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Effects of Mid-life Generativity and Restrictive Emotion on the Happiness of Korean Middle-age Men: Mainly in middle-age Male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3, pp.527-548
https://doi.org/10.17315/kjhp.2020.25.3.00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middle-age males’ crucial psychological variables (mid-life generativity and restrictive emotion) and happiness( mental well-being and depression) and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happines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84 middle-age males employed at K Company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nter and stepwise) using SPS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mid-life generativity and restrictive emotion were ver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ental well-being and depression. (2) ‘mid-life identity’, ‘relationship and freedom’ and ‘restrictive emo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ental well-being and depression in common but ‘realistic optimism’ predicted only mental well-being and ‘thoughtfulness’ predicted only depression. (3) ‘realistic optimism’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mental well-being and ‘mid-life identit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depression among all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some considerations are suggested for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s for Korean middle-age males.

keywords
middle-age males, mid-life generativity, restrictive emotion, happiness, mental well-being, depression, 중년 남성, 생성감, 감정표현 억제, 행복, 정신적 웰빙, 우울

Reference

1.

강양희 (2016). 중년 남성의 가족 지지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344-353.

2.

곽금주, 민하영, 김경은, 최지영, 전숙영 (2011). 중년 직장 남성의 가족관계, 가족 외 관계 및 직무 만족이행복심리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3), 115-133.

3.

구교준, 임재영, 최슬기 (2015). 행복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부학연구, 21(2), 95-130.

4.

권석만(2017).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학지사.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6.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7.

김민희, 강현주 (2017). 상담 분야에서 중년기 대상 연구 동향: 국내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2000년∼2016년). 인문사회 21, 8(2), 1013- 1029.

8.

김민희, 최은실 (2018). 중년기 남성의 직무만족, 부부만족,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2), 84-97.

9.

김승권, 장영식, 조흥식, 차명숙 (2008). 한국인의 행복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김영희 (2003). 중년기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심리적 복지감. 한경대학교 논문집, 35. 257-264.

11.

김은석 (2017). 중년기 남성의 제2의 진로와 가족 과제: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 경로와 생애 과업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학술대회발표 자료.

12.

김의철, 박영신 (2006).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특집호, 1-28.

13.

김정선 (2002). 남성의 중년기 체험 연구. 질적 연구, 3(2). 55-67.

14.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53-484.

15.

김지현, 최희철 (2007). 남성 성역할과 우울의 관계에서자기 존중감의 매개효과: 도구성과 성 역할 갈등을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45-160.

16.

김치중 (2014. 11. 3). 50대 남성 우울증 심각..."숨기지말고 도움 청하세요".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411031016499350에서 2018년 3. 10일 자료 얻음.

17.

김향수, 김송순 (2017).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3), 101-114.

18.

김향수, 김송순, 박미현 (2018). 전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 영향 요인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6), 133-145.

19.

노민옥, 박경란 (2008). 중년기 직장남성의 생활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2), 255-269.

20.

노상선, 조용래 (2015). Keyes의 완전정신건강모형을 통해 본 노인의 정신건강과 자살행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1059-1078.

21.

모윤수, 김지현 (2016). 중년 남성의 성 역할 갈등과 중년기 정서적 위기감의 관계에서 친밀감 두려움의매개효과. 여성연구, 91(2). 97-126.

22.

민경환 (2013). 성격심리학. 서울: 법문사.

23.

박수애, 조은경 (2002). 남성 성 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77-103.

24.

박아청 (2000). 성인기의 자아 정체감 형성에 관한 일고찰. 한국사회과학연구, 19(2), 47-61.

25.

박영신, 김의철 (2009a).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특집호, 95-132.

26.

박영신, 김의철 (2009b).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467-495.

27.

박영신, 김의철 (2011). 중년기 성인 남녀의 행복 형성요인: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1), 65-108.

28.

박정미 (2018). 정서 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정서적지지가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상담심리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방은령 (2010). 한국 중년 남성들이 말하는 중년기의 의미와 행복의 질 및 삶의 질.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대회지, 6, 37-60.

30.

삼성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17).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었던 진심.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31.

서영숙, 정추영 (2017). 직장 중년 남성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 경로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5), 133-140.

32.

송수진, 정영숙 (2017). 중년 성인의 자기 초월, 자기 고양과 행복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24(2). 19-38.

33.

송진영 (2009). 중년 취업 남성의 다중역할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59-81.

34.

송현심, 성승연 (2017). 대학생과 중년 성인의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희망, 의미발견의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843-870.

35.

안정신 (2010). 부모경험이 부모의 생성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175-195.

36.

오경석 (2001). 청년, 중년, 노년의 생성감. 한국노년학, 21(1), 59-71.

37.

오은영 (2017). 심리적이면서 가치평가적인 행복개념. 철학논집, 50, 137-163.

38.

옥상미, 전혜성 (2016). 중년기 직장 남성의 은퇴불안과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상담학 연구, 17(4). 373-393.

39.

우선혜, 김정민, 조한솔 (2016). 중년기 남성의 개인내적변인, 가족 변인 및 직무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6), 15-26.

40.

원두리, 김교헌 (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25-145.

41.

이수연, 김인순, 김지현 (2011).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 개발.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2.

이옥희, 이지연 (2012). 중년기 생성감(Generativity)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3(2), 665-688.

43.

