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마음챙김명상이 ADHD 아동의 주 증상과 정서 정서인식능력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근교에 위치한 건강증진센터에 내방 경험이 있는 아동 중 ADHD 진단을 받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었다. 놀이마음챙김명상 집단에 11명, 대기-통제 집단에 10명을 무선 할당하였고 놀이마음챙김명상 집단은 한 회기 당 60분씩 4주 동안 8회기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측정 도구는 한국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가척도(K-ARS)와 정서인식능력 검사(ERT)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마음챙김명상 집단이 대기-통제 집단에 비해 주 증상[F(1,18)=20.49, p<.001]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정서인식능력[F(1,18)= 5.46, p<.0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놀이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 증상을 개선시키고, 정서인식능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play-mindfulness meditation on main symptoms and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ADHD. The subjects were 21 elementary lower grade students who were previously diagnose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visited at health promotion center located near Seoul. The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play-mindfulness meditation application group (n=11) or a waiting-control group (n=10). Play-mindfulness meditation group participated and completed 8 treatment sessions with 4 weeks. Each session was 60 minutes long.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e study were Korean ADHD Rating Scale(K-ARS) and Emotional Recognition Test(ERT).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 play-mindfulness meditation applic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symptoms by[F(1,18)=20.49, p<.001] and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by[F(1,18)=5.46, p<.05] compared to waiting-control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play-meditation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to improve symptoms and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for children with ADH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김계숙 (2006). 명상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학생의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남순 (2011). 마음챙김명상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용수 (2008). 아동명상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9(2), 827-847.
김정호 (1994). 인지과학과 명상. 인지과학 485, 53-84.
김정호, 김미리혜, 김수진 (2003). 호흡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증상에 미친 효과: 예비적 연구. 인지행동치료, 3(1), 69-80.
김정호 (2011). 마음챙김 명상 멘토링. 서울: 불광출판사.
김정호 (2014). 스무살의 명상책. 서울: 불광출판사
김정호 (2016). 마음챙김 명상 매뉴얼. 서울: 솔과학.
김정호 (2018). 일상의 마음챙김+긍정심리. 서울: 솔과학.
김진 (2009) 염지관 명상과 유아 정서지능의 관계. 명상치료연구, 4, 190-227.
배도희, 조아라, 이지연 (2004). ADHD 아동과 우울한아동의 얼굴표정 및 음성을 통한 비언어적 정서인식능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741-754.
서경희, 정훈영 (2010). 감각 자극 양식에 따른 고기능자폐아의 정서인식 특성. 정서․행동장애연구, 26(2), 77-93.
소유경, 노주선, 김영신, 고선규, 고윤주 (2002). 한국어판 부모, 교사 ADHD 평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神經精神醫學, 41(2), 283-289.
송호준 (2012). 사회경험중심의 심리운동중재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및 정서인식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19(2), 337-359.
오경자, 배도희 (2002). 아동 청소년의 얼굴표정을 통한정서인식능력과 심리 사회적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3), 515-532.
윤병수 (2010). ADHD에 대한 명상의 치료적 개입 가능성. 정서ㆍ행동장애연구, 26(1), 121-143.
윤선아 (2010). 아동용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수정 (2001). 문제해결과제를 이용한 정서인식력 검사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3), 65-86.
이화영, 서경희 (2013).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ADHD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1).
정미랑 (2012).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이 주의산만 아동의 정서조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현주 (2005).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 및 실행기능에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uthor.
Barkley, R. A. (2006). Comorbid Disorders, Social and Family Adjustment, and subtyping.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p.184-193) New York: The Guilford Press.
Biederman, J., & Faraone, S. V. (2005).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Lancet, -(9481), 237-248.
Burcham, B. G., & DeMers, S. T. (1995). Comprehensive assessment of children and youth with ADHD.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30(4), 211-220.
Cadesky, E. B., Mota V. L., & Schachar, R. J. (2001). Beyond words: How do children with ADHD and/or conduct problems process nonverbal information about affec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Nursing, 4(2), 119-120.
Faraone. S. V., Sergeant. J., Gillberg. C., & Biederman. J. (2003). The worldwide prevalence of ADHD: is it and American condition? World Psychiatry, 2(2), 104-113.
Flook, L., Smalley, S. L., Kitil, M. J., Galla, B. M., Kaiser-Greenland, S., Locke, J., & Kasari, C. (2009). Effects of mindful awareness practices on executive function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Applied School Psychology, 26(1), 70-95.
Kapleau, P. (2000). The three pillars of zen. New York: Anchor Books.
Lendner-Fischer, S. (2008). 아이의 창의적 감성과 집중력을 길러주는 어린이 명상놀이. (임영은). 서울:쌤앤파커스.
Lorch, E. P., Milich, R., Sanchez, R. P., van, d. B., Baer, S., Hooks, K., & Welsh, R. (2000). Comprehension of televised stories in boy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nonreferred boy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2), 321-330.
Eric, J., & Mash. (2003). 아동이상심리학[Abnormal child psychology]. (조현춘). 서울: 시그마프레스.
McClure, E. B., & Nowicki, S. (2001). Associ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Nonverbal Prpcessing Skill in Preadolescent Boys and Girls.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25(1), 3-20.
Nienke, M. S., Susan, M. B., Lisanne, M. B., Noor, W., Jan, K. B., Anne, E. S., & Corina, U. G. (2018). Mindfulness for children with ADHD and Mindful Parenting (MindChamp): Protocol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a family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as an add-on to care-as-usual with care-as-usual only. BMC Psychiatry, 18, doi:10.1186/s12888-018-1811-y
Nowicki, S., & Duke, M. P. (1992). The association of children's nonverbal decoding abilities with their popularity, locus of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3(4), 385-393.
Nowicki,S., & Mitchell, J. (1998). Accuracy in identifying affect in child and adult faces and voices and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24(1), 39-60.
Pelc, K., Kornreich, C., Foisy, M. L., & Dan, B. (2006). Recognition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 Neurology, 35(2), 93-97.
Singh, S D., Ellis, C. R., Winton, A. S. W., Singh, N. N., & Oswald, D. P. (1998).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by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ehavior Modification, 22(2), 128-142.
Smalley, S. L., Loo, S. K., Hale, T. S., Shrestha, A., McGough, J., Flook, L., & Reise. S. (2009). Mindfulnes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10), 1087-1098.
Trungpa, C. (2002). The myth of freedom. Berkeley:Shambhala.
Zylowska, L., Ackerman, D. L., Yang, M. H., Futrell, J. L., Horton, N. L., Hale, T. S., & Smalley, S. L. (2008).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in adults and adolescents with ADHD: A feasibility study.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11(6), 737-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