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and intentional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present study, 469 samples with a level above normal distres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revealed tha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entalization, and mentaliza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ntional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hile attachment avoida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tentional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ttachment anxiety exhibit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m. In addition, attachment avoidant had an in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mentalization and intentional rumination in sequence. Mentaliz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t and intentional rumination. Attachment anxiety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but also an indirect effect on intentional rumination. Moreover, the direction of the effects was the opposite and their sizes were almost the same. Thus, the complete effect on intentional rumination was not significant, and neither was the in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attachment avoidant and attachment anxiety also exihibited a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김빛나, 임영진, 권석만 (2010).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73-596.
김성현 (2004).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미, 이종연 (2015).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6(1), 147-174.
김진수, 서수균 (2011).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93-809.
김찬양, 최한나 (2018).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의 관계: 마음챙김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7(1), 47-74.
김태사, 안명희 (2013). 불안정 성인애착이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853-871.
박애실 (2016). 외상 후 인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이중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7(5), 181-200.
박은주 (2013). 성인 애착과 대인관계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정신화 능력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은아 (2002). 자신의 정서에 대한 자각, 공감, 조망수용 및 도움행동.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현, 이영순 (2013).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6), 3753-3767.
신경일 (1994). 상담자 교육을 위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신선영, 정남운 (2012).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인간이해, 33(2), 217-235.
엄미선, 조성호 (2016). 핵심신념 붕괴, 침투적 및 숙고적 반추,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047-1071.
양난미, 이은경, 송미경, 이동훈 (2015).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상담학 연구, 16(1), 175-197.
유희정 (2014). 탄력성과 고통지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 연구, 15(1), 59-85.
이수정, 이훈구 (1997). 사회 및 성격: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이유리 (2010). 외상 후 성장의 애착-인지 모형 검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현주, 안명희 (2012).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청소년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413-434.
임지준, 권석만 (2014). 성인애착과 실연 스트레스 및 실연 후 성장의 관계: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321-351.
장경숙 (2013). 탈중심화와 조망수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최해연, 이동귀, 민경환 (2008).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료성,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군집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59-73.
하진의 (2013). 성인 애착 불안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6), 3433-3452.
한은애 (2015). 외상 후 성장에 대한 두 가지 반추 양식의 영향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산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Allen, J. G. (2010). 트라우마의 치유 [Coping with trauma: Hope through understanding]. (권정혜, 김정범, 조용래, 최혜경, 최윤경, 권호인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5에 출판)
Allen, J. G., Fonagy, P., & Bateman, A. (2008). Mentalizing in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
Bateman, A., & Fonagy, P. (2010). 정신화 중심의 경계성 인격장애의 치료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practical guide]. (노경선 역). 서울: 눈. (원전은 2006 출판)
Bateman, A., & Fonagy, P. (2012). Handbook of mentalizing in mental health practi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46-76.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6).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expended framework. In L. G. Calhoun & R. G. Tedeschi (Ed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pp.3-23). Mahwah, NJ: Erlbaum.
Coates, S. W., Rosenthal, J. L., & Schechter, D. S. (2003). September 11: Trauma and Human Bonds. Hillsdale, NJ: Analytic Press.
Davis, D., Shaver, P. R., & Vernon, M. L. (2003). Physical, emotional, and behavioral reactions to breaking up: The roles of gender, age, emotional involvement, and attachment styl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7), 871-884.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Fonagy, P., Gergely, G., Jurist, E. L., & Target, M. (2002). Affect regulation, men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NY: Other Press.
Fonagy, P., Steele, H., & Steele, M. (1991). Maternal representations of attachment during pregnancy predict the organization of infant‐mother attachment at one year of age. Child development, 62(5), 891-905.
Fonagy, P., & Target, M. (2002). Early intervention and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Psychoanalytic Inquiry, 22(3), 307-335.
Joseph, S., Murphy, D., & Regel, S. (2012). An Affective–Cognitive Processing Model of Post Traumatic Growth.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19(4), 316-325.
Karreman, A., & Vingerhoets, A. J. (2012). Attachment and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and resili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3(7), 821-826.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Luyten, P., Fonagy, P., Lowyck, B., & Vermote, R. (2012). Assessment of mentalization. in Bateman, A., & Fonagy, P. (Eds.). Handbook of mentalizing in mental health practice, (pp. 43-6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
Main, M., Kaplan, N., & Cassidy, J. (1985).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A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6-104.
Mikulincer, M., & Shaver, P. R. (2007). Attachment in adulthood: Structure, dynamics, and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Nolte, T., Guiney, J., Fonagy, P., Mayes, L. C., & Luyten, P. (2011) Interpersonal stress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nxiety disorders: an attachment-based developmental framework. 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5, 55.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alfai, T.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125, 154.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Triplett, K. N., Tedeschi, R. G., Cann, A., Calhoun, L. G., & Reeve, C. L. (2012).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rauma.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Practice, and Policy, 4(4), 400.
Wallin, D. J. (2010). 애착과 심리치료. [Attachment in psychotherapy]. (김진숙, 이지연, 윤숙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7에 출판)
Xu, W., Fu, Z., He, L., Schoebi, D., & Wang, J. (2015). Growing in times of grief: Attachment modulates bereaved adults' posttraumatic growth after losing a family member to cancer. Psychiatry research, 230(1), 108-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