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중년여성 식습관 개선을 통한 체중조절 성공 경험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Successful Weight Control Process by Improving Eating Habits for Middle Age Femal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4, pp.667-698
https://doi.org/10.17315/kjhp.2020.25.4.004
최경화 (광운대학교)
김혜영 (광운대학교)
한석빈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탁진국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식습관 개선을 통한 체중조절 과정과 그 과정 중에 개입하는 심리 사회적 요인 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최종적으로 핵심현상을 도출하고 이론적 도해(diagram)를 제시하여 기본적인 패러다임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식습관 개선을 통해 본인의 기존 체중의 10% 이상을 감량하고 6개월 이상 지속하고 있는 중년 여성 10명을 선정하여 식습관 개선 및 체중조절을 하게 되는 계기, 개선과정 및 유지전략 등을 심층 면접을 하고 근거이론의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총 65개의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다시 15개의 하위범주로 나누고 최종적으로 ‘새로운 변화 필요성의 절실함’ , ‘잃어버린 자아 회복’ , ‘장애물 극복을 위한 위기와 상처’, ‘내적 자원과 외적 지원’ , ‘변화 유지를 위한 핵심 전략’ , ‘성공이 불러온 변화와 나비 효과’ 등 좀 더 추상화된 6개의 주요 범주로 구분하였다. 건강상의 위협이나 자기만족, 타인의 시선이나 평가에 대한 불만족으로 시작된 식습관 개선을 통한 체중조절은 개인 내적 특성, 환경 외적인 어려움과 장애를 극복하면서 변화, 유지가 가능하였다. 몸의 변화를 통해 삶 전체로의 확장된 변화를 경험함으로써, 이는 인간의 습관변화 과정 경험이 좀 더 나은 삶으로의 성장과 변화로 나아가는 것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keywords
middle-aged females, eating habits, weight control, behavior change, grounded theory, 중년여성, 식습관, 체중조절, 행동 변화, 근거이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asic paradigm model by deeply understanding the weight control process through improving the eating habits of middle-age females and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and eventually by manipulating key phenomena and presenting a theoretical diagram. First, 10 middle-age females who have lost more than 10% of their existing weight through improved eating habits and have been on a diet for more than six month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in-depth interviews on the improvement process and maintenance strategie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 total of 65 concep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es of the data and were eventually classified into 15 sub-categories, further classified into six main categories: ‘desperation for new necessity of change’, ‘recovery for lost self’, ‘risk and hurt to overcome obstacles’, ‘internal resource and external support’, ‘key strategies for maintaining change’, and ‘change through success and butterfly effect’. Weight control through improved eating habits, which began with a health threat, self-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others’ views or evaluations has become feasible to change and maintain while overcoming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istics, external environmental difficulties, and obstacles. By experiencing extended changes throughout life through body changes, it was shown that experiences of habit change were moving toward growth and change for a better lif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keywords
middle-aged females, eating habits, weight control, behavior change, grounded theory, 중년여성, 식습관, 체중조절, 행동 변화, 근거이론

참고문헌

1.

강 인 (1989).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방안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곽연희 (2007). 중년기 비만 여성의 체중조절행위 예측을 위한 확장된 합리적 행위이론 검증.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미례 (2007).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61-777.

4.

김병준 (2001).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 도구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2(2), 69-90.

5.

김선희 (2003).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20대 여성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5), 99-108.

6.

김정수 (2012). 여대생의 건강 다이어트 경험과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3(3), 244-255.

7.

김지현, 권명진, 정선경 (2017). 중년 성인의 건강통제위,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4), 494-503.

8.

김혜경, 김미정 (2010).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중년기 비만여성의 식습관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43(3), 273-284.

9.

김형진, 김수남, 김세환 (2005). 운동영양학: 식사일기가비만 여중생의 신체구성 및 영양섭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6), 567-577.

10.

김효정, 김미라 (2010). 고등학생의 자아 존중감 신체이미지 및 체형에 대한 외적 요인이 다이어트 실행에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4), 65-77.

11.

김효진, 박성제 (2012).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중년여성의 생리: 심리적 차이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0(1), 669-680.

12.

김희정, 홍정민 (2009). 정상체중 여성의 다이어트 지속과정. 질적연구, 10(1), 28-38.

13.

박미경,김정희 (2013).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가진중년여성을 위한 통합적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의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2), 111-122.

14.

박보윤 (2008).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선희 (2000). 서울시 내 여중생의 다이어트 행위 실태와 관련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자방 (2013). 요가수련을 병행한 식사명상이 중년여성의 비만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03-129.

17.

박재순 (1995).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박종, 양은석, 배학연, 박상기, 이용은 (1997). 일부 초·중· 고등학교 여학생의 비만 정도 및 체중조절행태. 대한비만학회지, 6(1), 41-49.

19.

박현애, 박영숙, 오효숙, 김후정 (2002). 중년여성을 위한 건강 정보 프로그램 개발과 건강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2), 165-176.

