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의도적 반추, 스트레스 대처가 실연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실연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 및 소극적 대처가 매개하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실연 경험이 있는 20∼40대 미혼남녀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안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부적 영향을 끼치지만 회피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는 증가하는 반면,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는 감소되었다. 셋째,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 모두 증가하는데 그 중에서도 소극적 대처가 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회피애착의 경우 적극적 대처만 부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불안애착이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를 부분 매개, 의도적 반추와 소극적 대처 역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를 완전 매개, 의도적 반추와 소극적 대처 역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30∼40대 집단은 20대 집단에 비해 불안애착이 높아질수록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의 실제 및 추후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dentified adult attachment, intentional rumination, and stress coping on growth following the event of romantic breakups for adults in their 20s~40s. The path model in which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the two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as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re were participants consisting of 399 un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40s with experiences of romantic breakups, who completed the offered survey to find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mediating effect through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nxiety negatively affecte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hile attachment avoida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growth. Second, intentional rumination increased with the effect of increasing attachment anxiety, whereas intentional rumination decreased with the incidence of increasing attachment avoidance. Third, both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also was noted to have increased as attachment anxiety increased, and passive stress coping was shown to have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attachment avoidance, only the incidence of active stress coping showed a negative effect. Fourth, attachment anxiety partially mediated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in the path to reach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ntional rumination and passive stress coping were also partially mediated. In the path to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ttachment avoidance fully mediated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intentional rumination and passive stress coping were also fully mediated. Fifth, the group of those participants in their 30s or 40s showed a mo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f intentional rumination and of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in the path to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ith increasing attachment anxiety those in their 20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on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s to the study.
길문주, 이동귀 (2010). 대학생들의 애착유형별 통제력과 대처양식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상담학연구, 11(4), 1639-1654.
김고은 (2013).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명숙 (2008). 성인애착유형 조합에 따른 이성교제행동과 이성관계만족간 관계.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미재 (2005). 성인애착, 책임귀인과 이별 이후 성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성현 (2004). 친밀관계 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윤리 (2014).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미 (2015).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변인으로 한 구조적 관계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정희, 이장호 (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행동과학연구, 7(1), 127-138.
김진수, 서수균 (2011).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30(3), 793-809.
김태사 (2013). 불안정 성인애착이 역경을 통한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현정 (2013).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혜경 (2015). 불안정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디지털뉴스팀 (2014. 11. 18.). 30대 후반 남성 절반 이상 미혼 상태. 경향신문.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411181528531&code=920100에서 2016년 2월 4일 인출.
박선정 (2015). 상실 청소년의 적극적 대처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3(1), 119-130.
박은주 (2013).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정신화 능력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민 (2006). 이성교제 시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갈등대처방식과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장현진 (2013). 이성과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 낙관성과 외상 후 성장 간 관계에서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노라, 안창일 (2004). 성인 애착 유형과 자기개념, 효능감,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 수준과 대인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3(4), 949-968.
안현의, 주혜선 ,민지원, 심기선 (2013).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의 타당화. 인지행동치료, 13(1), 149-172.
양난미, 이은경, 송미경, 이동훈 (2015).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175-197.
윤명숙 (2015). 청소년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17(3), 239-261.
이슬기 (2015). 외상 후 인지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대인관계적 외상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이유리 (2010). 외상 후 성장의 애착-인지 모형 검증: 입양 미혼모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예원 (2016). 감사성향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임지준 (2012). 성인애착과 실연스트레스 및 실연 후 성장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임지준, 권석만(2014). 성인애착과 실연스트레스 및 실연 후 성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321-351.
신수빈 (2012). 대학생들의 이별 후 성장에 관한 질적분석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송현, 이영순 (2013).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6), 3753-3767.
정현수 (2016. 02. 07). 결혼 안하니?…30대 후반 5명 중 1명은 '미혼'. 머니투데이. http://news.mt.co.kr/mtview.php?no=2016020515280010583&outlink=1&ref=http%3A%2F%2Fsearch.daum.net에서 2016년 1월 26일 인출.
하진의 (2013). 성인 애착 불안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반추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한상숙 (2014). 성인애착과 대상상실 후 성장의 관계: 사건관련 반추의 매개효과와 의미중심적 대처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Bandalos, D. L. (2002).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1), 78-102
Battaglia, D., Richard, F., Datteri, D., & Lord, C. (1998). Breaking up is (relatively) easy to do: A script for the dissolution of close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5, 829-845.
Bellizzi, K. M., & Blank, O. B. (2006).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Psychol, 25, 47-56.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9). New York: Guilford Press.
