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장지연(부산대학교) ; 심은정(부산대학교) pp.429-449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죽음-암묵적 연합 검사(Death-Implicit Association Test: 이하 D-IAT)의 자살 위험 평가 도구로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19세 이상 성인 17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먼저 D-IAT와 자살 관련 척도를 측정한 후, 2주 후 D-IAT, 4주 후 자살 위험을 각각 재평가하였다. D-IAT의 반분 신뢰도 계수는 .73이었고, 2주 간격으로 측정한 D-IAT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r=.30이었다. 수렴 타당도 검증 결과, D-IAT와 우울은 정적 상관(r=.21), 그리고 살아야 할 이유와는 부적 상관(r=-.15)을 보였다. 집단 비교 타당도 검증 결과, 평생 자살 생각 및 시도와 최근 자살 생각의 유무에 따른 D-IAT의 수행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예측 타당도 검증 결과, D-IAT는 1개월 후 자해에 대한 욕구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에 미치지 못했지만 D 점수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욕구의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자살 위험 평가 도구로서 D-IAT의 심리측정 속성이 다소 미흡한 수준이나, 기존 자살 위험 평가의 한계를 보완하는 검사로서 가능성을 검증한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ath Implicit Association Test (D-IAT) for suicide risk assessment. It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mid-December of 2020, targeting 179 adults aged over 19 years. D-IAT and suicide-related measures were administered. D-IAT was re-administered after 2 weeks and suicide risk was reassessed after 4 weeks. All procedures were conducted online. The split-half reliability of D-IAT was .73. The test-retest reliability over two weeks showed r value of .30. Convergent validity was partly supported by results showing that the D-I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2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asons for living (r=-.1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AT group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lifelong suicidal thoughts, attempts, or recent suicidal thoughts. Thus, known-group validity was not supported. Predictive validity was partially supported by results showing that D-IA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sire for self-harm in suicide risk after one month. Moreover, D-IAT predicted wish for death at a marginally significant level.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psychometric properties of D-IAT are rather limited as a tool for suicide risk assessment. Further research on this is warranted.

이종환(육군사관학교 심리경영학과) ; 강성록(육군사관학교) ; 이현엽(육군사관학교) ; 구자일(육군사관학교) ; 최윤영(육군사관학교 리더십·인성교육실) pp.451-471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생도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단축형 문항을 선정하고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2019년도 1학기 사관생도 1,080명을 대상으로 74문항으로 구성된 생도 스트레스 진단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속성에 근거하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대인 관계, 신상 문제, 직무 문제, 조직 환경의 네 가지 영역 및 각 영역별 세부 구성 요인을 대표하는 17문항을 생도 생활 스트레스 요인 척도 단축형(LSS-C-SF)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2020년도 1학기에 사관생도 1,054명을 대상으로 단축형 척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우울 척도(CES-D),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삶의 만족도 척도(SWLS)를 실시하였다. 1,054명을 무작위 표본 추출로 두 집단으로 구분한 후 집단 1(51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단축형 척도 17문항이 조직 환경(8문항), 과업 부담(3문항), 평가 염려(3문항), 대인 갈등(3문항)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내적 합치도가 .87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측정 모형을 설정한 후 집단 2(540명)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 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관 분석을 통해 준거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네 가지 요인은 모두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불안 수준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축형 척도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관생도가 처한 특수한 생활 환경에서 비롯되는 스트레스 요인의 평가, 연구, 개입에 본 척도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hort form of the Life Stress Scale for Cadets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 Life Stress Scale for Cadets, which consists of 74 items, was administered to 1,080 cadets. Based 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the short-form scale is composed of 17 items, which represent constructs in the four areas of relationships, personal affairs, occupation, and environment. Next, the short-form scale, the Perceived Stress Scale, the Depression Scale, and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were administered to 1,054 cadets. Then, we randomly divided the cadets into two group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group 1 (514 cadets). As a result, 17 items were classified into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8 items), the burden of tasks (3 items), worries of evaluation (3 items), and interpersonal conflicts (3 items). The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was mostly acceptable. After designing a CFA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group 2 (540 cadets). The level of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was satisfactory. Furthermore, the total scores and each subfactor score of the short form scale were associated with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The short-form scale in this study showe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will be useful in conducting evaluations, research, and intervention for cadets' stress as military trainees.

