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민경환(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김지현(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윤석빈(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장승민(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1-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는 방략들이 몇 가지 양식으로 구분되며, 정서의 종류에 따라 조절 양식의 사용과 효과성이 차이를 갖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다양한 정서조절 방략들이 능동적 조절 양식, 회피/분산적 조절양식, 지지 추구적 조절 양식의 세 가지 양식으로 구분될 것이라는 연구자들의 제안이 지지되었다. 이 세 양식은 자존감, 부정적 정서조절에 대한 기대, 내 -외향성, 신경증, 낙관성, 정서적 지지, 정서 표현성 등의 성격 특성들과 상이한 관련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분노, 슬픔, 불안, 부끄러움의 네 가지 정서를 대상으로,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세 가지 조절 양식을 사용하는 정도와 세 조절 양식이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정도가 각 정서마다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각 정서마다 사용되는 조절 양식이 상이하다는 결과들을 얻었으며, 자주 사용되는 조절양식과 효과적인 조절 양식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use and effectiveness of variou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tudy 1 supported our suggestion that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ould be divided into three styles: active regulation style,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and support-seeking regulation style. These three styles were differently related to several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negative emotion regulation, introversion-extraversion, neuroticism, optimism, emotional support, and emotional expressivity. In study 2, we examined whether the use and effectiveness of each emotion regulation style depended on the kind of emotion experienc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the three emotion regulation styles had different patterns for anger, sadness, anxiety, and shame. In addition, we found that frequently used regulation styles were not necessarily effective ones.

윤소연(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훈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7-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평정자가 피평정자에 대해 지닌 감정이 수행평가 뿐 아니라 수행정보를 처리하는 과정 - 피평정자의 수행행동의 의미에 대한 해석 수행행동에 대한 회상과 재인 - 을 편파시키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편파가 감정일치 정보와 감정-불일치 정보에 대한 차별적인 처리에 기인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차별적인 처리가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에서 어떻게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동일한 수로 동일한 수준의 우수한 수행행동과 저조한 수행행동을 제시해주었더라도 평정자가 피평정자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지닌 경우에 비해 긍정적인 감정을 지닌 경우,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평가하고, 동일한 행동을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석하며, 우수한 행동은 보다 많이, 저조한 행동은 보다 적게 회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인감정의 편파가 감정-일치 정보와 감정-불일치 정보에 대한 차별적인 처리로 인해 나타나는 것인가에 대한 분석결과, 평정자가 피평정자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지닌 경우에는 감정-일치 정보에 대한 선별적인 처리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감정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해석하고 평가하며 감정 -일치 정보를 더 많이 기억하는 반면 감정-불일치 정보는 무시하거나 감정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해석하고 기억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평정자가 피평정자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지닌 경우에는 감정-일치 정보에 대한 선별적인 처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전체적인 회상에서 저조한 행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결과를 제외하고는 수행평가 및 수행행동에 대한 해석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편파되지 않았으며 제시되지 않았던 수행행동에 대한 재인에서는 가설과 반대로 감정-불일치 정보인 우수한 수행행동보다는 감정-일치 정보인 저조한 수행행동에 대해 '보지 않았다'고 답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평정자가 피평정자에 대해 지닌 감정이 수행평가만 편파시키는 것이 아니라 피평정자의 수행행동에 대한 해석과 기억을 체계적으로 편파시키며 이러한 편파는 긍정적인 감정을 지닌 피평정자의 수행행동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일치 정보의 선별적인 처리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rater's interpersonal affect towards the ratee on rater's information processing of ratee performance and his/her performance appraisal.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rater's affect of the ratee will bias his/her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ratee's performance behavior, his/her retrieval and recognition, and performance appraisal, and whether such bias is caused by selective processing of the affect-consistent information. In addition, it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in the pattern of selective process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ater makes more positive appraisal, and more positive interpretation of the ratee, provided with the same number and same level of performance informations, in case of having positive affect towards the ratee than in case of having negative affect, and, the rater retrieves more the ratee's good performance than his/her poor performance. In differentiated processing of affect-consistent information and affect-inconsistent information, when the rater has positive affect towards the ratee, selective processing of affect-consistent information appeared clearly. However, in case the rater has negative affect towards the ratee, selective processing of affect-consistent information did not occur.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the rater's affect towards the ratee not only makes biased performance appraisal but also makes systematically biased the interpretation and memory of the ratee's performance behavior. These biases are caused by selective processing of affect-consistent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positive affect condition.

