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 프로그램이 웰빙,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MPT Program on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6, pp.931-961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7
김봉구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 프로그램이 우울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우울과 스트레스의 감소와 웰빙의 증진에 미치는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MMPT 프로그램의 효과는 MMPT 프로그램 집단, 감사(gratitude) 개입을 중심으로 한 긍정심리 프로그램 집단,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집단 등 세 집단 간 처치 결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각 집단의 구성은 사전에 프로그램 참가를 신청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판 역학적 우울검사 척도(CES-D)를 활용하여 우울 수준이 높은 사람들을 선정한 후 MMPT 프로그램 집단 13명, 긍정심리 프로그램 집단 12명,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집단 13명을 무선방식으로 배정하였다. 효과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MMPT 프로그램 집단은 긍정심리 프로그램 집단과 마음챙김 프로그램 집단에 비해 처치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마음챙김 프로그램 집단은 긍정심리 프로그램 집단에 비해 전반적인 효과 수준이 높았다. 집단별 개별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 비교에서는 긍정 정서를 제외한 모든 종속변인에서 MMPT 프로그램 집단이 더 큰 효과가 있었다. 프로그램 종료 이후 처치효과의 지속성은 세 집단 모두 유사한 특징을 보였으나, 지속의 정도는 MMPT 프로그램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MPT 프로그램이 심리적 건강 증진에 기여한 점을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고려 사항을 제언하였다.

keywords
Meditation-Mindfulness-Positive Psychology Training(MMPT) Program, well- being, gratitude, mindfulness, positive psychology, 긍정심리, 마음챙김, 감사, 주관적 웰빙, 심리적 웰빙, 우울, 스트레스, MMPT 프로그램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MMPT program on improving depression and stress in those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well-being. The effects of the MMPT program were measured by comparison and analysis of treatment outcomes of the MMPT program group,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group that focused on gratitude intervention, and the mindfulness program grou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volunteers who signed up to the programs and scored high on the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Korean version of CES-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MMPT program group(13 participants),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group(12 participants), and the mindfulness program group(13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outcom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MMPT program group showed higher treatment effects than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group and the mindfulness program group, and the mindfulness program group showed overall higher effect than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group. Comparing the effects of each group on the dependent variables, highly significant effects on each dependent variable were observed, except for the positive affect of the MMPT program group. Although the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the long-term treatment effects after the end of this study in all three groups, the effects lasted longer in MMPT program group than the other two groups. Finally, the contribution of MMPT program to the enhanc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was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keywords
Meditation-Mindfulness-Positive Psychology Training(MMPT) Program, well- being, gratitude, mindfulness, positive psychology, 긍정심리, 마음챙김, 감사, 주관적 웰빙, 심리적 웰빙, 우울, 스트레스, MMPT 프로그램

참고문헌

1.

강진호, 유형근, 손현동 (2009). 마음챙김 명상을 활용한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중등교육연구, 57(1), 213-243.

2.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반응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회지, 39(4), 707-719.

3.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2006). 한국판 감사성향 척도(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1(1), 177-190.

4.

김기환 (2015). 수용이 사회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수용기반 노출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40.

6.

김민지 (2018). 인성교육을 위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 개발방향 연구. 한국초등교육도덕학회, 61, 265-289.

7.

김수올 (2018).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 영향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20(2), 1077-1088.

8.

김잔디 (2018). 마음챙김양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잔디, 김정호 (2011).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에 대한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16, 143-174.

10.

김정규 (2003). 비파사나 명상과 인지행동 치료를 통합한 불안장애의 게슈탈트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2(3), 475-503.

11.

김정임 (2014). 마음챙김-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콜센터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웰빙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정호 (1985). 합치도 원리: 약호화 특수성 원리에 대한 대안. 행동과학연구, 7, 65-76.

13.

김정호, 김선주 (1998). 스트레스 이해와 관리. 서울: 도서출판 아름다운 세상.

14.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23-58.

15.

김정호 (2004a).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건강, 9(2), 511-538.

