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 걱정 척도(Weight Concern Scale: WCS)는 북미에서 섭식장애를 겪을 위험이 있는 여학생을 선별하기 위해 Killen 등(1994)이 개발한 척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 하여 체중 걱정으로 인해 발병 가능성이 있는 섭식장애 관련 연구 수행을 촉진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말 번안과정을 거친 체중 걱정 척도와 체형 만족도 평가지(Body Shape Questionnaire: BSQ)를 성인 여성 656명에게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 및 포루투갈어 버전 척도의 결과와 동일하게 단일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교차타당화를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일 요인 모델의 적합도가 모두 합당하였다. 내적 합치도는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체형 만족도 평가지와 유의한 상관을 보여 수렴타당도를 충족시켰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Weight Concern Scale (WCS) was developed in North America to identify female students at risk of developing eating disorder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Weight Concern Scale in a South Korean female sample. Six hundred and fifty-six women completed the Weight Concern Scale and Body Shape Questionnaire. Based on results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unidimensional structure was found to be appropriat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cross validation purposes revealed that the single factor model fit the data well.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Weight Concern Scale was good, and i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Body Shape Questionnaire, supporting convergent validity.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국립국어원 (2008).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에서 2018, 10, 10자료 얻음.
김나희, 김교헌, 김수현 (2015).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이 절식태도와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불만족과 마음챙김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527-546.
김완석 (2007). 전반적 신체존중감 척도(KOBES)-개발및 성차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231-253.
김은미, 이가영, 황규만, 김준수, 박태진 (2010). 한국어판 체중편견(Weight Bias)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타당도. 가정의학회지, 31(6), 461-471.
남희정, 김영순 (2006). 일부 대학생의 식사 장애 위험정도에 따른 체중 조절 방법.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9(2), 111-125.
노영경, 김봉환 (2005). “체형 만족도 평가지(Body Shape Questionnaire: BSQ)”의 타당화 연구 –여대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6(4), 1163-1174.
류애리, 송원영 (2013).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신체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신체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45-362.
민지현 (2008). 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외모지상주의와신체변형욕구에 미치는 영향: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과 1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19, 45-78.
박세정, 박중규 (2014). 섭식장애 신념척도의 개발 및타당화 –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957-971.
설경옥, 박선영, 박지은 (2016). 성인기 초기 여성의 물질주의, 외모주의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비교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875-896.
신미연, 이정윤 (2012). 외모에 대한 지각된 사회문화적영향과 다이어트 행동의 관계: 신체상과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2(2), 183-198.
이수진, 김미리혜 (2015). 마음챙김 명상이 섭식장애환자의 폭식, 신체 불만족, 우울 및 분노에 미치는 효과-예비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3(3), 58-81.
이임순 (2002). 섭식절제척도의 타당도 연구 - 섭식절제 및 역규제적 섭식 척도들 간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1), 143-158.
임인숙, 백수경 (2016). 이상적 체형과 체중 감량 선호에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사회학회, 50(4), 169-202.
최혜미, 김정희, 김초일, 장경자, 민혜선, 임경숙, . . . 김현아 (2016). 21세기 영양학 원리(4판). 파주: 교문사.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모형의적합도지수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uthor.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8).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Retrieved from https://dictionary.apa.org/worry
Cooper, P., Taylor, M., Cooper, Z., & Fairbum, C. (1987).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ody shap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6(4), 485-494.
Costello, A., & Osborne, J.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0(7), 1-9.
Dias, J. C., da Silva, W. R., Maroco, J., & Campos, J. A. (2015). Validation of the Weight Concerns Scale Applied to Brazilian University Students. Body image, 14, 72-76.
Dias, J. C., da Silva, W. R., Maroco, J., & Campos, J. A. (2016). Impa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tional Status and Perceived Stress in Body Weight Concern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al Sciences, 2016, 324-335.
Greenfeld, D., Quinlan, D. M., Harding, P., Glass, E., & Bliss, A. (1987). Eating behavior in an adolescent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6(1), 99-111.
Kaiser, H. (1960).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computers to factor analysi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 141-151.
Killen, J. D., Taylor, C. B., Hayward, C., Wilson, D. M., Haydel, K. F., Hammer, L. D., . . . Kraemer, H. (1994). Pursuit of Thinness and Onset of Eating Disorder Symptoms in a Community Sample of Adolescent Girls: A Three-Year Prospectiv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6(3), 227-238.
Smink, F., Hoeken, D., & Hoek, H. (2012). Epidemiology of eating disorders: Incidence,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s. Current Psychiatry Reports, 14(4), 406-414.
Stice, E. (2001). A prospective test of the Dual-pathway Model of Bulimic Pathology: Mediating effect of Dieting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0(1), 124-135.
Taylor, C. B., Sharpe, T., Shisslak, C., Bryson, S., Estes, L. S., Gray, N., . . . Killen, J. D. (1998).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concerns in adolescent girl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4(1), 31-42.
Thompson, J., Heinberg, L., Altabe, M., & Tantleff-Dunn, S. (1999). Exacting beauty: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 of body image disturban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rdle, J., Haase, A., & Steptoe, A. (2006).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0(4), 644-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