이수정(경기대학교 교양학부) pp.43-62
초록보기
초록

현 문헌연구에서는 우선 감성공학의 연구분야를 소개하고 이 분야에서 최근 개발되고 있는 감성 측정기법들이 정서심리학의 연구전통에서는 어디에 속할지를 살펴보았다. 새로운 측정기법을 정서심리학 이론들과 연관시키기 전에 정서경험에 대한 이론가들의 정의를 일단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심리학자들은 정서경험에는 여러 가지 측면이 있을 수 있는 바, 우선 외부의 정서자극들에 대한 생리적인 반응 경향성, 고등 정신과정을 동반한 인지적인 평가과정, 그리고 특정한 표현의 양식이 동반된다고 하였다. 즉 정서경험은 단일과정이 아닌 다단계적 처리과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정서경험의 다면적 특성은 지각자들의 정서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측정도구들의 개발을 촉진하였다. 오래전부터 말초신경계에서 일어나는 신경학적인 반응들로 정서를 측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왔으며 뇌의 활동, 피부전도반사, 맥박, 혈압 심장박동, 내분비계 활동들이 관찰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측정치 들은 수치의 불안정성, 즉 일관성의 문제를 아직도 미해결 과제로 안고 있다. 또한 지각자들의 주관적인 정서경험과 이들 지표들이 과연 일치될지 하는 문제도 여전히 확인되어야 할 부분이라 지적받고 있다. 이에 비해 전통적인 심리검사들은 개인의 주관적인 정서경험을 측정하여 주는 좀더 신뢰로운 도구로 인정받아 왔다. 현 연구에서는 몇 가지 지필검사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통계적인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들 지필검사들이 사회적 바람직성 등 반응자들의 의도적인 왜곡경향을 비교적 피하기 힘든 데에 비하여, 지각자들의 정서반응의 은밀한 부분까지를 훨씬 신뢰롭게 반영하여 주는 행동측정치들을 살펴보았다. 얼굴근육의 움직임으로 대표되는 얼굴표정이나 목소리의 변화에서 나타나는 감정적인 특징들에 대한 포착은 이들 정서행동 지표들의 대표적인 예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정서반응 측정치들의 바람직한 사용방법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literature review introduced the area of emotionality engineering and analyzed which traditional viewpoints of emotional psychology, measurement methods of emotionality, newly developed, belonged to. In order to relate these new measurement techniques to emotional theories, the definition of human emotion was first reviewed. Psychologists advocated there must be various facets of human emotion. At first, outside emotional stimuli would activate physiological reactivity. Then, this emotional input which is registered would be cognitively appraised at a higher mental activity level. This processed internal information would then be released as a particular form of expression. As explained, the emotional process is not so simple and is not only composed of one layer. This characteristic stimulated various trials to assess emotional states of perceivers. From the old tradition of human research, peripheral neural activity has been measured. Brain activity, galvanic skin resistance, impuls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hormonal activity have been measured. However, the most serious problem of these measures was the stability of measurement indices. Although engineers are developing a new algorithm, it doesn`t seem easy to find out consistency among these indices. Also, another problem is whether the subjective emotional experience of individuals is congruent to what a physiological measurement tool reflects. Traditionally, psychological test batteries have been regarded to present a subjective emotional state more effectively. Several assessment tools and their statist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these batteries also have their own weaknesses. These self-report assessment tools cannot be free from response biases. The worst response bias is the so-called "social desirability". Unobtrusive measures would be a substitute for self-report instruments. Therefore, newly developed unobtrusive measurement tools have been introduced, to assess movement of facial muscles and voice fluctuation. Finally, the desirable way to apply these various emotional measures was discussed.

