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내집단과 개인의 수행 환류가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group and Personal Performance Feedback upon Self Evalu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1, v.15 no.1, pp.167-183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장은영(Eun-Young Jang)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내집단 및 개인의 수행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자기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흑은 집단의 수행 수준에 관한 정보 가운데 자주 접한 특출한 정보가 덜 접한 정보보다 자기평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집단의 수행 수준에 관한 정보를 자주 접한 조건에서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는 상호작용 가설을 검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가설로 제시한 삼원 상호작용이 지지되었다. 먼저 내집단 수행 정보가 특출한 조건에서는 집단이 저조한 조건보다 우수한 조건에서 자기평가가 더 높았다. 또한 우수한 집단에서는 개인이 우수한 조건과 개인이 저조한 조건간에 자기평가가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지만, 저조한 집단에서는 개인이 저조한 조건보다 개인이 우수한 조건에서 자기평가가 더 좋았다. 특히 저조한 집단에서 개인이 우수할 때보다 우수한 집단에서 개인이 우수할 때 자기평가가 더 좋았다. 그리고 개인 수행 정보가 특출한 조건에서는 우수한 집단에서 개인이 저조한 조건보다 우수한 집단에서 개인이 우수한 조건에서 자기평가가 더 높았으며, 저조한 집단에서 개인이 저조한 조건보다 저조한 집단에서 개인이 우수한 조건에서 자기평가가 더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한국 문화에서 개인보다 내집단의 수행 수준이 자기평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제시하였다. 부가적으로 각 조건에서 자기정서 경험을 알아보았다.

keywords
사회비교, 개인수행, 내집단수행, 자기평가, 자기정서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salience of performance information, ingroup performance feedback and personal performance feedback on self evaluation. A 2(salience of performanc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is salient, ingroup information is salient)×2(ingroup performance feedback: success, failure)×2(personal performance feedback: superior, inferior) complete factorial design was used in this experiment. 120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8 experimental conditions. In condition that personal information was salient, subjects were given personal performance feedback twice and group performance feedback once. In condition that group information was salient, subjects were given personal performance feedback once and group performance feedback twi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three-way interaction was confirmed. When group performance feedback was salient, subjects in success group evaluated self performance higher than failure group. And superior person in success group did not evaluated self performance higher than inferior person in success group and superior person in failure group evaluated self performance higher than inferior person in failure group. Additionally superior person in success group evaluated self performance higher than superior person in failure group. When personal performance feedback was salient, superior person in success group evaluated self performance higher than inferior person in success group and superior person in failure group evaluated self performance higher than inferior person in failure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group success or failure influences self evaluation than personal success or failure does in Korea. Additionally experience of self-relevant affects was examined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

keywords
social comparison, personal performance, ingroup performance, self evaluation, self­-relevant affect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1-10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02-0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