Bower, J. E., Meyerowitz, B. E., Bernaards, C. A., Rowland, J. H., Ganz, P. A., & Desmond, K. A. (2005). Perceptions of positive meaning and vulnerability following breast cancer: Predictors and outcomes among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9(3), 236-245.
Bowlby, J. (1973). Attachment and Loss, Vol.2. Separation. New York: Basic Books.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3. Loss. New York: Basic Books.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4). AUTHORS’ RESPONSE: “The Foundations Posttraumatic Growth: New Considerations”. Psychological Inquiry, 15(1), 93-102.
Cann, A., Calhoun, L. G., Tedeschi, R. G., Triplett, K. N., Vishnevsky, T., & Lindstrom, C. M. (2011).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 Coping, 24, 137-156.
Davis, D., Shaver, P. R., & Vernon, M. L. (2003). Physical, emotional, and behavioral reactions to breaking up: The roles of gender, age, environmental involvement, and attachment styl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7), 971-884.
Dozier, M. (1990). Attachment organization and treatment use for adults with serious psychopathological disorder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 47-60.
Erikson, E. H. (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W.Norton & Co.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Feeney, J. A., & Ryan, S. M. (1994).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dhood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 231-247.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A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1), 150-170.
Folkman, R. S., & Lazarus,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Forsythe, C. J., & Compas, B. E. (1987). Interactions of coping and perceptions of control: Testing the goodness of fit hypothesi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1, 473-485.
Furman, W., & Shaffer, L. (2003). The role of romantic relationships in adolescent deveiopment. Romantic Relationships & Adolescent Development, 3-22.
Holmes, E. A., James, E. L., Kilford, E. J., & Deeprose, C. (2010). Key steps in developing a cognitive vaccine against traumatic flashbacks: Visuospatial tetris versus verbal pub quiz. PLoS One, 5, e13706.
Jonoff-Bulman, R. (1992). Shattered assumptions: Towa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New York: The Free Press.
Loyd. S. A., & Cate, R. M. (1985). The developmental course of conflict in dissolution premarital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 755-773.
Marshall, T. C., Bejanyan, K., & Ferenczi, N. (2013). Attachment styles and personal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e mediating roles of distress, rumination, and tendency to rebound. PLOS ONE, 1-11.
McMillen, C., Zuravin, S., & Rideout, G. (1995). Perceived benefit from child abus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3, 1037-1043.
Michael, S. T., & Snyder, C. R. (2005). Getting unstuck: The roles of hope, finding meaning, and rumination in adjustment to berea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Death Studies, 29(5), 435-458.
Mikulincer, M., & Florian, V. (1995). Appraisal of and coping with a real-life stressful situation: The contribution of attachment styl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4), 406-414.
Mikulincer, M., & Florian, V.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s and emotional and cognitive reactions to stressful events. In J. A. Simpson, & W. S. Rhod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143-165). New York Guilford Press.
Peilloux, C. (2008). Breaking up romantic relationships: Costs experienced and coping strategies deployed. Evolutionary Psychology, 6(1), 164-181.
Richardson, G. E. (2002). The metatheory of resilience and resilienc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3), 307-321.
Sbarra, D. A., & Emery, R. E. (2005). The emotional sequence of nonmarital relationship dissolution: Analysis of change and intraindividual variability over time. Personal Relationships, 12, 213-232.
Schaefer. J., & Moos, R. (1998). The context for posttraumatic growth: Life crises individual and social resources and coping. In R. G. Tedeschi, C. L. park & L. G. Calhoun (Eds.),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pp. 99-125). Mahwah New Jersey: Lawerence Erbaum Assosiate.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Tashiro, T., & Frazier, P. (2003). "I'll never be in a relationship like that again": Personal growth following romantic relationship breakups. Personal Relationships, 10, 113-128.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1-18.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6).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ed framework.” In Calhoun, L. G., & Tedeschi, R. G. (Eds.), The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pp. 1-2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Terry, D. J., Tonge, L., & Callan, V. J. (1995). Employee adjustment to stress: The role of coping resources, situational factor, and coping responses. Anxiety, Streess & Coping, 8(1), 1-24.
Triplett, K. N., Tedeschi, R. G., Cann, A., Calhoun, L. G., & Reeve, C. L. (2012)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rauma.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4(4). 400-410.
Vogel, D. L., & Wei, M. (2005). Adult attachment and help-seeking intent: The mediating roles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347-357.
Wallen, D. J. (2007). Attachment in Psychotherapy. New York: Guilford.
Zong, J. G., Chan, R. C., Stone, W. S., Hsi, X., Cao, X. Y., Zhao, Q., ... Wang., Y. (2010). Coping flexibility in young adults: comparison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schizotypal personality features. Schizophrenia Research, 122, 185-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