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인터넷 게임 중 사행심 촉발경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of Internet Game Speculative Experience Sca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4, pp.651-666
https://doi.org/10.17315/kjhp.2020.25.4.003
권선중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김예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김에스더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 게임 중 도박에 대한 호기심이나 수용적 태도를 증가시키는 경험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사행심 촉발요인의 조작적 정의와 구성개념을 확립하고, 인터넷 게임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10개의 게임 내 사행심 촉발경험 준거를 도출하였다. 사행심 촉발요인의 개념과 도출된 10개의 준거에 대해 전문가 평정을 통한 타당성을 확인한 후, 그 준거를 바탕으로 23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최종문항선정을 위해 온라인 패널을 활용하여 게임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면서 확률형 아이템 뽑기를 해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 및 성인 32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성별과 연령대별로 집단을 나누어 개발된 개별문항이 도박문제 관련변인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10문항의 척도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분석, 내적일치도 분석, 검사-재검사 신뢰도분석, 수렴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발된 척도는 단일요인 구조에 안정적인 신뢰도를 보였고, 도박에 대한 긍정적 태도나 호기심, 온라인도박행동빈도, 도박문제수준(PGSI)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게임 중 사행심 촉발경험이 온라인도박행동 및 도박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의의와 시사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인터넷 게임, 게임 중 사행심 촉발경험, 척도 개발, 신뢰도, 타당도, Internet game, Internet speculative experience,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Internet Game Speculative Experience Scale”, used to determine if people who experience increasing curiosity or receptive attitudes toward gambling through the Internet game. For this purpose, the established operational definition and the constructive concept of the speculative trigger factor was used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with 20 adults who regularly use Internet games to derive 10 criteria for experience in 10 ‘Internet game speculative experience’ were conducted. To select the final item,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326 adolescents and adults who had loot box experience while using the game regularly. The group was classified by gender and age from the collected data, and the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if individual items developed in each sampl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variables related to gambling problems. The completed scale was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em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developed scale showed single factor structure, and the reliability was a stabl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ambling attitude, gambling ambiguity, online gambling behavior frequency, and gambling problems (PGSI).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culative experience during Internet games may affect online gambling behavior and gambling problems.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of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인터넷 게임, 게임 중 사행심 촉발경험, 척도 개발, 신뢰도, 타당도, Internet game, Internet speculative experience,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참고문헌

1.

권선중, 김교헌, 성한기, 이민규, 강성군 (2007). 성인과남자 청소년의 불법 인터넷 도박 문제와 위험 요인그리고 예방 전략.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1-19.

2.

권선중, 김교헌, 최지욱 (2006). 아동의 성인도박 인식실태와 도박성 게임행동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1(1), 147-162.

3.

권선중, 김예나 (2018). 청소년의 게임 내 확률형 아이템 구입 및 아이템 조합, 관련 방송 시청과 도박문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8), 354-354, 한국심리학회.

4.

권선중, 김예나 (2019). DSM-5 기반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 선별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상담학연구, 20(1), 211-225.

5.

권선중, 이충기, 김교헌, Suck Won Kim. (2010). 합법인터넷 도박의 역기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215-225.

6.

김민정 (2015).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이 SNS 사용행동을 예측하는가?.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모닝스브스 (2019. 4. 8). 캐릭터에 말 걸면 배팅 시작…도박 판치는 '바람의 나라'. SBS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211639&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에서 자료얻음

8.

오정수, 천은영 (2019). 체육계 대학생의 사행성 게임행동 실태와 사행성 게임중독 대학생의 사회심리적특성. 한국체육과학회지, 28(1), 197-213.

9.

이인혜 (2005). 한국판 도박 태도 및 신념 척도(GABS)의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4), 531-546.

10.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2018). 2018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1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게임이용자 패널 5차년도 연구. 나주: 한국콘텐츠진흥원.

12.

Ajzen, I. (200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2(4), 665-683.

13.

Anthony, W. V. L., & Nower, L. (2019). Loot box: A nexus of Internet gambling and video gaming.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ambling and Risk Taking, Las Vegas

14.

Brooks, G. A., & Clark, L. (2019). Associations between loot box use, problematic gaming and gambling, and gambling-related cognitions. Addictive behaviors, 96, 26-34.

15.

Hayes, A. F (2013).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이형권역). 파주: 신영사.

16.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7.

Macey, J., & Hamari, J. (2019). eSports, skins and loot boxes: Participants, practices and problematic behaviour associated with emergent forms of gambling. New Media & Society, 21(1), 20-41.

18.

Zendle, D. (2019). The prevalence of loot boxes means that content descriptors are important. PsyArXiv. https://doi.org/10.31234/osf.io/pnq6x

19.

Zendle, D., & Cairns, P. (2018). Video game loot boxes are linked to problem gambling: Results of a large-scale survey. PloS one, 13(11), e0206767.

20.

Zendle, D., & Cairns, P. (2019). Loot boxes are again linked to problem gambling: Results of a replication study. PloS one, 14(3), e0213194.

21.

Zendle, D., Cairns, P., Barnett, H., & McCall, C. (2020). Paying for loot boxes is linked to problem gambling, regardless of specific features like cash-out and pay-to-wi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02, 181-191.

22.

Zendle, D., Meyer, R., & Over, H. (2019). Adolescents and loot boxes: Links with problem gambling and motivations for purchase. Royal Society Open Science, 6(6), 190049.

23.

Zendle, D., Meyer, R., Waters, S., & Cairns, P. (2019). The prevalence of loot boxes in mobile and desktop games. PsyArXiv. https://doi.org/10.31234/osf.io/mkhp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