20.

변정순 (2012). 중년여성의 건강 보조식품의 이용과 식습관 및 갱년기 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변정순, 김미정, 이경혜 (2011). 경남지역 일부 갱년기·폐경기 여성의 식사와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신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6(2), 239-252.

22.

변종화 (1994).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전략 및 사업추진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 56.

23.

신경옥, 제해종 (2018). 현대인의 식습관 문제점 인지와발생 질병 극복을 위한 대안 제시: 5대 블루존 중미국 로마린다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10(2), 53-62.

24.

신정훈, 박장진 (2016). 국제신체활동질문지(IPAQ)를 이용한 고령자의 신체활동 수준이 식습관과 자가 건강관리행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3), 189-197.

25.

신혜섭 (2006). 중년기 위기와 가족 스트레스. 동덕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1, 84-90.

26.

안용덕, 신정훈 (2016). 중년여성의 건강생활습관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 및 건강증진행동.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4), 273-282.

27.

안정덕, 표내숙 (2000).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능력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1(2), 167-182.

28.

유인경 (2008). 성인여성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윤나래 (2017). 여대생의 BMI와 체형 인식에 따른 체중조절 행태와 식습관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윤영숙 (2004). 여성의 비만: Background of epidemiology. 대한비만학회지, 13, 211-224.

31.

윤은자 (2000).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7(1), 41-59.

32.

이득주, 김상만, 정윤석, 이은주, 권혁찬, 조남한 (1996). 여성에서 허리 둔부 둘레 비와 비만 관련 질환의예측. 대한비만학회지, 5(1), 41-48.

33.

이숙자, 김소인, 이평숙, 김순용, 박은숙, 박영주, 유호신, 장성옥, 한금선 (2002). 만성 질환자의 건강 증진행위 구조모형 구축.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1), 62-76.

34.

이순림 (2007). 여성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기개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 만족에관한 연구. 한국 스포츠 리서치, 18(3), 371-384.

35.

이순희, 신주영, 이영주 (2002). 중년 비만 여성의 체중조절 경험에 관한 연구. 질적연구, 3(1), 65-76.

36.

이애랑, 문현경, 김은경 (2000). 서울시 일부 비만아동의영양교육 후 영양지식 변화에 따른 식습관, 식행동및 체형인식도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6(2), 171-178.

37.

이정섭, 김병희, 정현철, 이성은 (2001). 여대생의 다이어트 경험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4), 596-609.

38.

이평숙 (2003). 중년여성의 분노, 지각된 스트레스 및지각된 정신건강 상태와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3(6), 856-864.

39.

이혜진, 이경혜, 김은경, 김미정, 황석만 (2012). 일부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7(3), 290-301.

40.

장정미 (1997). 비만인의 체중조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주관성연구, 2, 58-79.

41.

조승제, 윤양진, 서국웅, 남태호, 정용민, 이광무 (1999). 중등학교 여학생의 식습관, 생활습관과 사회· 경제·심리적 요인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7, 155-163.

42.

주현옥 (1998).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3.

정연선, 권혜진, 백경아 (2016). 여대생의 체중조절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16(4), 544-554.

44.

진은희 (2009). 중년여성의 건강과 관련된 식생활 지침실천 정도와 식생활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4(2), 165-176.

45.

표내숙, 안정덕 (2002). 심리치료를 위한 운동 요법의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1), 129-151.

46.

통계청 (2008). 고령자 통계.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추이 p4-p5 2008. 10. 02 보도자료.http://kostat. go.kr/smart/news/file_dn.jsp?aSeq=61165&ord=2 에서 2020. 02. 15 자료 얻음.

47.

한금선 (2000). 미국 이민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 증상, 건강증진 행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3), 606-618.

48.

한금선, 이평숙, 이용미 (2000).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6), 1427-1436.

49.

홍영상 (1998). 중년여성의 건강추구행위 모형 구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0.

Adriaanse, M. A., Gollwitzer, P. M., De Ridder, D. T., De Wit, J. B., & Kroese, F. M. (2011). Breaking habits with implementation intentions: A test of underlying process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7(4), 502-513.

51.

Artinian, N. T., Fletcher, G. F., Mozaffarian, D., Kris-Etherton, P., Van Horn, L., Lichtenstein, A. H., & Meininger, J. C. (2010).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lifestyle changes forcardiovascular risk factor reduction in adult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2(4), 406-441.

52.

Bagozzi, R. P., Baumgartner, H., & Pieters, R. (1998). Goal-directed emotions. Cognition and Emotion, 12(1), 1–26.

53.

Bardel, A., Wallander, M., Wedel, H., & Svärdsudd, K. (2009). Age-specific symptom prevalence in women 35–64 years old: A population-based study. BMC Public Health 9(1), 37. https://doi.org/10.1186/ 1471-2458-9-37

54.

Cohen, S. (1980). Aftereffects of stress on human performance and social behavior: A review of research and theory. Psychological Bulletin, 88, 82-108.

