreiner, F., & Schaufeli, W. B. (2001).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99-512.

56.

Eisenberger, R., Armeli, S., Rexwinkel, B., Lynch, P. D., & Rhoades, L. (2001). Reciproca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1), 42-51.

57.

Freudenberger, H. J. (1975). The staff burn-out syndrome in alternative institution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 Practice, 12(1), 73-82.

58.

Glassman, E. J. (1989). Development of a self-report measure of soothing receptivity. Canada: York Univ.

59.

Hakanen, J. J., Schaufeli, W. B., & Ahola, K. (2008).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 three-year cross-lagged study of burnout, depression, commitment, and work engagement. Work & Stress, 22(3), 224-241.

60.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1.

Karasek Jr., R. A. (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2), 285-308.

62.

Lee, R. T., & Ashforth, B. E. (1996).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2), 123-133.

63.

Leiter, M. P. (1993). Burnout as a developmental process: Consideration of models. In W. B. Schaufeli, C. Maslach, & T. Marek (Eds.),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pp. 237-250). Washington, DC: Taylor and Francis.

64.

Maslach, C. (1976). Burnout. Human Behavior, 5, 16-22.

65.

Maslach, C. (1982). Вurnout: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Prentice.

66.

Maslach, C., Jackson, S. E., & Leiter, M. P. (1981).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67.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397-422.

68.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69.

Moser, M. L. (1991). Transitional object and their relationship to self-soothing mechanisms in latency-aged children. San Diego: Califonia school of psychology.

70.

Poelmans, S., & Sahibzada, K. (2004). A multi-level model for studying the context and impact of work–family policies and culture in organiz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4(4), 409-431.

71.

Rhoades, L., & Eisenberger, R. (2002).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4), 698-3714.

72.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73.

Wayne, S. J., Shore, L. M., & Liden, R. C. (1997).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1), 82-111.

74.

Xanthopoulou, D., Bakker, A. B., Demerouti, E., & Schaufeli, W. B. (2007). The role of personal resources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4(2), 121-141.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