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5, pp.745-761
https://doi.org/10.17315/kjhp.2022.27.5.002
김순임 (교육연구소힐 사회복지학과)
신동윤 (중원대학교)
최은정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이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고, 중년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고, 실험집단에는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총 8회기로 진행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질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과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추후연구의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마음챙김 명상,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Mindfulness meditation,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ing a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To this end, we set as a research question how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s th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Out of 20 middle-aged women, 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and a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total of 8 sessions. Before treatment with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nfirm the homogeneity of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Based on the purpose and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마음챙김 명상,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Mindfulness meditation,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참고문헌

1.

강진호, 유형근, 손현동 (2009). 마음챙김 명상을 활용한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 프로그램개발.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소, 57(1), 213-243.

2.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학지사.

3.

권석만 (2013). 인간이해를 위한 성격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김계양 (2021). 건강한 관계를 위한 마음챙김 자비명상기반 프로그램(MCHR) 개발 및 효과. 아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6.

김미숙, 서예원, 안혜정, 장암미 (2018). OECD ESP 사회정서역량 종단조사 국제공동연구(II): 문항실험 및 예비조사 (RR2018-09). 한국교육개발원, 1-187.

7.

김민지 (2014). 마음챙김의 도덕교육적 함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진 (2017).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김청송 (2022). 현대 청소년심리 및 상담. 수원: 싸이앤북스.

10.

김혜일 (2020). 중년 여성의 메이크업 행동이 자아존중감, 우울,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송희 (2017). REBT 집단상담을 적용한 원예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혜민, 채규만 (2012).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치료, 12(3), 259-274.

13.

소선숙, 김청송 (2016).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의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3(7), 375-400.

14.

유미녀 (2018).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 및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유승연, 김정호, 김미리혜 (2014). 마음챙김 명상이 화병증상과 우울, 불안,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83-98.

16.

윤선희 (2016). 중년기 여성의 내현적 자기애와 노화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기정 (2020). 마음챙김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에대한 연구: 심리적 유연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동선 (2014). 집중명상 프로그램이 청소년 심성계발에미치는 효과 탐색.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성주 (2018).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이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쳐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정민 (2020).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정화 (2020). 중년여성이 지각하는 애착이 부부관계에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혜란 (2019). 마음챙김 명상이 중학생의 불안 감소에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6(2),

23.

장현갑 (2005).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MBSR-K)프로그램이 대학생과 외래환자의삶의 질과 심리적, 신체적 증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2005-041-H00035). 한국연구재단.

24.

장혜진 (2015).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심리적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과 우울감의 매개효과.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전경숙 (2021). 마음챙김기반요가ㆍ명상ㆍ혼합프로그램이 상담자의 자기수용ㆍ성찰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서울불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전병재 (1974).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1), 107-130.

27.

정환구 (2002). 명상을 활용한 자아존중감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조윤숙 (2019). 마음챙김 요가와 자기자비 훈련이 신체자각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불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조혜경 (2019). 중년여성의 심리상담교육 참여동기가 심리적 안녕감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동방문화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주현이 (2019). 긍정정서와 자아존중감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석사학위논문.

31.

천성문, 함경애, 박명숙, 김미옥 (2017). 집단상담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2.

최미심 (2020). 감정 표현적 글쓰기가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월순 (2018). 중년 기혼여성의 자기효능감, 가족스트레스,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Erikson, E. H. (1956). The problem of ego identity.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35.

Germer, R. D. Siegel., & Fulton, P. R. (2005). 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New York:Guilford Press.

36.

Gould, R. (1972). The Phases of Adult Lif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29(5), 521-531.

37.

Joe, D. (2019). 당신도 초자연적이 될 수 있다. 추미란옮김. 서울: 샨티.

38.

Jung, C. G. (1954). The development personality. New York: Pantheon.

39.

Kabat-Zinn (1990, 2013). Full catastrophe living. New York: Bantam Doubleday Dell. 김교헌, 김정호, 장현갑 공역. 마음챙김 명상과 자기치유 상, 하. 서울:학지사.

40.

Neugarten, B. L. (1979). Age-sex role and personality in middle age.: A thematic apperception study. In B. L. Neugarten (Ed), Middle age and aging (pp.58-71). Chicago : The Uniersity of Chicago Press.

41.

Pepping, C. A., Walters, B., Davis, P. J., & O’Donovan, A. (2016). Why Do People Practice Mindfulness? An Investigation into Reasons for Practicing Mindfulness Meditation. Mindfulness, 7(2), 542-547.

42.

Rog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Y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44.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45.

Ryff, C. D., & Singer B. H. (2008). Know thyself and become what you are: A eudaimonic approach to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9(1), 13-39.

46.

Tafarodi, R. W., & Swann Jr, W. B. (1995). Self Linking and Self-Competence as Dimensions of GlobalSelf-Esteem: Initial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5(2), 322-342.

47.

Tolle (2001). 지금 이순간을 살아라. 노혜숙, 유영일 옮김. 경기도: 양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