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6, pp.893-909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5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men and women aged 65 and over. The survey measured ag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elf-acceptance in 354 peo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increases as aging deepens, and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depression increases. Second,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depression. As self-acceptance in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aging on depression decreases. Third, the impact of aging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differed depending on self-acceptance,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Consequently, aging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and the lesser the self-acceptance, the greater the negative impact of aging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ging reduces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depression,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elderly with low self-acceptance. Finall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self-acceptanc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keywords
노화, 삶의 만족도, 우울, 자기수용, aging,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acceptance.

Reference

1.

강유진 (2020). 노년기 역할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및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5(1), 247-258.

2.

강현욱 (2016).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요인: 2012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2), 995-1009.

3.

고아영 (2018). 사회적 관계망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구철회 (2015). 서울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현대사회와 행정, 25(2), 281-300.

5.

권영순, 변상해 (2019). 노인의 성태도와 성생활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0(5), 1389-1402.

6.

권중돈 (2010).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7.

기채영 (2008). 대학생의 자기위로, 자기격려, 자기수용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11(4), 65-76.

8.

김경호 (2018).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3(2), 49-7 .

9.

김동해 (2019).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미령 (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11.

김미령 (2017). 노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연구: 성인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7, 159-182.

12.

김사라형선 (2012).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우울, 불안의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아동학회지, 33(3), 1 9-130.

13.

김유자, 정환수, 이미숙 (2012). 노인의 가정 내 역할과가정 밖 역할 수행이 타인수용과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지연구, 4(2), 13-21.

14.

김하형, 김수영 (2020). 비일관적 매개효과 모형의 해석 방향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9(1), 91-115.

15.

김홍남, 차은진, 김경호 (2017).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인문사회 21, 8(2), 457-480.

16.

김홍철 (2019).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231-247.

17.

노종숙 (2019). 노인의 신체적․인지적 기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문유정 (2020).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N지역주민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8(2), 89-1 7.

19.

문지현, 김다혜 (2018).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 44-54.

20.

박선애, 허준수 (2017).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7(1), 125-149.

21.

박성복 (2011). 노인의 주거 관련 요인과 삶의 만족도. 한국행정논집, 23(3), 731-760.

22.

배문조 (2012). 성인들의 노화사실인지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노인복지연구, 58, 111-131.

23.

보건복지부 (2018).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2021. 3. 31. http://www.mohw.go.kr에서 자료 얻음.

24.

성현란, 성은현, 장유경, 정명숙, 박혜원, 이현진, 정윤경, 김혜리, 송현주, 유경, 유연옥 (2019).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5.

심우정 (2016). 인지노화수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노인복지연구, 71(1), 137-165.

26.

심우정, 허남일 (2015). 중․노년의 소비욕구 측정을위한 인지노화수준 척도 개발: 전문경영인에게중․노년 시장에 대한 시각을 제공하며. 전문경영인연구, 18(1), 99-121.

27.

윤지희 (2014).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자원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분애 (2010).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사회적 지지가우울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 (2013).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7), 290-300.

30.

이은아 (2016). 노인의 차별경험, 상실감,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은희 (2013). 신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32.

이현지 (2015).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19(2), 55-73.

33.

이혜경, 이병록 (2011).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가족및 사회적 지지와 일상생활기능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8, 201-225.

34.

임영진 (2012).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77-896.

35.

임은의, 구본진, 임세현 (2014). 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5(2), 567-590.

36.

임전옥, 장성숙 (2012). 자기수용 연구의 동향과 제언. 인간이해, 33(1), 159-184.

37.

전미애, 김정현 (2013). 노인 우울 관련 변인과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8, 75-97.

38.

정선호, 서동기 (2016).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257-282.

39.

정영미 (2007).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7(1), 71-86.

40.

정은영, 신희천 (2014). 수치심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영향: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5(1), 183-194.

41.

조계화, 김영경 (2008). 한국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및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2), 176-187.

42.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강민희 (1999).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8(1), 48-63.

43.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44.