16.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 건강, 11(2), 453-484.

17.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동기상태 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18.

김정호 (2010). 마음챙김과 긍정심리학중재법의 통합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369-387.

19.

김정호 (2011). 마음챙김 명상 멘토링. 서울: 불광출판사.

20.

김정호 (2014). 스무살의 명상책. 서울: 불광출판사.

21.

김정호 (2015). 생각바꾸기-동기인지행동치료를 통한 스트레스-웰빙 관리. 서울: 불광출판사.

22.

김정호 (2018a). 일상의 마음챙김+긍정심리. 서울: 솔과학.

23.

김정호 (2018b). 명상과 마음챙김의 이해. 한국명상학회지, 8(1), 1-22.

24.

김정호 (2020). 마음챙김 긍정심리 훈련(MPPT) 워크북행복과 성장을 위한 8주 마음공부. 서울: 불광출판사.

25.

김정호 (2021). 마음을 공부해야 행복하다: MPPT 마음공부. 서울: 시그마프레스.

26.

김정호 (2022). 일상의 마음공부: 쉽게 풀어 쓴 MPPT. 서울: 부크크.

27.

노지혜, 이민규 (2011).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1), 159-183.

28.

문은주 (2014).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 학교, 11(3), 541-562.

29.

박선민, 김아영 (2014). 감사일지쓰기가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6(2), 347-369.

30.

박성현 (2007). 위빠사나 명상, 마음챙김, 그리고 마음챙김을 근거로 한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 7(2), 83-105.

31.

신현숙, 김미정 (2009). 감사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주관적 안녕감과 지각된 사 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 205-224.

32.

왕인순, 조옥경 (2011). 자애명상이 자기자비, 마음챙김, 자아존중감, 정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4), 675-690.

33.

원두리, 김교헌 (2006).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의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871-886.

34.

유성진 (2010). 불안증상의 발현에서 위험회피 기질과체험회피 시도의 역할: 불안감내력장애의 개념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윤병수, 김완석, 김정모, 김종우, 정선용, 조옥경, 박성현, 이봉건, 정애자, 심인습. (2018). 치유와 성장을 위한 명상. 경산: 정문출판사.

36.

이성근, 김경승, 정도운 (2012).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알코올 의존 회복 프로그램: 실험적 연구. 한국중독정신의학회, 16(2), 79-84.

37.

이승연, 한미리 (2016). 노인의 감사성향 및 감사표현과정신적 웰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3), 53-73.

38.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39.

이일현 (2014). Easy 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 출판사.

40.

이지은, 김정호, 김미리혜 (2016). 감사일지 작성이 우울성향이 있는 여대생의 우울, 주관적 웰빙, 낙관성 및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1), 19-46.

41.

이혜진, 박형인 (2015). 마음챙김 기반 치료의 효과: 메타분석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991-1038.

42.

이향숙 (2008). 감사와 자기애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장현갑 (2000). 명상을 통한 자기치유. 인문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9, 255-283.

44.

전겸규,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45.

정준용 (2018). 마음챙김 기반 유도된 기억의 자기노출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최승미, 강태영, 우종민 (2006).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근로자 대상. 대한신경의학회지, 45(6), 541-553.

47.

Analyo Bhikkhu. (2009). Satipatthana. (Satipatthana-깨달음에 이르는 알아차림 명상 수행. 이원필, 강향숙, 류현정 공역.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2014)

48.

Baer, A. R. (2003).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2), 125-143.

49.

Baer, R. A., Smith, G. T., Hopkins, J., Krietemeyer, J., & Toney, L. (2006).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Assessment, 13(1), 27-45.

50.

Bartlett, M. Y., & DeSteno, D. (2006). Gratitude and prosocial behavior helping when it costs you. Psychological Science, 17(4), 319-325.

51.

Bartlett, M. Y., Condon, P., Cruz, J., Baumann, J., & DeSteno, D. (2012). Gratitude: Prompting behaviors that build relationships. Cognition and Emotion, 26(1), 2-13.