이종숙(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63-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집단간 차별에서 연구된 다양한 종속변인 즉, 집단 구성원의 특정 특성의 소지 백분율, 특정 특성에 대한 집단의 평균과 변산성, 그리고 언어적 집단간 차별 변인에서, 집단 간 차별이 일어나는지, 또한 이들 집단간 차별은 긍정성과 부정성에서 불균형적으로 일어나는지, 그리고 이들 변인들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집단 구성원의 특정 특성의 소지 백분율에서, 또 특성의 평균, 언어적 진술에서 집단간 차별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간의 변산성 지각에서는 차별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집단간 차별이 일어난 변인들에 대한 사후 평균 검증에서는, 백분율과 같은 직접적 차별 변인에서는 긍정성 - 부정성 불균형성이 일어났으나, 평균과 언어적 차별 같은 간접적 변인에서는 긍정성에서는 집단간 차별을 하지 않고 오히려 부정성에서 더 집단간 차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규범 가설에 의해 설명이 가능하다고 논의되었다. 즉 사회규범적으로 차별이 인정되는 긍정성에서의 차별은 직접적 변인에서도 나타나나 사회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부정성에서의 차별은 간접적인 변인에서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종속 변인들 간의 관계는 직선적, 곡선적 관계 모두 가설에서 예측했던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group discrimination in a minimal group situation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group members possessing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group means on those attributes, group variances on those attributes and linguistic intergroup biases and their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intergroup discriminations in favor of in-group on group proportions of positive attributes, group means of negative attributes and linguistic biases on negative attributes, but they did not show intergroup discrimination on group homogeneity. Subjects estimated that a higher percent of in-group members possessed positive attributes, but a higher percent of out-group members did negative attributes. However, out-group means for negative attributes were estimated higher than in-group means, but not for positive attributes. In addition, subjects stated more abstractly of the in-group members' behaviors than out-group members' on negative attributes, but not on positive attributes.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based on the normative explanation of group discrimination that there is a positive-negative asymmetry in the percent (explicit measure of group discrimination), but not in the means and linguistic intergroup discrimination(implicit measures).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upport either linear or curvilinear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 of group variability and intergroup discrimination.

조긍호(서강대학교) pp.83-122
초록보기
초록

한국인의 동기 이해의 개념틀을 마련해 보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집단주의 -개인주의 문화권에서의 동기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들과 유학 사상에서의 동기이론을 개관하였다.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의존성ㆍ자기억제ㆍ행위의 가변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타인지향동기ㆍ욕구통제동기ㆍ자기개선동기가 강한 반면, 개인주의 문화에서는 자율성 자기주장ㆍ안정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개인지향동기 환경통제동기 자기고양동기가 강하다. 한국의 전통 사상의 핵심인 유학 사상의 동기이론은 도덕적 동기 중시ㆍ이기적 동기 억제ㆍ동기 승화를 통한 도덕적 완성 지향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개관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인의 동기 이해의 개념틀로 관계에의 관심과 타인지향적 동기의 중시ㆍ이차 통제와 동기의 억제 및 조절ㆍ자기개선과 자기확대의 지향의 세 차원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Korean culture has been influenced heavily by the Confucian philosophy past 6 to 7 centuries, so it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collectivism. Thus to underst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otivation of Korean people, it is needed to review the cross-cultural studies on motivation and the Confucian theory of human motivation. From the review of the massive articles concerning cultural influences on motivations, it was found that cultural views of person in general and the self as independent, separate and autonomous being, predominant in the individualistic cultures, or as interdependent and relational being, predominant in the collectivist cultures, foster and encourage cross-culturally divergent needs and incentives. In individualistic cultures, self-directed motive, individually oriented achievement motive, motive to control environment, self-enhancement motive and consistency motive are relatively salient; but in collectivist cultures, other-directed motive, socially oriented achievement motive, motive to control internal desires, self-criticism motive and conformity motive are relatively dominant. On the while, the Confucian philosophers thought of human needs and motives largely as follows : (1) the motive for being a man of virtue is the topmost and central in the motive repertoire, (2) the biological and egoistic motives should be temperated to secure the harmony of social life, and (3) the control of lower motives (biological and egoistic motives) is the way to sublimate the motives, which is the goal of human life. On the basis of these two branches of reviews, a preliminary conceptu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motivations of Korean people was proposed and discussed.

