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청소년 도박문제 발달 및 자발적 회복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Natural Recovery Process of Youth Gambling Problem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1, pp.125-151
https://doi.org/10.17315/kjhp.2020.25.1.008
김예나 (침례신학대학교)
권선중 (침례신학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도박문제 발달 및 자발적 회복 과정과 그 과정 중에 개입하는 심리사회적 요인 등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초기 도박경험으로부터 도박문제가 발달하는 과정, 그 과정에 작용한 보호요인, 회복요인, 위험요인, 그리고 도박문제가 초래한 폐해 및 자발적 회복과정 등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면담대상자를 비문제군, 문제군, 자발적 회복군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에 맞는 면접질문지를 개발하여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비문제군의 경우, 본인은 도박경험이 전혀 없으나 친한 친구 또는 주변인들 중 자주(정기적/반복적) 돈내기 게임(도박)을 하고 있는 친구가 있는 대상이 포함되었고, 문제군은 불법 온라인 도박 문제로 교내 징계를 받은 경험이 있는 00 지역의 청소년들이었으며, 자발적 회복군은 과거 도박경험이 있으나 현재는 하고 있지 않은 대상들이 포함되었다. 면담대상자는 비문제군 12명, 문제군 8명, 자발적 회복군 10명이었으며, 참여자의 응답 자료를 전사한 후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23개의 상위범주와 62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56개의 개념화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청소년의 도박문제 받달 및 자발적 회복과정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해당 결과가 추후 청소년 도박문제 연구 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논의하였다.

keywords
youth gambling, gambling problem development process, gambling problem natural recovery process,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theory, 청소년 도박, 도박문제 발달과정, 도박문제 자발적 회복 과정, 질적연구, 근거이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recovery process of adolescents' gambling problems and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To this end, the process of developing gambling problems from the early gambling experience of teenagers, protection factors that worked on the process, recovery factors, risk factors, and the process of natural recovery caused by gambling problems were explored based on the ground theory.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n-problem gambling, problem gambling and natural recovery group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developing interview questions suitable for each county. In the case of the non-problem gamblers, I was included among close friends or neighbors who had no gambling experience but had frequent (regular/repeated) money-for-gambling games, problem gamblers were teenagers in the 00 region who had been disciplined for illegal online gambling, and natural recovery members were those who had previous gambling experiences but did not. A total of 30 subject were interviewed (12 of the non-problem gamblers, eight of the problem gamblers and 10 of the recovery group). And the respondent data of the participants were transferred and analyzed using the rationale theory. The analysis of the data resulted in a total of 23 higher categories, 62 lower categories, and 156 conceptualiz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recovering Korean teenagers’ gambling problems, and discussed how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study youth gambling in the future.

keywords
youth gambling, gambling problem development process, gambling problem natural recovery process,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theory, 청소년 도박, 도박문제 발달과정, 도박문제 자발적 회복 과정, 질적연구, 근거이론

참고문헌

1.

권선중, 김교헌, 최지욱 (2006). 아동의 성인도박 인식실태와 도박성 게임행동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1(1), 147-162.

2.

권선중, 김교헌, 성한기, 이민규, 강성군 (2007). 성인과남자 청소년의 불법 인터넷 도박 문제와 위험 요인그리고 예방 전략.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1-19.

3.

권준근 (2011). 청소년의 인터넷 도박게임 행동과 정책적 제안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4.

김민우 (2004). 문제 도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성봉, 장정임 (2016). 청소년 도박중독 판별요인 분석: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630-636.

6.

김소희, 서경현 (2016). 성장기 도박에 대한 노출, BAS/BIS 및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대학생의 도박중독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3(3), 439-460.

7.

김송이, 김용수, 정찬구 (2018). 청소년 도박행동 경험에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19(3), 159-181.

8.

김영경 (2013).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및 도박행동과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4(1), 127-156.

9.

김영화, 신성만, 이혜주 (2012). 청소년 인터넷 도박행동의 실태 및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7(4), 927-941.

10.

김예나, 권선중, 김원식 (2016). 한국판 청소년 도박중독진단 척도(K-DSM-IV-MR-J)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751-772.

11.

김예나, 하지연, 우정애, 김성봉, 권선중 (2016). 청소년의 불법 도박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년 8월, 214-214.

12.

남전아, 채규만 (2012). 스트레스와 청소년 도박행동의관계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모 애착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643-657.

13.

류황건, 최이순, 장효강, 김정은 (2012). 청소년 도박중독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1), 153-161.

14.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18). 2018년 사행산업 이용실태 조사. 서울 :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15.

손강숙 (2016). 인터넷 도박 청소년의 금전동기와 미래도박행동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 229-247.

16.

송진희, 서종건, 김용석 (2019). 학교 밖 청소년의 도박관련 범죄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보호처분을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7(2), 97-126.

17.

양정남, 최은정, 이명호, 소영 (2011). 청소년의 우울, 충동성, 가족의 전반적인 건강성이 청소년의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5), 357-383.

18.

연미영 (2006). 청소년의 충동성, 가족도박수준 및 거주지역이 청소년의 도박행동, 도박신념 및 미래의 도박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14.

