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Relationship among Temperamen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yle,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1, pp.271-292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14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how Temperamen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tress coping style affect Smartphone addiction in people who are in their 20s in that age group demographic populations. There were a total of three hundred participants to the study who reported on addiction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nd the Stress coping Checklist. There were a total of 297 reports that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re were three reports that were excluded as having been not fully completely. As a result, the study showed that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and Persistence from temperament were measured in the study experiment as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prior studies and statistical analysis, we constructed the model that was used in the study. The suggested model was tha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tress coping style were mediated in a row, and a competing model was useful as a double mediation model, which had two variables that were mediated in a stepwise configuration. As a result, the suggested model was better than the competing model, and suggested the model's fitness of purpos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noted in the study. After confirming a significance of path in this model, Problem-solving coping was a partial mediator in a process of Novelty seeking that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while both Social support coping and Problem-solving coping were full mediators in a process of Persistence that also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discussed several point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nd limitations are as follows.

keywords
스마트폰 중독, 기질,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Smartphone Addiction, Temperamen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yle

Reference

1.

강주연 (2012).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고기숙, 이지숙 (2013).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 25(25), 131-156.

3.

고재일 (2015). 스마트폰 중독과 행동활성화(BAS) 및 행동억제체계(BIS)와의 관계: 스트레스 반응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가희, 송원영 (2016).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861-875.

5.

김교헌, 김원식 (2001).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BAS/BIS) 척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2), 19-37.

6.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4(3), 67-98.

7.

김서현, 김정규 (2016). 청소년의 부모 애착이 인터넷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5(1), 265-281.

8.

김선미, 서경현 (2015).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587-603.

9.

김설희, 최예나 (2017).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관련성 분석. 한국치위생학회지, 17(1), 27-37.

10.

김윤정, 이옥경, 이혜원, 조영일, 이원혜 (2016). 위험회피 기질과 회고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1), 1-23.

11.

김은영, 김정기, 최승애, 남태현 (2016). 대학(원)생들이 경험하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6), 97-118.

12.

김정문 (2010).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동적 사고, 정서 인식,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정희, 이장호 (1988).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 25-45.

14.

류주연, 김윤희 (2016). 대학생의 ADHD 증상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563-578.

15.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6.

민병배, 오현숙, 이주영 (2007). 기질 및 성격검사 매뉴얼. 서울: 마음사랑.

17.

박명준, 오종현, 신성만 (2014). 사회적 지지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실존적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1185-1205.

18.

박용민 (2011).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박주리 (2017). 직장인의 정서경험 군집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지선, 김인석, 현명호, 유재학 (2008).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71-581.

21.

박하얀, 정윤경, 최해연 (2015).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안녕감 : 아동ㆍ청소년ㆍ성인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3), 189-207.

22.

백유미 (2017).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13(1), 177-183.

23.

변시영 (2009). 정서경험과 정서표현성이 인터넷중독, 휴대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봉은주, 김윤경 (2017).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7), 121-129.

25.

삼성서울병원 (2017).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조사. 서울: 삼성서울병원.

26.

서승연, 이영호 (2007).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몰두 성향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391-405.

27.

성미현, 남혜리 (2017).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2), 61-70.

28.

송도영 (2015). 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직무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신선임 (2017).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성별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173-189.

30.

신성만, 김성재, 김선민 (2013). 중독상담. 서울: 박학사.

31.

신연섭 (2012). 감각추구성향, 충동성, 공격성이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양세경, 오수성 (2009). 성격유형, 정서표현, 정서표현갈등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1), 15-33.

33.

오선화, 하은혜 (2014).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7(1), 17-35.

34.

유성진, 권석만 (2008). 심리치료에서 도식과 양식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91-117.

35.

유성진, 권석만 (2009). 심리평가 및 심리치료에 있어서 기질-성격 모형의 임상적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2), 563-586.

36.