최상진(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한규석(전남대학교 심리학과) pp.123-144
초록보기
초록

문화심리학은 전통심리학과 상극의 관계로 잘못 인식되어져 문화심리학의 연구 가치가 부당한 평가를 받고 있는 탓에, 국내에서 연구자의 참여가 적다는 인식에서 필자들은 두 분야가 상생의 관계에 있음을 보이기 위해서, 우선 문화 심리학의 특성을 비교문화심리학과 토착심리학과의 관계 속에서 논하였고, 문화심리학의 인식론적 특성을 전통심리학과 비교적으로 논하였으며, 이 분야의 연구갈래를 생성론적 관심, 구성론적 관심, 문화와 인지에의 관심으로 구분하여 각기의 특색을 정리하였다. 문화심리학이 지향하는 연구대상은 실험심리학의 탐구대상과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위해서는 문화구성론적 인식론에 실험심리학의 방법들을 접목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개념의 전위(transformation) 과정을 논하고 구체적으로 문화심리학적 실험법, 사회표상론을 이용한 분석, 일상언어에서 나타나는 담화(discourse)와 언술(narrative)의 분석, 사회적 활동의 분석을 문화심리학의 연구방법으로 논하였다. 문화간 비교를 위하여 비교문화적(cross-cultural) 방법보다는 질적 접근을 취하는 문화심리학적 비교연구법(comparative culture studies)을 취할 것을 주장하였다.

Abstract

Cultural psychological studies are not to replace the experimental psychology, but to compensate for what has been poorly dealt with in psychology. Because of misconception about the role of cultural psychology(CP), many psychologists are shy away from it. In order to rectify this anomaly, we tried to clarify the role and the research epistemology of CP in relation to other psychological studies. Along with the discussion, we identified three distinctive traditions of research in CP; the Vygotskian socio-cultural approach, the discursive approach, and the culture & cognition approach. We discussed four research methods applicable in CP: experimental approach, social representational approach, discursive approach, and socio-cultural approach. Although experimental approach is legitimate in CP, some transformationary work is necessary. We emphasized that stimuli and response should be contextualized and culturally meaningful and that indigeneous conceptualizations should take place.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cultures, we proposed the comparative cultural psychology to replace the cross-cultural psychology to minimize ethnocentrism.