이은주, 이지연 (2016). 중년기 직장인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은퇴불안 및건강한 부부관계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3(1), 71-94.

44.

이은영, 왕은자 (2017). 중년기 위기감 척도의 개발 및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481-503.

45.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1997). 정서의 체험 및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 117-135.

46.

이학식, 임지훈 (2018). SPSS24 메뉴얼. 서울: 집현재.

47.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2).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69-386.

48.

장미자, 김득성 (2011). 개인내적 특성과 가족 특성 및직업만족도가 중년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영향: 베이비붐 세대 대기업 근무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9(2), 1-11.

49.

장병철 (2013. 1. 9). 경제난, 소외감에 쓰러지는 가장들.. 중년男자살, 女의 2.7배. 문화일보. https://news.v.daum.net/v/20130109134104761에서 자료얻음.

50.

장수진, 김정규 (2013). 직장인의 정서 자각, 표현, 표현갈등, 지지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게슈탈트치료연구, 3(1), 63-79.

51.

장정주, 김정모 (2011).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 훈련이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표현의 억제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861-884.

52.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53.

전숙영, 곽금주, 최지영, 민하영, 김경은 (2011). 중년기아버지의 희로애락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탐색.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6(2), 79-98.

54.

정성훈, 심운경, 천성문 (2016).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 성찰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 논총, 41(4), 81-105.

55.

정유수, 이영순 (2018). 중년남성의 자아정체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공감능력과 부부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5(2), 327-341.

56.

조강욱 (2015. 4. 9). 사오정 오륙도 육이오... 그런데80%는 ‘노후대비 꽝’. 아시아 경제. https://www.asiae.co.kr/article/2015040910070874614에서 2018년4월 6일 자료 얻음.

57.

조원지, 한경혜 (2001). 직업 역할 및 아버지 역할이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연령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1-20.

58.

추세원, 최지영, 이영순 (2017). 중년남성의 성역할갈등과 심리적 불편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4(2), 381-396.

59.

최지영, 곽금주, 전숙영, 민하영, 김경은 (2012). 한국 중년 남성의 집합주의, 직무만족 및 심리적 안녕감의관계. 인간발달연구, 19(2), 251-267.

60.

최태산, 박혜경 (2011). 중년남성이 지각한 자기의식과성역할 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3), 931-944.

61.

하문선, 김지현 (2016). 남성 성역할갈등의 잠재집단과남성성, 여성성, 우울, 자아존중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17(5), 47-64.

62.

하태희 (2016). 중년 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구축. 디지털복합연구, 14(5), 125-135.

63.

허지연, 손은정 (2009). 청년기와 중년기 집단에서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28(2), 105-128.

64.

현경자 (2004). 한국인이 느끼는 행복의 근원과 주제에대한 종단적 탐색.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8, 60-100.

65.

Keyes, C. L. M. (2002). The mental health continuum: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3(2), 207-222.

66.

Keyes, C. L. M., Wissing, M., Potgieter, J., Temane, M., Kruger, A., van, Roosy, S.(2008).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in Swetsana-speaking South African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5(3), 181-192.

67.

Lachman, M. E. (2001).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New York: Wiley

68.

Lachman, M. E. (2004). Development in Mid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5(1), 305-331.

69.

Lachman, M. E., Salom, T., Stefan A. (2015). Midlife as a pivotal period in the life course: Balancing growth and decline at the crossroards of youth and old age.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 39(1), 20-31.

70.

Levinson, D. J. (2003).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The seasons of a man’s life]. (김애순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원전은 1978에 출판).

71.

Lyubomirsky, S. (2001). Why are some people happier than others?. American Psychologist, 56(1), 239-249.

72.

McWilliams, N. (1984). The psychology of the altruist. Pychoanalytic Psychology, 1(3), 193-213.

73.

McWilliams, N. (2008). 정신분석적 진단: 성격 구조의 이해. [Psychoanalitic Diagnosis: Understanding Personality Structure in The Clinical Process]. (정남운, 이기련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4에출판)

74.

Masse, R., Poulin, C., Dassa, C., Lambert, J., Belair, S., Battaglini, A. (1998). The structure of mental health: Higher-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well-being measure. Social Indicators Research, 45(1/3), 475-504.

75.

O’Neil, J. M. (2008). Summarizing 25 years of research on men’s gender role conflict using the Gender Role Conflict Scale: New research paradigms and clinical implica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6(3), 358-445.

76.

Ryan, M. R., Deci, E.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141-166.

77.

Ryff, C. D. (1989). In the eye of the beholder: View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 Psychology and Aging, 4(2), 195-210.

78.

Sadler, W. A. (2003). 서드 에이지, 마흔 이후 30년. [The Third Age] . (김경숙 역). 서울: 사이. (원전은 2000에 출판)

79.

Schneider, S. L. (2001). In Search of realistic optimism: Meaning, knowledge, and warm fuzziness.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st, 56(3), 250-263.

80.

Sharpe, M. J., Heppner, P. P., Dixon, W. A.(1995). Gender role conflict, Instrumentality, Expressiveness, and Well-being in adult man. Sex Roles, 33(1-2), 1-18.

81.

Fitzgerald, T. (2004). A model for midlife development: To wisdom and beyond. Master’s Thesi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USA.

82.

Westerhof, G. J., Keyes, C, L, M.(2010).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The two continua model across lifespan.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7(2), 110-119.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