송윤하(강원대학교 심리학과) ; 이종선(강원대학교) pp.473-489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강박장애를 설명하는 추론 모델에 기반하여 특성불안과 강박증상 간의 관계에서 역추론과 추론융합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과 대학원생 남녀 158명이 본 연구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특성불안(STAI-T), Padua 강박 척도-워싱턴 주립대학 개정판(PI-WSUR), 추론융합 척도(ICQ), 역추론과제(IRT)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불안과 역추론, 추론융합, 강박증상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특성불안과 강박증상 간의 관계에서 역추론과 추론융합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성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역추론, 추론융합과 같은 부적응적 인지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따라서 강박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들과 시사점들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Inverse Reasoning and Inferential Confu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using the Inference Based Approach (IBA) for explaining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 total of 158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ate-Trait Anxiety Inventory-Trait (STAI-T), Padua Inventory-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vision (PI-WSUR), Inferential Confusion Questionnaire (ICQ), and Inverse Reasoning Task (IR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rait Anxiety, Inverse Reasoning, Inferential Confusion, and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Second, Inverse Reasoning and Inferential Confus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The higher the level of Trait Anxiety,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using maladaptive cognition such as Inverse Reasoning and Inferential Confusion, leading to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th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also discussed.

임효정(서울대학교병원) ; 양재원(가톨릭대학교) pp.491-507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웃음과 비웃음의 얼굴표정을 지각하는 데 사회불안이 미치는 영향을 주관적 동등점(point of subjective equality)의 측정과 신호탐지이론(signal detection theory)을 적용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85명이 사회불안과 우울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과 컴퓨터를 활용한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자극으로는 웃음과 비웃음의 얼굴표정을 다양한 수준(웃음:비웃음의 비율 = 2:8, 3:7, 4:6, 5:5, 6:4, 7:3, 8:2)으로 몰핑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에서는 몰핑된 얼굴표정 자극 하나가 짧은 시간 동안 제시된 후, 연구 참여자가 그 인물의 표정이 웃음인지 비웃음인지를 평정하는 일련의 절차가 반복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누적정규분포 함수에 곡선 맞춤을 하여 주관적 동등점을 산출하였으며, 신호탐지이론을 활용하여 지각적 민감도(d’)와 반응 기준(c)을 계산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사회불안의 정도가 주관적 동등점과는 정적 상관을, 반응 기준과는 부적 상관을 보여,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웃음을 비웃음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불안과 동반이환이 높은 우울을 공변인으로 통제할 경우, 이러한 통계적 유의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웃음을 비웃음으로 판단하는 편향이 사회불안 증상과 관련이 있으나, 이것이 사회불안 특정적이라기보다 우울과 공유하는 특성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objecit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ocial anxiety could facilitate the discrimination between smiles and sneers by applying point of subjective equality (PSE) and signal detection theory (SDT). A total of 85 undergraduate and graduat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about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Thereafter, they participated in emotion recognition tasks through a computer-based experiment. Facial emotion stimuli were composed of smiling and sneering faces at different ratios (2:8, 3:7, 4:6, 5:5, 6:4, 7:3, and 8:2). Participants in each trial performed two alternative forced choice tasks where they had to categorized one facial stimulus as “smile” or “sneer”. We estimated PSEs by fitting the curve into the cumulativ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By applying signal detection theory, we also examined sensitivity (d’) and response criterion (c) for each exp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levels of participants’ social anxie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PSEs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ponse criter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social anxiety are more likely judge smiles as sneers. However, these relations were not significant when depression levels were controlled, suggesting that such tendency might be a trait shared with depression rather than a unique characteristic of social anxiety.