한덕웅(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pp.145-166
초록보기
초록

조선시대 성리학의 4단7정론 가운데 4단과 7정 정서의 차이를 설명하는 이론들에서 도출한 가설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4단7정 정서를 각각 유발하는 선행조건→4단7정 경험→후행 사회적 및 개인적 결과를 연결지어서 일련의 과정으로 다루는 심리학적 접근법을 제안했다. 이 과정을 다루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본 연구에서는 4단7정 경험의 선악 구분과 상호 포함관계에 관한 명제들을 심리학적으로 해석하여 검증이 가능한 가설들을 제안하였다. 또한 4단7정론에 관해서 사전 지식이 없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다섯 연구에서 이 가설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4단7정 용어들의 의미연결 구조를 다룬 다차원분석 결과를 보면 긍정 - 부정과 능동 - 수동의 두 차원을 이루었는데 긍정 - 부정 차원에서 4단과 7정 정서들이 대부분 4단7정론과 일치했으나 7정들 가운데 사랑과 기쁨은 선한 정서에 속해서 불일치되었다. 선악 차원으로 축을 해석한 결과 역시 긍정 - 부정 차원과 유사했다. 의미유사성 자료를 군집분석했을 때도 긍정, 부정 군집 이외에 시비가 중립 군집으로 묶였다. 4단7정 정서들을 개인적 선악의 관점과 사회적 공동선의 관점에서 선악 수준을 각각 평정한 자료에서는 평균으로 보면 4단이 선하면서 필요한 정서로 평가되었으며, 선하며 필요한 정서로 평가된 수준에서 4단이 7정보다 더 선하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4단 가운데 수오는 악한 정서로 평가되고 7정 가운데 사랑과 기쁨은 선한 정서들로 평가되었다. 4단과 7정의 상호 포함관계를 다룬 두 연구에서 측은은 슬픔과 사랑에 관련되며, 수오는 두 요소들로 나누어 볼 때 각각 화남과 두려움과 관련되고, 사양은 사랑과 기쁨과 관련되었으며, 그리고 시비는 화남과 관련되었다. 4단과 7정 범주의 차이를 직접 비교한 이 연구의 결과들은 4단7정론을 심리학적으로 연구하는데 따르는 장래 과제 및 연구설계와 관련지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well known Four-Seven debates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Chosun dynasty contain many psychological theories of emotion. In this article the empirically testable psychological hypothesis were derived from the debates among Toegye, Kobong, Yulgok and Ugae. The derived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5 experimental studies. Theses studies dealt with the semantic associations, differences in the judgement of good-evil dimension in terms of personal and communal good-bad, and mutual inclusiveness among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The main results revealed that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with minor exceptions. It was also found that the four beginnings were rated on the average as good compared with the seven emtions, though there were exceptions of shame and disgust as bad among the four beginnings, and love as good among the seven emotions. The inclusiveness hypothesis, which was proposed by Yulgok, was partly supporte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홍기원(호서대 산업심리학과) pp.167-179
초록보기
초록

특정한 집단 안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와 성과평가 상황이 달라지면 내외집단원들에 대한 지각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는 집단소속감과 정보의 공개여부, 그리고 평가방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고 실험 2에서는 집단 소속감과 성과의존에 따라 차별적인 지각이 나오는 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두 하위집단들은 모두 핵심적인 집단이 한 수행을 더 높게 지각하였으며, 주변집단에 속한 성원들이 한 평가치에서 변량이 더 크게 나왔다. 이러한 경향은 성과평가의 정보가 공개와 평가방법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결과를 가져왔다. 주변집단원들은 절대평가이고 비공개시에 더 높게 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위집단들이 서로 의존하는 상황에서도 핵심집단의 성과가 과다추정되었으며, 주변성원과의 편차가 크게 나왔으나, 성과비의존 상황에서는 그러한 편차가 줄어들었다. 주변집단이 성과의존시 핵심집단의 성과를 높게 나왔는데 이는 반사이익을 얻으려는 시도일 수 있다. 내외집단의 성과가 평가될 때 편파를 줄이려면 어떠한 조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Abstract

Differential performance evaluations among subgroup members were tested in two experiments. Three variables of group membership, evaluation method, and publicity of evaluation were introduced in experiment 1, and group membership and outcome dependency were manipulated to explore any possibility of reducing intergroup bias in experiment 2. Core members' outcome was overestimated and peripheral members' greater deviation was confirmed in both experiments. Also, overestimation of peripheral members was significant in absolute evaluation and private condition in experiment 1. Core members' outcome was significantly biased and greater deviancy noticed among peripheral members in outcome dependence situation. But there was no comparable tendency in outcome independence situation in experiment 2. Overestimation among peripheral members was explained as a getting instrumental basking in the reflected glory by identifying core members. Some conditions, which could reduce intergroup bias when evaluating in/out groups' performance were suggested.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