52.

Beck, A. T., Rush, A. J., Shaw, B. F., & Emery, G. (1979).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NY: The Guilford Press.

53.

Bishop, S. R., Lau, M., Shapiro, S. L., Carlson, L., Anderson, N. D., Carmody, J., Segal, Z, V,. Abbey, S,. Speca, M,. Velting, D,. & Devins, G. (2004).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1(3), 230-241.

5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J: Erlbaum.

5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56.

Diener, E. (1993).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2), 103-157.

57.

Diener, E. (2000). Subject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58.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59.

Diener, E., Sapyta, J. J, Suh, E. (1998). Subjective well-being is essential to well-being. Psychological inquiry, 9(1), 33-37.

60.

Emmons, R. A., & McCullough, M. E.(2003).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377-389.

61.

Fredrickson, B. L., & Joiner, T. (2002). Positive emotions trigger upward spirals toward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13(2), 172-175.

62.

Froh, J. J., Kashdan, T. B., Ozimkowski, K. M., &Miller, N. (2009). Who benefits the most from a gratitude interven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xamining positive affect as a moderator.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4(5), 408-422.

63.

Hayes, S. C., Strosahl, D. K., & Wilson, G. K.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ory. New. York:The Guilford Press.

64.

Kabat-Zinn, J. (1982). An outpatient program in behavioral medicine for chronic pain patients based 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meditation: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liminary resul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4(1), 33-47.

65.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ta. (마음챙김 명상과 자기치유 (상, 하), 장형갑, 김교헌 공역, 1998, 서울: 학지사).

66.

Kerr, S. L., O’Donovan, A., & Pepping, C. A. (2015). Can gratitude and kindness interventions enhance well-being in a clinical sampl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6(1), 17-36.

67.

Kittler, J. E., Menard, W., & Phillips, K. A. (2007). Weightconcerns in individuals with body dysmorphic disorder. Eating Behaviors, 8(1), 115-120.

68.

Lambert, N. M., & Fincham, F. D. (2011). Expressing gratitude to a partner leads to more relationship maintenance behavior. Emotion, 11(1), 52-60.

69.

Lazarus. R. S. & Lazarus, B. N. (1994). Passion and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0.

Linehan, M. (1993a).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Guilford Press.

71.

Linehan, M. (1993b). Skills training manual for treat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Press.

72.

Lyubomirsky, S., Dickerhoof, R., Boehm, J. K., &Sheldon, K. M. (2011). Becoming happier takes both a will and a proper way: An experimental longitudinal intervention to boost well-being. Emotion, 11(2), 391-402.

73.

McCullough, M. E., Emmons, R. A., & Tsang, J. A. (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12-127.

74.

Pang, D., & Ruch, W. (2019). Fusing character strengths and mindfulness interventions: benefits for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merican Psychologist, 24(1), 150-162.

75.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76.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77.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2.

78.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79.

Seligman, M, E, P. (1998, April). Positive social science. APA Monitor, 29(4), 2-5.

80.

Shao, D., Gao, W., & Cao, F. (2016). Brief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alth Psychology, 35(12), 1383–1391.

81.

Shapiro, S. L., Schawartz, G. E. R., & Santerre, C. (2002). Meditation and positive psychology.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82.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 (2002).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New York, London: Guilford Press.

83.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개정판>. 김인자, 우문식 공역. 안양: 도서출판 물푸레).

84.

Stahl, B. & Goldstein, E. (2010). A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workbook. (MBSR 워크북. 안희영, 이재석 공역. 서울: 학지사)

85.

Teasdale, J. D., Williams, J. M., Soulsby, J. M., Segal, Z. V., Ridgeway, V. A., & Lau, M. A. (2000). Prevention of 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4), 615-623.

86.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87.

Weiner, B. (1985).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92(4), 548-573.

88.

Williams, L. A., & Bartlett, M. Y. (2015). Warm thanks: Gratitude expression facilitates social affiliation in new relationships via perceived warmth. Emotion, 15(1), 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