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글쓰기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갈등 경험자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riting Program on Cognition and Emotion in Interpersonal Conflict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3, pp.595-609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1
김현정
현명호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구조화된 글쓰기가 대인관계 갈등을 겪은 사람의 반추, 회피, 우울,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인관계 갈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20대 36명을 구조화된 글쓰기 처치 집단에 13명, 비-구조화된 글쓰기 비교 집단에 13명, 대기통제 집단에 10명을 할당하였다. 글쓰기 프로그램은 총 4회기 동안 20분씩 갈등 경험과 관련하여 글을 썼으며, 대기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았다. 참가자는 프로그램 실시 전, 프로그램 실시 직후, 프로그램 실시 1주일 후, 총 3회에 걸쳐 반추, 회피, 우울, 분노를 측정하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처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글쓰기 집단은 대기 통제 집단에 비해 반추, 회피, 우울이 감소하였으며, 이후의 추수 검사에서도 그 효과는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노의 경우 프로그램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구조화 글쓰기 집단과 비-구조화 글쓰기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한 사람의 반추, 회피 우울을 낮추는 데 효과적인 개입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살피고,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keywords
대인관계 갈등, 구조화된 글쓰기, 반추, 회피, 우울, interpersonal conflicts, writing, depression, rumination, avoidance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ructured writing therapy on anger, depression, rumination and avoidance in interpersonal conflicts. To examine this, 36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with interpersonal conflict experience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a treatment group with structured writing program (N=13), a comparison group with non-structured writing program (N=13), and a waiting-list control group (N=10). During four sessions of 20 minutes each, the two writing groups wrote about their conflict experiences, whereas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with any writing program.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n anger, depression, rumination and avoidance in a pretest, a posttest and a follow-up test.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treatment effect, and the result showed that writing groups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ir level of depression, rumination and avoidance subsequent to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obtained laevel was seen to last even until the follow-up test. Nevertheless in terms of anger, no significant change was seen in the writing groups compared with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In addition,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tructured writing group and the non-structured writing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rrespective of being structured, writing therapy is an effective involvement method for those who have interpersonal conflicts to reduce depression, rumination and avoidanc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work.

keywords
대인관계 갈등, 구조화된 글쓰기, 반추, 회피, 우울, interpersonal conflicts, writing, depression, rumination, avoidance

참고문헌

1.

강신덕 (1997).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청소년상담연구, 5(1), 81-143.

2.

김경희 (1996). 한국 청년의 정서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9(1), 1-14.

3.

김경희 (1997). 한국 아동의 정서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0(1), 43-56.

4.

김순진, 김환 (2000).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충격적 경험의 후유증. 서울: 학지사.

5.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박경 (2004). 부정적인 생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581-593.

7.

박준호 (2009).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반복생각과 자기노출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25-145.

8.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 및 발생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671-701.

9.

손희정, 신희천 (2013). 주관적 외상 경험에 대한 구조화된 글쓰기의 효과. 상담학연구, 14(6), 3237-3259.

10.

오현자, 김교헌 (2009). 가출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부적정서와 침입 경험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89-106.

11.

이경순, 서경현 (2011).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부모와의 갈등과 주관적 웰빙: 원한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595-608.

12.

이기범 (2017). 글쓰기 치료를 통한 걱정 구체화 과정이 걱정 많은 사람의 인지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예슬 (2014). 글쓰기 치료의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은숙 (2005). 글쓰기를 통한 자기개방이 신체화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모호성을 중재변인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은정 (2000). 심리적 상처경험에 대한 고백과정의 작용기체와 그 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인현정, 김교헌 (2002). 약물남용자의 자기노출이 부적정서와 신체병리 경험 및 약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1), 111-124.

17.

임소영 (2010). 자기노출이 분노 억제 경향이 있는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장진이 (2010).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자기체계손상과 심리적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연구 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65-76.

20.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21.

조윤경 (2003). 한국인의 나의식 - 우리의식과 개별성 - 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91-109.

22.

한덕웅, 박준호 (2003).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반복생각과 분노 경험이 주관안녕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1), 147-168.