조성자 (2012). 노년기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추미례, 이영순 (2014).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27-43.

46.

통계청 (2020a). 2019년 생명표. 2021. 2. 8. http://kostat.go.kr에서 자료 얻음.

47.

통계청 (2020b). 2020년 고령자 통계. 2020. 12. 22. http://kostat.go.kr에서 자료 얻음.

48.

황윤정, 전혜성 (2020). 노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과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28(2), 161-181.

49.

Blazer, D. G. (2003). Depression in late life: Review and commentar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8(3), M249-M265.

50.

Bourassa, K. J., Memel, M., Woolverton, C., & Sbarra, D. A. (2017). Social participation predict cognitive functioning in aging adults over time:Comparisons with physical health,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Aging & Mental Health, 21(2), 133-146.

51.

Carstensen, L. L., & Mikels, J. A. (2005). At the intersection of emotion and cognition: Aging and the positivity effec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3), 117-121.

52.

Chamberlain, J. M., & Haaga, D. A. (2001).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Rational-Emotive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19(3), 163-176.

53.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54.

Evans, I. E. M., Martyr, A., Collins, R., Brayne, C., & Clare, L. (2019). Social isola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later lif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70(s1), S119–S144.

55.

Gaymu, J., & Springer, S. (2010).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Europeans living alone: A gender and cross-country analysis. Ageing & Society, 30(7), 1153-1175.

56.

Gow, A. J., Pattie, A., Whiteman, M. C., Whalley, L. J., & Deary, I. J. (2007).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time cognitive change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28(3), 103-115.

57.

Hayes, A. F. (2015). An index and test of linear moderated mediation.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50(1), 1-22.

58.

Ingersoll-Dayton, B., & Krause, N. (2005). Self forgiveness: A component of mental health in later life. Research on Aging, 27(3), 267-289.

59.

Kato, T. (2014). Insomnia symptom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ideation in Japanese white-collar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3), 506-510.

60.

Li, S., Zhang, X., Luo, C., Chen, M., Xie, X., Gong, F., ... & Sun, Y. (2021). The mediating role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elderly in nursing home: A cross-sectional study. Medicine, 100(40), e27364.

61.

MacKinnon, D. P., Fairchild, A. J., & Fritz, M. S. (2007). Mediation analysi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8, 593-614.

62.

MacKinnon, D. P., Krull, J. L., & Lockwood, C. M. (2000). Equivalence of the mediation, confounding and suppression effect. Prevention Science, 1(4), 173-181.

63.

Mather, M., & Carstensen, L. L. (2005). Aging and motivated cognition: The positivity effect in attention and memory.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9(10), 496-502.

64.

Ogawa, T., Uchida, Y., Nishita, Y., Tange, C., Sugiura, S., Ueda, H., Nakada, T., Suzuki, H., Otsuka, R., Ando, F., & Shimokata, H. (2019). Hearing-impaired elderly people have smaller social networks: A population-based aging stud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83, 75-80.

6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66.

Sheikh, J. I.,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The Journal of Aging and Mental Health, 5(1-2), 165–173.

67.

Stone, A. A., Schwartz, J. E., Broderick, J. E., &Deaton, A. (2010). A snapshot of the age distribu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United Stat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7(22), 9985-9990.

68.

Taghiabadi, M., Kavosi, A., Mirhafez, S. R., Keshvari, M., & Mehrabi, T. (2017). The association between death anxiety with spiritual experiences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eople. Electronic Physician, 9(3), 3980-3985.

69.

Wiliyanarti, P. F., Rofiatin, I., Nasrullah, D., &Yulianto, Y. (2018). The comparative study: Self acceptance, environmental development and depression on elderly. Health Notions, 2(2), 212-220.

70.

Zheng, W., Huang, Y., & Fu, Y. (2020).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esilie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A cross‐sectional study in China.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8(4), 1323-1332.

71.

Zhao, X., Lynch Jr, J. G., & Chen, Q. (2010). Reconsidering Baron and Kenny: Myths and truths about mediation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2), 197-206.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