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단회기 마음챙김-자비명상이 분노의 역기능적 표현과 반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ngle-Session Mindful Loving- Kindness Compassion Meditation on Dysfunctional Expression and Rumination of Anger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3, pp.631-65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3
이현숙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황성훈 (한양사이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단회기 마음챙김-자비명상이 분노의 역기능적 표현과 반추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판 상태 특질 분노 척도(STAXI-K)의 분노 표현 점수가 상위 30%에 속하는 대학생 30명을 선발하여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에 15명씩 무선 할당한 후 처치 집단에는 단회기 마음챙김-자비명상을, 통제 집단에는 단회기 분노조절 심리교육을 실시했다. 두 집단 모두 처치 전 시점과 처치 후 시점에서 상태 분노와 분노 표현을 측정했으며, 24시간 후에는 분노 반추를 평가했다. 그 결과, 단회기 마음 챙김-자비명상이 처치된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마음챙김 하위요인 중 현재 자각이 증가하였고 친지 및 일반인 자비가 향상되었다. 처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분노 표현의 하위 요인 중 분노 통제가 증진되었고 상태 분노는 낮아졌으며, 분노 기억 반추와 원인 반추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단회기 마음챙김-자비명상 처치가 타당하게도 마음 챙김과 자비를 향상시키며, 그 결과로 분노 현장에서 냉정을 유지하며 문제해결에 적합하게 처신할 수 있게 분노 통제가 개선되고, 사후의 반추는 차단되는 분노 조절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keywords
mindful loving-kindness compassion meditation, anger control, state anger, anger rumination, single-session intervention, 마음챙김-자비 명상, 분노 통제, 분노 반추, 상태 분노, 단회기 개입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mindfulness-compassion meditation on dysfunctional expression and rumination of anger. Using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TAXI- K), 30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escending order of score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15 students in each group. A single-session mindfulness-compassion meditation was administer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with psychological education for anger modulation to the control group. In both the groups, the state of anger and anger expression were measur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24 hours after the experimental session, anger rumination was evaluated. The treatment group showed higher present-moment awareness, increased self-compassion towards acquaintances and general people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 main outcome, the treat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in anger control and the reduction in the state of anger. In addition to the increased modulation of present anger, anger memory rumination and cause rumination were also blocked more effectively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revealed that mindfulness-compassion meditation improved the functional expression of anger and discontinued the chain of anger rumination through changes in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possible future research issues.

keywords
mindful loving-kindness compassion meditation, anger control, state anger, anger rumination, single-session intervention, 마음챙김-자비 명상, 분노 통제, 분노 반추, 상태 분노, 단회기 개입

참고문헌

1.

강재연 (2017). 마음챙김-자기자비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비판 성향을 지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335-356.

2.

고영인 (1994). 대학생의 분노표현 양식과 우울 및 공격성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권석만 (2006). 위빠싸나 명상의 심리치유적 기능. 불교와 심리, 1, 9-49.

4.

김경은, 김진숙 (2015). 마음챙김 활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3(2), 135-155.

5.

김교현, 전겸구 (1997). 분노, 적대감 및 스트레스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79-95.

6.

김경우, 장현갑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단축형(6주)이 대학생의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硏究, 15(1), 43-49.

7.

김기대 (2016). 마음챙김-자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분노표현 및 분노반추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완석, 신강현. (2014). 아주 연민사랑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407-420.

9.

김용섭 (1984). 분노에 대한 연구. 고신대학 논문집, 12, 71-90.

10.

김우정 (2014). 분노가 대인관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노조절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은현 (2015).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분노표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재성 (2006). 불교에서의 명상. 스트레스연구, 14(4), 259-270.

13.

김정호 (2016). 마음챙김 명상 매뉴얼. 서울: 솔과학.

14.

김지영 (2011). 자애명상이 대학생의 우울 경감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해진, 신현균, 홍창희 (2008). 성인애착유형, 특성분노 및 음주문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729-748.

16.

김형록 (2013). 불교명상과 통합된 청소년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불교학보 64, 197-223.

17.

마스노 슌묘 (2014). 화내지 않는 43가지 습관. 서울: 담앤북스.

18.

문현미 (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 3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5-33.

19.

박미옥, 고진호 (2013). 마음챙김의 치유적 기능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위빠사나 수행을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42(0), 97-120.

20.

박성현 (2006). 마음챙김 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박성현, 성승연, 미산 (2016), 자애명상의 심리적 과정 및 효과에 관한 혼합연구: 자애미소명상수행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395-424.

22.

박영이 (2002). 사적 자의식과 특성분노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박정민 (2013).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분노 및 수면장애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안소영, 채규만 (2015). 비합리적 신념이 이차적분노사고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5(2), 339-357.

25.