23.

한덕웅, 박준호, 김교헌 (2004).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자기노출, 반복생각 및 정서경험이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99-130.

24.

Allen, J. (2005). Coping with trauma: Hope through understand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5.

Ellis, A., & Tafrate, R. (1997). How to control your anger before it controls you. Secaucus, NJ: Birch Lane Press.

26.

Foa, E. B., & Kozak, M. J. (1986). Emotional processing of fear: Exposure to corrective information. Psychological Bulletin, 99(1), 20-35.

27.

Foa, E. B., Clark, D. M., Tolin, D. F., & Orsillo, S. M. (1999). Th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ctory (PTCI):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11(3), 303-314.

28.

Frattaroli, J. (2006). Experimental disclosure and its moderators: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32(6), 823-865.

29.

Guastella, A. J., & Dadds, M. R. (2006). Cognitive-behavioral models of emotional writing: A validation stud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0(3), 397-414.

30.

Horowitz, L. M. (1996).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blems: A leary legac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2), 283-300.

31.

Horowitz, L. M., & Vitkus, J. (1986). The interpersonal basis of psychiatric symptoms. Clinical Psychology Review, 6(5), 443-469.

32.

Lepore, S. J. (1997). Expressive writing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intrusive thoughts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5), 1030-1037.

33.

Lepore, S. J., & Greenberg, M. A. (2002). Mending broken hearts: Effects of expressive writing on mood, cognitive processing, social adjustment and health following a relationship breakup. Psychology and Health, 17(5), 547-560.

34.

Nolen-Hoeksema, S., & Morrow, J. (1993). The effects of rumination and distraction on naturally-occurring depressed moods. Cognition and Emotion, 7(6), 561-570.

35.

Nolen-Hoeksema, S., Parker, L., & Larson, I. (1994). Ruminative coping with depressed mood following lo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1), 92-104.

36.

Novaco, R. W. (1994). Anger as a risk factor for violence among the mentally disordered. In J. Monahan & H. J. Steadman (Ed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pp. 21-36).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

Pennebaker, J. W. (1989). Confession, inhibition, and disease.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2, pp. 211-244). San Diego: Academic Press.

38.

Pennebaker, J. W. (1997). Writing about emotional experiences as a therapeutic process. Psychological Science, 8(3), 162-166.

39.

Pennebaker, J. W. (1999). 털어놓기와 건강. (김종한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7년에 출판).

40.

Pennebaker, J. W. (2007). 글쓰기 치료. (이봉희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4년에 출판).

41.

Pennebaker, J. W., & Beall, S. K. (1986). Confronting a traumatic event: Toward an understanding of inhibition and diseas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3), 274-281.

42.

Pennebaker, J. W., & Francis, M. E. (1996). Cognitive, emotional, and language processes in disclosure: Physical health and adjustment. Cognition and Emotion, 10(6), 601-626.

43.

Schmaling, K. B., Dimidjian, S., Katon, W., & Sullivan, M. (2002). Response styles among patients with minor depression and dysthymia in primary car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1(2), 350-356.

44.

Sloan, D. M., & Marx, B. P. (2004a). A closer examination of the structured written disclosure procedur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2), 165-175.

45.

Sloan, D. M., & Marx, B. P. (2004b). Taking pen to hand: Evaluating theories underlying the written disclosure paradigm.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1(2), 121-137.

46.

Smyth, J. M. (1998). Written emotional expression: Effect sizes, outcome types, and moderating variab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1), 174-184.

47.

Smyth, J. M., Hockemeyer, J. R., & Tulloch, H. (2008). Expressive writing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ffects on trauma symptoms, mood states, and cortisol reactivity.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1), 85-93.

48.

Ullrich, P. M., & Lutgendorf, S. K. (2002). Journaling about stressful events: Effect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4(3), 244–250.

49.

Van der Kolk, B. A. (2005). Development trauma disorder. Psychiatric Annals, 35(5), 401-408.

50.

Worthington, E. L., Jr. (2006).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heory and application. New York: Brunner-Routledg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