오은아(가톨릭대학교)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509-528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 척도를 활용해 기존에 알려진 노화불안 요인들이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또 성별에 따라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의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만 40세 이상 ∼ 59세 이하의 중년 남녀 246명을 대상으로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 척도, 노화지식 척도, 노인접촉경험 척도, 노인고정관념 척도, 죽음불안 척도를 사용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 노화불안 총점 및 하위 요인인 ‘경제력 상실’, ‘신체건강 상실’, ‘신체매력 상실’에서 여성의 노화불안이 남성의 노화불안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성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죽음불안이 중년기 노화불안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노화지식, 노인접촉경험(빈도, 질), 노인고정관념은 중년기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n aging anxiety scale for Korean middle-aged adults to determine whether existing known factors could affect their aging anxiety and to see how the pattern of the aging anxiety in Korean middle-aged might vary depending on gend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middle-aged aging anxiety scale, the aging knowledge scale, the elderly contact experience scale, the age stereotypes scale, and the death anxiety scale for 246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0 to 59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total aging anxiety score, aging anxiety of wo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omen's aging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s for the following sub-factors of aging anxiety: 'loss of economic power', 'loss of physical health', and 'loss of attractiveness'. In addition, gende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death anxiety significantly predicted aging anxiety. However, knowledge of aging,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elderly (frequency and quality), and stereotypes of the elderly did not affect aging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김성아(KAIST 스트레스 클리닉) ; 김예나(한국침례신학대학교) ; 장은진(한국침례신학대학교) pp.529-541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도박 위험환경 노출과 도박문제 발달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13∼19세의 청소년 인터넷 패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1년 간격을 두고 총 두 차례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차 조사에서 ‘지난 6개월 동안 성인에게만 허용된 합법 도박 또는 온라인 불법 도박 및 온라인 포커/화투 게임 등의 도박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 중 2차 조사에 재참여한 5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남성 50.6%(279명), 여성 49.4%(272명)이었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1차 시점에서 측정한 도박 위험환경 노출과 2차 시점에서 측정한 도박문제가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를 나타내어 도박위험 환경 노출이 도박문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박위험 환경 노출이 도박문제를 예측하는 정도는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박 위험환경에 동일하게 노출되었을 경우,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도박문제로 발전할 위험성이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도박중독 예방 및 개입 장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a gambling risk environment and gambling problem in adolescent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net panels of youth aged 13-19, an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at intervals of one year to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study subjects were adolescents who responded, "I participated in legal gambling or illegal online gambling and gambling in online poker/Hwa-Too games that only allowed adults in the past six months." A total of 551 subjects participated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0.6% males and 49.4% female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Hayes' PROCESS macro 3.5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xposure to the gambling risk environment measured at the first time point and gambling problems measured at the second time point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indicating that exposure to a gambling risk environment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gambling proble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significant, and the degree to which exposure to a gambling risk environment predicted a gambling problem was higher in female adolescents than male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emale adolescents have a higher risk of developing gambling problems than male adolescents when they are equally exposed to gambling risk environments. Finally, we discussed ho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gambling addict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최유리(부산대학교) ; 심은정(부산대학교) pp.543-562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신체불만족 및 섭식장애 증상에 대한 신체상 해석편향수정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신체불만족 수준이 높은 20대 여성 참여자를 선별하여 실험집단(n=20)과 통제집단(n=19)에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집단은 신체상에 대한 부정 해석 편향을 줄이고 긍정 해석 경향을 촉진하도록 피드백을 제공하는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반응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활성화 위약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주간 4회기 온라인 기반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상에 대한 해석편향과 신체불만족 및 이상섭식행동은 사전, 2회기, 사후 및 추후(훈련 1주일 후)에 평가하였고, 섭식장애 증상은 준거 시점을 고려하여 사전, 사후 및 추후 평가하였다.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부정 해석편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긍정 해석편향이 증가하였으며, 신체불만족 및 이상섭식행동 수준이 감소하였다. Bonferroni 사후검증 결과, 긍정 해석편향 및 신체불만족에 대한 훈련의 효과는 2회기에 나타나 추후까지 유지되었으며, 이상섭식행동에 대한 훈련 효과는 추후 시점부터 나타났다. 반면 섭식장애 증상은 측정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신체상 해석편향수정 훈련이 부정 해석편향과 신체불만족 및 이상섭식행동 감소와 긍정 해석편향 증가에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body image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training on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Fe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 with a high level of body dissatisfaction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a training group(n=20), and a control group(n=19). The training group received training and feedback on body image interpret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n active placebo program. Participants received four online-sessions over two weeks. Body image interpretation bias, body dissatisfaction,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were measured at baseline, after two sessions, post-training, and at follow-up.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were measured at baseline, post-training, and follow-up. Results from RM-ANOVA indicated that the training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positive interpretation bias, and decreased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levels of body dissatisfaction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onferroni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training on positive interpretation bias and body dissatisfaction appeared in both two sessions. Such effect was maintained until follow-up. The effect of training on abnormal eating behavior began to appear during the follow-up. In the case of eating disorder symptom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ime of measurement and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dy image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training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reducing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body dissatisfaction,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It is also effective in increasing positive interpretation bias.