19.

윤인노, 장정임, 김성봉 (2014). 대학생의 도박동기와 자기통제력이 도박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6(3), 237-256.

20.

이상훈 (2012).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관한 정부의 대처방안. 형사사업연구. 2(2), 25-50.

21.

이충기, 권선중, 이태경, 김교헌 (2010). 합법 인터넷 도박 이용자의 도박행동 추세: 신규 가입 후 2 년간베팅 횟수 및 금액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203-214.

22.

이해경, 임동훈, 김혜원 (2014). 남녀 청소년들의 도박행동에 대한 충동성, 스트레스, 도박신념 및 부모애착의 영향력 차이. 청소년복지연구. 16(3), 257-285.

23.

장정연(2011). 청소년 사행성 게임행동에 관한 연구 :선별도구(SOGS-RA) 평가와 영향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장정임, 김성봉 (2014). 제주지역 청소년의 도박행동 특성 및 도박중독 수준에 관한 조사연구. 청소년학연구. 21(3), 113-139.

25.

장정임, 현지현, 김성봉 (2015).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도박중독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2(12), 359-387.

26.

하민정, 박소연 (2015). 청소년 도박중독 과정에 대한연구.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3(3), 220-249.

27.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2018). 2018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28.

Biernacki, P. (1986). Pathways from Heroin Addiction:Recovery Without Treatment. Temple University Press: Philadelphia.

29.

Blaszczynski, A., & Nower, L. (2002). A pathways model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97(5), 487-499.

30.

Calado, F., Alexandre, J., & Griffiths, M. D. (2017). Prevalence of adolescent problem gambling: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research. Journal of Gambling Studies, 33(2), 397-424.

31.

Cosenza, M, & Nigro, G. (2015). Wagering the uture:Cognitive distortions, impulsivity, delay discounting, and time perspective in adolescent gambling. Journal of Adolescence, 45, 56-66.

32.

Donati, M. A., Chiesi, F., Iozzi, A., Manfredi, A., Fagni, F., & Primi, C. (2018). Gambling-Related Distortions and Problem Gambling in Adolescents: A Model to Explain Mechanisms and Develop Interventions. Frontiers in Psychology, 8, 1-12.

33.

Fortune, E. E., & Goodie, A. S. (2012). Cognitive Distortions as a Component and Treatment Focus of Pathological Gambling: A Review.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26(2), 298-310.

34.

Heyman, G. M. (2013). Addiction and choice: theory and new data. Frontiers in psychiatry, 4, 31.

35.

Lau, J. T., Wu, A. M., Gross, D. L., Cheng, K. M., & Lau, M. M. (2017). Is Internet addiction transitory or persistent? Incidence and prospective predictors of remission of Internet addiction among Chin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Addictive behaviors, 74, 55-62.

36.

LopLaPlante, D. A., Schumann, A., LaBrie, R. A., & Shaffer, H. J. (2008). Population trends in Internet sports gambl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5), 2399-2414.

37.

Mariait, G. A., & Gordon, J. R. (1985). Relapse prevention. Theoretical rationale and.

38.

Moore, S. M., & Ohtsuka, K. (1999). Beliefs about control over gambling among young people, and their relation to problem gambling.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3(4), 339-347.

39.

Orford, J. (2001). Excessive appetites: A psychological view of addictions. Chichester: John Wiley and Sons.

40.

Padgett, D. K. (2016).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Vol. 36). Sage Publications.

41.

Quintero, C., Hasin, D. S., De Los Cobos, J. P., Pines, A., Wang, S., Grant, B. F., & Blanco, C. (2011). Probability and predictors of remission from life ‐time nicotine, alcohol, cannabis or cocaine dependence: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Addiction, 106(3), 657-669.

42.

Raylu, N., & Oei, T. P., (2004). The Gambling Related Cognitions Scale (GRCS): development, confirmatory factor valid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ddiction, 99(6), 757-769.

43.

Roizen, R (1978). Spontaneous remission among untreated problem drinkers. Longitudinal research on drug use: Empirical findings and methodological issues, 197-221.

44.

Russell, M., Peirce, R. S., Chan, A. W., Wieczorek, W. F., Moscato, B. S., & Nochajski, T. H. (2001). Natural recovery in a community-based sample of alcoholics: Study design and descriptive data. Substance Use & Misuse, 36(11), 1417-1441.

45.

Shaffer, H. J., LaPlante, D. A., LaBrie, R. A., Kidman, R. C., Donato, A. N., & Stanton, M. V. (2004).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 Multiple expressions, common etiology.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12(6), 367-374.

46.

SLUTSKE, W. (2010). Why is natural recovery so common for addictive disorders?. Addiction, 105(9), 1520-1521.

47.

Strauss .A. L., & Corbin, J. M. (2001). 근거이론의 단계.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1998에 출판).

48.

Walters, G. D. (2000). Spontaneous remission from alcohol, tabacco, and other drug abuse: seeking quantitative answers to qualitative questions. American Journal of Drug Alcohol Abuse, 26(3), 443-46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