양동명 (2012). 마음챙김 명상이 신세대 병사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염승훈 (2008). 분노수용집단 개발 및 효과 검증 –ACT 모델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근배, 조현춘 (2008). 한국판 분노반추척도의 타당화 연구. 정서·행동장애 연구, 24(1), 1-22.

28.

이상현, 성승연 (2011). 분노사고와 분노표현에 있어서의 자기-자비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93-112.

29.

이영순, 이현림, 천성문 (2000). 신경증적 비행 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12(1), 53-82.

30.

조용래 (2003). AABT 제 37차 연차학술대회 참관기. 인지행동치료, 3(1), 93-98.

31.

조현주, 김종우, 송승연(2013). 화병 환자의 자애명상 치료적 경험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425-482.

32.

장지현 (2014). 단기 자비명상이 자비심과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지현, 김완석 (2014). 단기 자비명상이 자비심과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2), 89-105.

34.

전겸구 (1999). 분노, 적대감 및 스트레스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79-95.

35.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36.

전현숙, 손정락 (2010). 마음챙김, 특성분노 및 비합리적 신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989-1007.

37.

전현숙, 손정락 (2011). 역기능적 분노표현 및 비합리적 신념과 마음챙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2), 377-396.

38.

전현숙, 손정락 (2012a). 스트레스와 역기능적 분노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분노반추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4), 907-922.

39.

전현숙, 손정락 (2012b).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역기능적 분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589-608.

40.

정미리 (2005). 분노와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추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정선화 (2004). 특성분노를 보이는 여대생들의 인지행동적 치료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조은영, 곽은희 (2012). 실패피드백 이후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분노와 분노표현 양식. 재활심리연구, 19(3), 583-599.

43.

조현주, 노지애, 이현예, 정성진, 현명호 (2014). 초보 상담자들의 자기 성장을 위한 마음챙김 자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청소년학 연구, 21(12), 25-47.

44.

최두환 (2013).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간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최보윤 (2017). 마음챙김 수준이 감사와 용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최연자 (2007). 명상요법이 간호학생의 우울과 분노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6(4), 481-488.

47.

최치정 (2006). 명상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분노와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平野美沙, & 湯川進太郎. (2013). マインドフルネス瞑想の怒り低減効果に関する実験的検討. 心理学研究, 84(2), 93-102.

49.

Baber, L., Maltby, J., & Macaskill, A. (2005). Anger memories and thoughts of reveng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giveness and anger rumin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39, 253-362.

50.

Beck, A. T. (2000). Prisoner of hate: The cognitive basis of anger, hostility, and violence. New York, NJ: Perennial.

51.

Beck, R., & Fernandez, E. (1998).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nger: a meta-analysi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2, 63-74.

52.

Buddhaghosa (2005). 청정도론 [Visuddhimagge]. (림스님 역). 서울: 기불 연구원.

53.

Cahn, B. R., & Polich, J. (2006). Meditation states and traits: EEG, ERP, and neuroimaging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32(2), 180-211.

54.

Carlson, L. E., & Brown, K. W. (2005). Validation of th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in a cancer popul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8, 29-33.

55.

Carlson, L. E., Speca, M., Faris, P., & Patel, K. D. (2007). One year pre-post intervention follow-up of psychological, immune, endocrine and blood pressure outcome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in breast and prostate cancer outpatients. Brain, Behavior and Immunity, 21, 1038-1049.

56.

Cohen, J. (1969).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ural sciences. New York, NJ: Academic Press.

57.

Deffenbacher, J. L., & Mckay, M. (2000). Overcoming situational and general anger. Oakland: New Harbinger.

58.

Diebold, J. C. (2003). Mindfulness in the machine: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the reduction of driving ang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fstra University: New York.

59.

Eysenck, S. G. B., Eysenk, H. J., & Barrett, P. (1985). A revised version of the psychoticism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6, 21-29.

60.

Fredrickson, B. L., Cohn, M. A., Coffey, K. A., Pek, J., & Finkel, S. M. (2008). Open hearts build lives: Positive emotions, induced through loving-kindness meditation, build consequential personal resour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 1045-1061.

61.

Garland, E. L., Fredrickson, B., Kring, A. M., Johnson, D. P., Meyer, P. S., & Penn, D. L. (2010). Upward spirals of positive emotions counter downward spirals of negativity: Insights from the broaden-and-build theory and affective neuroscience on the treatment of emotion dysfunctions and deficits in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7), 849-864.

62.

Gilbert, P. (2014). 자비중심치료 [Compassion Focused Therapy: Distinctive Features]. (조현주, 박성현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0에 출판)

63.

Goleman, D. (1978a). A taxonomy of meditation-specific altered state. Journal of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4(2), 203-213.

64.

Goldman, D. J. (1978b). The varieties of the meditative experience. New York: Irvington publishers.