윤혜정, 권경인 (2011).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특성 및 중독과정 촉진요인. 상담학연구, 12(2), 577-598.

37.

이경아 (2013). 중학생의 기질 및 성격, 애착과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이미연 (2014).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변인 연구: 유아 성별, 스마트폰 처음사용연령, 스마트폰 사용능력 및 기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이상미, 임정하 (2015). 청소년의 기질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7(2), 121-135.

40.

임선진, 김진훈, 장동원, 정은기, 윤해주, 김의정 (2006).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기질 특성. 신경정신의학, 45(6), 565-570.

41.

임유경, 최영민, 최지영 (2013). 기질 및 성격,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우울증의 관계: 정신과 내원 우울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2), 331-350.

42.

장지현 (2016). 고등학생의 자극추구, 위험회피와 ADHD 행동특성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전호선, 장승옥 (2014).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8), 103-129.

44.

정동진, 조현, 박재우, 곽민정, 김대진 (2016). 행동 억제 체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신경정신의학, 55(2), 97-102.

45.

정서영 (2016).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정유진, 김소연 (2017). 성인 여성과 여자 청소년의 사회적 배척 이후 처벌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0(1), 177-193.

47.

정지영 (2011). 청소년의 기질,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정지혜 (2011).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 방어기제와 휴대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정현모 (2005).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성격 및 기질 특성. 한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조성훈, 권정혜 (2015). 정서조절이 인터넷 게임 과사용에 미치는 영향: 완충효과와 촉진효과의 혼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2), 411-428.

51.

조은경 (1996). 억압형 대처방식을 가진 사람들(repressors)의 정서 경험 회상.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6(1), 427-433.

52.

조희경, 최종옥 (2014). 기본심리욕구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8(1), 253-253.

53.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71-89.

54.

최해연 (2013).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패턴과 심리적응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32(1), 1-21.

55.

하정 (1997). 정서표현성향과 스트레스평가 및 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6.

하진미, 손정락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우울 및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1), 1-16.

5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5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59.

한주리, 허경호 (2004). 이동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48(6), 138-165.

60.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2012).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2(10), 365-375.

61.

황진아, 김은하 (2016). 상담 전공 석사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간의 관계: 자기성찰을 통한 진로탐색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7(6), 289-312.

62.

Cloninger, C. R., Przybeck, T. R., & Svrakic, D. M. (1993). A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ieves of General psychiatry, 50(12), 975-990.

63.

Cloninger, C. R., Przybeck, T. R., Svrakic, D. M., & Wetzel, R. D. (1994).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A Guide to its Development and use. St. Louis, Missouri: Center for Psychobiology of Personality, Washington University.

64.

Ercan, D., Cuneyt, E., Secil, A., Kerem, S., Hilal, U., & Fatma, G. Y. (2013). Relationship of Internet Addiction Severity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lexithymia,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University Student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6(4), 272-278.

65.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150-170.

66.

Gross, J. J. (EDT). (2007).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67.

Hoffner, C. A., & Lee, S. (2015). Mobile phone use, emotion regulation, and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8, 411-416.

68.

Hopley, A. A., & Nicki, R. M. (2010). Predictive factors of excessive online poker play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 379-385.

69.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864-877.

70.

Laghai, A., & Joseph, S. (2000). Attitudes towards emotional expression: Factor structure, convergent validity and associations with personality.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73, 381-384.

71.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72.

Lee, Y. S., Son, J. H., Park, J. H., Kim, S. M., & Kee, B. S. (2017). The comparison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between patients with internet gaming disorder and those with alcohol dependence. Journal of mental health, 26(3), 242-247.

73.

Samaha, M., & Hawi, N. S. (2016),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7, 321-325.

74.

Xi, L., Takahiko, K., Zi, C., Toshiaki, N., & Toshinori, K. (2014). Textmessaging: Are dependency and Excessive Use discretely different for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Psychiatry Research, 216(2), 255-262.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