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극추구, 위험회피 기질과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청소년기에 중요한 발달적 의미를 갖는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중, 고등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 검사(JTCI), 자기조절척도(VCI) 및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은 내현화와 외현화 문제행동과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매개변인인 자기조절양식은 자극추구, 위험회피 기질,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고, 의지적 억제양식은 자극추구, 위험회피 기질,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과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청소년의 자극추구 기질과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 중 의지적 억제양식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위험회피 기질과 내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 모두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mode, volitional inhibition mod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and behavior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among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surveys using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 self-regulating ability scale (VCI), an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scale of Youth Self-Report (YSR) were carried out with 29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s th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novelty seeking and harm avoidance were both positively related with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Meanwhile, self-regulation mode, a mediating variable, was negatively related to all of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an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 Second, it was found that only the volitional inhibition mode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ty seeking temperament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was shown to be partially mediated by both the self-regulation mode and the volitional inhibition mod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김리진, 정옥분 (2012).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의관계: 보육교사-유아 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매개효과 검증. 인간발달연구, 19(1) 89-104.
김보경, 민병배 (2006). 청소년 우울과 지각된 부모 양육행동, 기질 및 성격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221-236.
김성주, 정윤경 (2019). 아동초기 실행기능의 발달과 자기조절 능력의 관련성: 만족지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2), 149-169.
김연수, 곽금주 (2016). 영아기 기질의 변화가 아동초기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정서와 조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3), 95-111.
김지윤, 도현심, 김민정 (2008). 부부갈등과 유아의 기질및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133-150.
남영옥, 김정남 (2010). 청소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2(2), 123-141.
박정훈, 오경자 (2016). 위험회피 기질과 자극추구 기질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2), 221-241.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서은희, 이미숙 (2012). 유아의 활동성 기질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27-46.
성상희, 홍창희, 김귀애 (2014). 자기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남자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충동성 및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2), 157-178.
송민섭 (2016.7.27). 뇌의 고차원적 기능은 10대 때 가장빠르게 성장. 세계일보, http://m.segye.com/view/20160727002338에서 자료 얻음.
송현심, 성승연 (2015).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129-157.
오현숙, 민병배 (2004). 기질 및 성격 검사. 서울: 마음사랑.
원두리 (2011). 사회적지지, 희망 및 문제해결 대처가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297-311.
윤영신 (2007). 청소년의 자기조절관련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경님 (2010). 부모변인과 아동의 기질 및 내재적 통제소재가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00-300.
이명주, 홍창희 (2006). 실행기능의 차원과 영역별 발달.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5(2), 587-602.
이정윤, 최수미 (2011).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2), 635-650.
이주영, 오경자 (2010). 청소년기 우울-비행 공존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및 성별의 효과: 잠재 프로파일 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53-72.
이회란 (2012). 부모의 자율성지지 및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녀의 자기조절양 식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임지영 (2012). 공격성 위험집단 청소년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주도적, 반응적 공격성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9(12), 1-29.
장혜인 (2010).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 심리학회지: 발달, 23(3), 19-35.
정혜진, 이완정 (2009).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에따른 문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159-170,
최미숙, 김미숙(2005).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42, 209-228.
하승수, 권석만 (2011),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성격 강점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263-284.
한창환 (2003), 생물 유전적 기질과 가정환경이 청소년기 우울, 품행장애 성향 및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한창훈, 조영아 (2014).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12), 205-231.
황순길, 김동민, 강태훈, 손재환, 김지혜 (2016). 전국 청소년 위기실태 및 위기결과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8(4), 47-70.
Achenbach, T. M., & Edelbrock, C. S. (1978). The classification of child psychopathology: a review and analysis of empirical efforts. Psychological Bulletin, 85(6), 1275–1301.
Albayrak-Kaymak, D. (1999). Internalizing or externalizing: Screening for both problem youth.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21(2), 125-137.
An, M. K. (199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elfregulation, temperament of children, and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Seoul Women's University,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auer, I. M., & BaumeisterR. F. (2011).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NY: Guilford Publications.