이소아(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현명호(중앙대학교) pp.563-579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신체화 경향군을 대상으로 부작용 정보를 제공했을 때, 향유하기를 통해 유도된 긍정정서가 노시보 효과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이를 위해 390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BSI-18 신체화 점수 상위 30%를 선별하여 신체화 경향군으로 간주했다. 선정기준에 부합한 참가자는 긍정정서 집단과 중립정서 집단에 무선 할당되어, 정서 유도 글쓰기 과제를 수행했다. 이후 모든 참가자에게 두통 부작용 정보가 제공되는 거짓 경두개 직류자극술(Sham tDCS) 절차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커버스토리의 유지를 위해 간단한 거짓 인지적 수행 과제를 수행했다. 처치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52명의 자료를 최종분석한 결과, 긍정정서 집단은 중립정서 집단에 비해 두통을 보고하는 빈도가 적었다. 두통 발생률과 강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신체화 경향군의 약물 및 치료준수문제에 기여하는 노시보 효과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며, 효율적인 개입방안을 고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후속연구를 논의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ositive affect induced by savoring on the formation of nocebo in case of somatization tendency when provided with side effect information. To this end, 390 adults among those with the top 30% of BSI-18 somatization scores were selected. They were considered to have a somatization tendency. Those who met the screening criteria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positive affect group or a neutral affect group to perform affect-induced writing tasks. All participants then conducted a procedure called Sham tDCS. They were informed about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s. Finally, a simple fake cognitive performance task was performed to maintain the cover story. In the final analysis, using data from 52 successfully controlled participants, the positive affect group reported less frequent headaches than the neutral affec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r the strength of headaches. This study sough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nocebo known to contribute to somatization tendency's medication and treatment non-adherence.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interv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ollow-up studie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진원화(지우심리상담센터) ; 박준호(경상국립대학교) pp.581-601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에서 공적 자의식 및 지각된 통제감과 사회불안 사이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각각 살펴보고, 더불어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3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적 자의식 및 지각된 통제감과 사회불안(정서, 행동, 신체적 측면)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그리고,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감정통제, 무력감 통제)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감정통제가 낮은 경우 공적 자의식이 높아질수록 신체적 측면의 사회불안(신체불안증상)이 증가하는 기울기는 감정통제가 높은 경우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력감 통제가 낮은 경우 공적 자의식이 높아질수록 정서적 측면의 사회불안(사회적 공포)이 증가하는 기울기는 무력감 통제가 높은 경우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상황과 내적 정서에 대한 통제감을 높이는 것이 신체적 및 정서적 측면의 사회불안을 각각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among public self-consciousness, perceived control, and social anxiety and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Data of 301 Korean adults aged 18-39 years were analyzed.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Bo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emotional, behavioral, and physical). In addition, perceived control (emotion control, control of helplessnes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Specifically, at a lower level of emotional control, social anxiety (physical symptoms) increased at a higher rate from a lower public self-consciousness condition to a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condition. In addition, at a lower level of control of helplessness, emotional social anxiety (social fear) increased at a higher rate from a lower public self-consciousness condition to a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condition.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creasing a sense of control over social situations and internal emotions can alleviate social anxiety in both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이미숙(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이하나(삼육대학교) ; 안재순(삼육대학교) ; 서경현(삼육대학교) pp.603-615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건강증진 캠프 프로그램 참여자의 심리적 특성이 건강행동 및 프로그램 몰입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건강증진 캠프 프로그램 참여자 289명(남성 88명, 여성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들의 연령 평균은 60.65세(SD=15.07)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심리적 특성은 계획된 행동이론 변인들, 5요인 성격 특성, 감사 성향, 낙관적 편향, 현재 편향, 정서적 스트레스 특성, 대처 방식이었다. 분석 결과, 건강증진 캠프 프로그램 참여자의 평소 건강행동 실천에는 건강행동에 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력, 감사 성향 및 적극적 망각이 결정적인 변인이었으며, 프로그램 몰입에는 건강행동 의도, 감사 성향, 적극적 망각 및 특성분노가 결정적인 변인이었다. 이런 결과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거나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추후 연구를 계획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health promotion camp training program were related to health behavior and program commitment. Subjects were 289 participants (88 males and 201 females) in the health promotion camp training program with an average of ages of 60.65 (SD=15.07) yea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variables from Theory of Planned Behavior, Big-5 personality, gratitude, optimistic bias, present bias, emotional stress traits, and coping. Results revealed that attitude toward health behavior,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gratitude, and active forgetting were determinants for practicing health behavior, whereas intention of health behavior, gratitude, active forgetting, and anger trait were determinants for program commitment. These findings suggest useful information for organizing or efficiently manag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or planning further research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