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면의 일주기리듬과 교통사고 위험도

The Effects of the Circadian Rhythm of Sleepiness on Highway Vehicle Acci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1, v.6 no.2, pp.63-73
김정기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통량을 감안한 교통사고량의 상대적 위험도가 시간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고, 이 같은 교통사고의 시간대별 위험도의 차이가 수면(졸리움)의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 패턴과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졸리움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난 2년간(1999-2000년) 국내 전국 고속도로에서의 교통사고 건수와 교통량에 관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하루 24시간 중 시간대에 따른 교통사고의 상대적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 위험도는 교통사고 발생건수, 부상자 및 사망자 모두에서 0-6, 22-24시가 나머지 시간대들보다 높게 나타났을 뿐 아니라, 그 중에서도 2-4시가 가장 높았다. 특히 사망자(2-4시)의 경우에는 상대적 위험도가 가장 낮은 12시-14시의 1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졸음운전사고만이 아닌 전체 교통사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이 같은 결과는 외국에서 실시된 '졸음운전에 의한 교통사고자료의 분석'에서 나타난 시간대별 상대적 사고비율의 리듬패턴(Carbarino et al., 2001)과 거의 일치할 뿐 아니라, 그 동안 밝혀진 인간의 수면/각성 리듬과도 유사한 패턴을 보임으로써, 국내 고속도로 교통사고에서 수면(졸리움)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생리적 리듬으로 알려진 수면의 일주기리듬이 인간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적응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keywords
수면, 졸리움, 日週期리듬, 교통사고

Abstract

Using the database of vehicle accidents and traffic density on the Korean highway network during the last two years(1999-2000), the present study evalu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hourly distribution of the relative risk (relative hourly probability of accidents corrected for traffic density) on the highway vehicle accidents and the circadian rhythm of sleepiness. It is found that the relative risk (for all the 3 categories: # of cases, # of the wounded, # of deaths) in the hours of 00-06h and 22-24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est of the hours, and that the relative risk is the highest during the 02-04h, then 04-06h / 00-02h, and then 22-24h. It is noticeable that in the category of # deaths, the relative risk of 02-04h(the peak) is more than 14 times higher than that of 12-14h(the trough). While based on based on the total accidents of all causes, the hourly distribution of the relative risk in the present study closely corresponds not only with the circadian rhythm of sleepiness/alertness but also with the other findings on the sleep-ascribed vehicle accidents (Garbarino et al., 2001: Home & Reyne, 2001). It is interpreted that sleepiness could be an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in Korean highway vehicle accidents.

keywords
sleep, sleepiness, circadian rhythm, traffic(vehicle) accident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11-03
수정일Revised Date
2001-11-2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12-0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