65.

Goldman, D. J., & Schwartz, G. E. (1976). Meditation as an intervention in stress reactivi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 456-466.

66.

Goldstein, J., & Kornfield, J. (2001). Seeking the heart of wisdom: The path of insight meditation. Boston: Shambhala.

67.

Hofmann, S. G., Grossman, P., & Hinton, D. E. (2011).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Potential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1(7), 1126-1132.

68.

Hutchson, C. A., Seppala, E. M., & Gross, J. J. (2008). Loving-Kindness Meditation Increases Social Connectedness. Emotion, 8, 720-724.

69.

Kabat-Zinn, J. (2005). 명상과 자기치유(상, 하) [Full catastrophe livin: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장현갑, 김교헌, 장주영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에 출판).

70.

Kemp, S., & Stongman, K. T. (1995), Anger theory and management: a historical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08, 397-417.

71.

Lau, M. A., & McMain, S. F. (2005). Integrating mindfulness meditation with cognitive and behavioral therapies: The challenge of combining acceptance-and change-based strategies.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0(13), 86-869.

72.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e, appraisal and copying. New York: Springer.

73.

Leary, M. R., Tate, E. B., Adams, C. E., Allen, A. B., & Hancock, J. (2007).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 887-904.

74.

Lutz, A., Greischar, L. L., Rawlings, N. B., Richard, M., & Davidson, R. J. (2004). Long-term meditators self-induce high-amplitude gamma synchrony during mental practice. Process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1(46), 16369-16373.

75.

Lyubomirsky, S., Nolen-Hoeksema, S. (1995). Effects of self-focused rumination on negative thinking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1), 176-190.

76.

Neff, K. D.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1.

77.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78.

Neff, K. D., & Germer, C. K. (2013). A pilot study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mindful self-compassion program.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9(1), 28-44.

79.

Nirbhay, N. S., Robert, G. W., Angela, D. A., & Rachel, E. N. (2003). Sole of The Feet: A mindfulness-based self-control intervention for aggression by an individual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mental illnes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4, 158-169.

80.

Pannyavaro, V. (2011). An Overview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81.

Robins, C. J., Keng, S. L., Ekblad, A. G., & Brantley, J. G. (2012).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on emotional experience and expres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8(1), 117-131.

82.

Rusting, C. L., & Nolen-Hoeksema, S. (1998). Regulating responses to anger: effects of rumination and distraction on angry m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3), 790.

83.

Salzberg, S. (2005). 붓다의 러브레터 [Lovingkindness. USA: Random House]. (김재성 역). 서울: 정신세계사. (원전은 1999에 출판)

84.

Salzberg, S., & Goldstein. J. (2001). Insight Meditation (workbook). Louisville, Colorado, U.S: Sound True.

85.

Seppala, E. M., Hutcherson, C. A., Nguyen, D. T., Doty, J. R., & Gross, J. J. (2014). Loving-kindness meditation: a tool to improve healthcare provider compassion, resilience, and patient care. Journal of compassionate Health Care, 1(1), 1.

86.

Shonin, E., Van Gordon, W., Compare, A., Zangeneh, M., & Griffiths, M. D. (2015). Buddhist-derived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for the treatment of psychopathology: a systematic review. Mindfulness, 6(5), 1161-1180.

87.

Siegman, A. W. (1994). Cardiovascular consequences of expressing and repressing anger. In A. W. Siegman, & T. W. Smith (Eds.), Anger, hostility, and heart. New Jersey: Lawrence Erlbaum.

88.

Silva, J. (2007).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for the reduction of anger in married me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Hofstra University: New York.

89.

Spielberger, C. D., Johnson, E. H., Russell, S. F., Crane, R. J., Jacobs, G. A., & Worden, T. J. (1985).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In M. A. Chesney & R. H. Rosenman (Eds.),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s. New York: Hemisphere.

90.

Spielberger, C. D., Jacobs, G., Russell, S., & Crane, R. S. (1983).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2, 159-187.

91.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pp. 89-108). New York: Spring Verlag.

92.

Spielberger, C. D., Reheiser, E. C., & Sydeman, S. J. (1995). Measuring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ssues in Comprehensive Ped iatric Nursing, 18, 207-232.

93.

Sprecher, S., & Fehr, B. (2005). Compassionate love for close others and humanity.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2(5), 629-651.

94.

Sukhodolsky, D. G., Golub, A., & Cromwell, E. N.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nger rumination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1(5), 689-700.

95.

Weibel. D. T. (2007). A loving-kindness intervention: Boosting compassion for self and others. Doctoral dissertation, Ohio University, OH: USA.

96.

Wright, S., Day, A., & Howells, K. (2009). Mindfulness and the treatment of anger problem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4(5), 396-40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