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내현적 자기애가 내면화된 수치심에 취약하여 우울로 이어질 때, 자기자비가 우울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는 데에 있다. 연구를 위해 일반인 남녀 총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사이,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과의 정적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분 매개하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우울에 이르는 영향에서, 자기자비가 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내현적 자기애는 취약성으로 인해 수치심을 쉽게 내재화하게 될 수 있는데, 내현적 자기애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가는 영향을 자기자비가 부적으로 조절하여 우울이 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내현적 자기애 수준이 높더라도 자기자비 수준이 높으면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가는 영향은 낮아지고, 이로 인해 우울이 감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내현적 자기애의 우울을 낮추기 위해 자기자비 함양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owards this end, a total of 394 men and women participated in a survey using Covert Narcissism Scale (CNS),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Depression Scal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and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K-SCS). Data were analyzed using a mediation model (model 4), followed by a moderated mediation model (model 7),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v.3.3.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internalized shame, and depression. Self-compass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Second, internalized shame partially mediated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was controlled by self-compass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has a mitigating effect on internalized shame that has a mediated effect on depression.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a protective factor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강석기, 고수현, 한상훈 (2011). 대학생의 사회불안, 내현적 자기애, 부정적 정서와 우울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연구논총, 32(2), 1-27.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권희영, 홍혜영 (2010).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023-1048.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김진숙 (2013). 애착 이론의 내적 작동 모델과 상담적적용점. 상담학연구, 14(4), 2485-2507.
김용태 (2010). 사회-심리적 특성으로서 수치심의 이해와 해결. 상담학연구, 11(1), 59-73.
남기숙 (2002).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수치심과 죄책감의구분 문제. 서울대학교 심리과학, 11(1), 35-52.
남기숙 (2008). 수치심, 죄책감 경험과 대처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박경순 (2011). 수치심(Shame)과 자기애(Narcissism)의정신분석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889-907.
박도현, 김완석(2017). 수치심이 자비명상에 대한 저항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2), 131-157.
박도현, 김완석 (2019). 자기자비명상과 타인자비명상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한국명상학회지, 9(1), 55-77.
박성현, 성승연, 미산 (2016). 자애명상의 심리적 과정및 효과에 관한 혼합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8(2), 395-424.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2005).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55-266.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의 타당화연구-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 (2007). 내현적·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부정적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463-477.
이지원, 장은영 (2011). 외현, 내현적 자기애 그리고 자기고양동기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2), 441-458.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조현주 (2014). 자비 및 자애명상의 심리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 14(1), 123-143.
황성훈 (2010). 자기애성 성격 성향자들의 자기구조 특성: 외현형 및 내현형 자기애의 하위분류에 따른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3). 507-531.
Aktar, S., & Thomson, A. (1982). Overview: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Allan, S., Gilbert, P. & Goss, K. (1994). An exploration of shame measures—II:Psychopatholog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7(5), 719-722.
Benda, J., & Kadlečík, P., & Dvořáková, M., (2018). Differences in self-compassion and shame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and healthy controls. Ceskoslovenská psychologie. 62(6), 529-541.
Cook, D. R. (2001). Internalized shame scale:Technical manual. North Twanda, NY; Channel press.
Germer, C. K. (2010). 나를 위한 기도 셀프컴패션[the mindful to self-compassion]. (한창호 역). 서울: 아름드리미디어. (원전은 2009년에 출판).
Gilbert, P. (2009). Introducing compassion-focused therapy.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15(3), 199-208.
Gilbert, P. (2014). 자비중심치료[Compassion Focused Therapy: Distinctive Features]. (조현주, 박성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0년에 출판).
Hayes, A.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The Guilford Press.
Hook, A. & Andrews, B. (2005). The relationship of non-disclosure in therapy to shame and depression.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4(3), 425-438.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Kristin E. M. & Aimee C. A. (2016). Self-Compassion as a Mediator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ve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sychotherapy, 30(2), 132-145.
Miller, R. & Mason, S. E. (2005). Shame and guilt in first-episode schizophrenia and schizo affective disorders.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35(2), 211-221.
Neff, K. D.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 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2.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Neff, K. D. (2011). Self-Compassion, Self-Esteem, and Well-Be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5(1), 1-12.
Neff, K. D., Kirkpatrick, K.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its link to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 139-154.
Ran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Rose, P.(2002).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3), 379-391.
Ross, N. D., Kaminski, P. L. & Herrington, R. (2019). From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to depressive symptoms in adulthood: The roles of Self-compassion and shame. Journal of Child Abuse & Neglect, 92, 3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