Baumann, N., Kaschel, R., & Kuhl., J. (2007). Affect sensitivity and affect regulation in dealing wi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1), 239-248.
Baumeister, R. F., Vohs, K. D., & Tice., D. M. (2007).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6), 351-355.
Blair, C., & Razza, R. P. (2007). Relating effortful control, executive function,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to emerging math and literacy ability in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78(2), 647-663.
Calkins., S. D. (2002). Does aversive behavior during toddlerhood matter? The effects of difficult temperament on maternal perceptions and behavior.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3(4), 381-402.
Cloninger, C. R., Bayon, C., & Svrakic, D. M. (1998). Measurement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mood disorders: A model of fundamental states as personality typ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51(1), 21–32.
Cloninger, C. R., Przybeck, T. R., Svrakic., D. M. &Wetzel, R. D. (1994).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A Guide to its Development and use. St. Louis, Missouri: Center for Psychobiology of Personality
Dennis, T. A., Brotman, L. M., Huang, K. Y., & Gouley, K. K. (2007). Effortful control, social competence, and adjustment problems in children at risk for psychopathology.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6(3), 442-454.
Dinya, E., Csorba, J., Suli, A., & Grosz, Z. (2012). Behaviour profile of Hungarian adolescent outpatients with a dual diagnosi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3(5), 1574-1580.
Fonagy, P., & Target, M. (2002). Early intervention and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Psychoanalytic Inquiry, 22(3), 307-335.
Gestsdottir, S., & Lerner, R. M. (2008). Positive development in adolescence: The development and role of intentional self-regulation. Human Development, 51(3), 202-224.
Gilliom, M., Shaw, D. S., Beck, J. E., Schonberg, M. A., & Lukon J. L. (2002). Anger regulation in disadvantaged preschool boys: strategies, antecedents, and the development of self-control. Developmental Psychology, 38(2), 222-235.
Kazdin, A. E. (1993). Adolescent mental health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American Psycholgist, 48(2), 127-141.
Kopp, C. B. (1982). The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 Psychology, 18(2), 199-214.
Kuhl, J., & A. Fuhrmann(1998). Decomposing self-regulation and self-control: The volitional components inventory. In J. Heckhausen & C. S. Dweck (Eds.),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across the life span. (p. 15–49). Cambridge University Press.
Kuhl, J., Kazén, M., & Koole, S. L. (2006). Putting self‐regulation theory into practice: A user's manual. Applied Psychology, 55(3), 408-418.
Moller, A. C., Deci, E. L., & Ryan R. M. (2006). Choice and ego-depletion: The moderating role of autonom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8), 1024-1036.
Morosanova, V. I., & Fomina, T. G. (2017). Self-regulatio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Academic Examination Performanc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37(21), 1066-1070.
Neuenschwander, R., & Blair, C. (2017). Zooming in on children’s behavior during delay of gratification: Disentangling impulsigenic and volitional processes underlying self-regul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54(2), 46-63.
Posner, M. I.., & Rothbart M. K. (2000). Developing mechanisms of self-regula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3), 427-441.
Preacher, K. J., Rucker,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Rothbart, M., & Bates, J. E. (1998). Temperament. In W. Damon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pp.105-176). New York: Wiley.
Rothbart, M. K., & Jones, L. B. (1998). Temperament, Self-regulation, and education. School Psychology Review, 27(4), 479-492.
Rueda, M. R,. Posner, M. I., & Rothbart, M. K. (2005).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attention:Contributions to the emergence of self-regulatio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8(2), 573-594.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Tice, D. M. Baumeister., R. F., Shmueli, D., &Muraven, M. (2007). Restoring the self: Positive affect helps improve self-regulation following ego deple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3(3), 379-384.
Valiente, C., Lemery-Chalfant, K & Castro, K. S. (2007).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academic competence: Mediation through school liking. Merrill-Palmer Quarterly, 53(1), 1-25.
Wills, T. A., DuHamel, K., & Vaccaro, D. (1995). Activity and mood temperament as predictors of adolescent substance use: Test of a self-regulation mediational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5), 90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