55.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Sage Publications, Inc. https://doi.org/10.4135/9781452230153

56.

Compton, W. C. (2005).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Belmont, CA, US: Thomson Wadsworth.

57.

Creswell, J. W. (2013).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2005.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울:학지사.

58.

Creswell, J. W. (2016).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3에 출판).

59.

Duffy, M. E. (1988).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in midlife women. Nursing Research, 37(6), 358-362.

60.

Gerace, T. (1995). Assessing Women'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Menopause: p79. Menopause, 2(4), 281. https://doi.org/10.1097/00042192-199502040-00118

61.

Gollwitzer, P. M., Sheeran, P., Trötschel, R., & Webb, T. L. (2011). Self-Regulation of Priming Effects on Behavior. Psychological Science, 22(7), 901–907. https://doi.org/10.1177/0956797611411586

62.

Kissebah, A. H., Freedman, D. S., & Peris, A. N. (1989). Health risks of obesity.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73(1), 111-138. https://doi.org/10.1016/s0025-7125(16)30695-2

63.

Klem, M. L., Wing, R. R., McGuire, M. T., Seagle, H. M., & Hill, J. O. (1997). A descriptive study of individuals successful at long-term maintenance of substantial weight los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6(2), 239-246.

64.

Koestner, R., Lekes, N., Powers, T. A., & Chicoine, E. (2002). Attaining personal goals: Selfconcordance plus implementation intentions equals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1), 231–244. https://doi.org/10.1037/0022-3514.83.1.231

65.

Lally, P., & Gardner, B. (2013). Promoting habit formation. Health Psychology Review, 7(1), 137-158.

66.

Lally, P., Van Jaarsveld, C. H., Potts, H. W., & Wardle, J. (2010). How are habits formed:Modelling habit formation in the real world.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0(6), 998-1009. https://doi.org/10.1002/ejsp.674

67.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68.

Lee, H. K., & Kim, H. K. (2015). The influence factors on health conservation of middle-aged adult.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10(23), 43538-43544.

69.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Vol. 75). CA: Sage.

70.

Luszczynska. A., Cao, D., Mallach, N., Pietron. K., Mazurkiewicz. M., & Schwarzer, R. (2010). Intentions, planning, and self-efficacy predict physical activity in Chinese and Polish adolescents: Two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10(2), 265-278.

71.

Magkos, F., Manios, Y., Christakis, G., & Kafatos, A. G. (2005). Secular trend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school-aged boys from Crete, Greece, 1982–2002. European journal of clinica nutrition, 59(1), 1-7.

72.

Mirowsky, J., & Ross, C. E. (2003). Education, social status, and health.. New York: Walter de Gruyter, Inc.

73.

Moon, H. K., Lee, H. J., & Park, Y. (2007).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dietary habits by percent body fat (PBF) change for adult women in the weight control program by the community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12(4), 477-488.

74.

Morse, J. M. (2001). Situating grounded theory within qualitative inquiry.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1-15.

75.

Muraven, M., & Baumeister, R. F. (2000). Self-regulation and depletion of limited resources:Does self-control resemble a muscle?. Psychological Bulletin, 126(2), 247-259.

76.

Nicholas, P. K. (1993). Hardiness, self‐care practice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older adul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8(7), 1085-1094.

77.

Pi-Sunyer, F. X (1993). Medical hazards of obesity.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19(7_Part_2), 655-660.

78.

Quinn, J. M., Pascoe, A., Wood, W., & Neal, D. T. (2010). Can’t control yourself? Monitor those bad habi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6(4), 499-511.

79.

Schunk, D. H., Pintrich, P. R. & Meece, J. L. (2008).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New Jersey: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80.

Seeman, T. E. (2000). Health promoting effects of friends and family on health outcomes in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4(6), 362-370.

81.

Seiman, I. (2009).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박혜준, 이승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6에출판).

82.

Stajkovic, A. D., & Luthans, F. (1997).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behavior modification on task performance, 1975–95.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5), 1122-1149.

83.

Stokes, R., & Frederick-Recascino, C. (2003). Women's perceived body image: relations with personal happiness. Journal of Women & Aging, 15(1), 17-29.

84.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85.

Strauss, A. L., & Corbin, J. M. (1998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86.

Strauss, A. L., & Corbin, J. M. (1998b).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nd ed.). Sage Publications, Inc. https://dx.doi.org/10.4135/9781452230153

87.

Wadden, T. A. (1993). Treatment of obesity by moderate and severe caloric restriction: results of clinical research trial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19(7 Pt 2), 688-693.

88.

Wood, W., & Neal, D. T. (2007). A new look at habits and the habit-goal interface. Psychological review, 114(4), 843-863.

89.

Wood, W., Tam, L., & Witt, M. G. (2005). Changing circumstances, disrupting habi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6), 918-933.

90.

Verplanken, B., & Wood, W. (2006). Interventions to Break and Create Consumer Habits.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25(1), 90-10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