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적 맥락이 사회불안의 웃음과 비웃음 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Context on Perceptions of Smile and Sneer in Social Anxiet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3, v.28 no.1, pp.185-203
https://doi.org/10.17315/kjhp.2023.28.1.010
봉재환 (가톨릭대학교)
양재원 (가톨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웃음과 비웃음을 지각하는 데 사회적 맥락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94명은 사회불안과 우울 증상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실시하였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자극으로 웃음과 비웃음을 2:8부터 8:2까지 7수준으로 몰핑(morphing)한 얼굴 표정을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맥락 조건은 맥락이 나타나지 않는 조건과 등돌리기 조건 그리고 마주보기 조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맥락이 나타나지 않는 조건에서는 얼굴 표정 하나만 짧게 제시되었고, 맥락이 나타나는 조건에서는 맥락이 먼저 제시되고 뒤이어 얼굴 자극이 짧은 시간 동안 맥락과 함께 제시되었다. 이후 참여자들은 제시된 얼굴 표정이 웃음인지 비웃음인지 평정하였고, 맥락이 나타나는 조건에서는 맥락에 주의를 두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맥락에 나타난 사람들의 성별이 같은지 다른지 응답하도록 하는 절차가 추기되었다. 참여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누적정규분포 함수에 곡선맞춤하여 주관적 동등점(point of subjective equality)을 산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맥락이 없는 조건 및 등돌리기 조건에서의 주관적 동등점은 사회불안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마주보기 조건에서의 주관적 동등점과 사회불안 간에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높은 사회불안을 지닌 사람들에게 웃음을 비웃음으로 판단하는 편향이 나타나고, 이러한 경향성은 두 사람이 서로 마주 보는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서는 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social anxiety, smile, sneer, social context, cognitive bias, 사회불안, 웃음, 비웃음, 사회적 맥락, 인지 편향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ocial context could affectthe perception of smile and sneer in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social anxiety. Social anxiety and depressino symptom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Subject then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using a computer. Smiling and sneering faces were morphed to 7 levels from 2:8 to 8:2 and they were used as facial stimulus in the experiment. The context in which two people were palced back-to-back or face-to-face was used as social context stimulus. Under conditions where no context appeared, only one facial stimulus was presented briefly. Under conditions in which context was presented the social context stimulus was presented first followed by facial expression stimulus simultaneous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bsequently, participants evaluated whether the presented facial stimulus was smile or sneer. Only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context appeared, they evaluated whether the gender of the people in the context stimulus was the same or different to confirm that they were paying attention to the context. The point of subjective equality (PSE) was estimated by curve-fitting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s into a cumulativ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PSEs in context conditions where the context did not appear and the two were placed back-to-back. However, PSEs in context condition where the two were placed face-to-face were not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social anxiety, the more likely it is to judge sneer. However, in a positive social situation where the two are facing each other, the bias in social anxiety might disappear.

keywords
social anxiety, smile, sneer, social context, cognitive bias, 사회불안, 웃음, 비웃음, 사회적 맥락, 인지 편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