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치 확률과 관련된 한국어 어휘의 경험적 척도화

Empirical Scaling of Common Verbal Phrases Associated with Numerical Probabilities in Korean Vocabular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7, v.21 no.1, pp.47-58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1.004
이종택 (동양공업전문대학)
홍기원 (호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일상적인 어휘 중에서 수치를 나타내는 어휘가 송수신자들 간에 일치된 의미를 보이면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56개의 확률 관련 한국어 어휘와 표현에 대한 확률 수치를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는 69명의 참가자들에게 국어사전과 심리척도 핸드북에서 추출한 확률 관련 단어들을 무맥락 조건과 최소맥락 조건에서 가나다 순서로 제시하여 그 단어들에 대한 확률치를 추정하여 %로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 1의 결과를 분석했을 때, 두 맥락 조건 모두에서 확률 어휘에 대한 놀라운 수치적 일치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평균이 유사한 일부 단어들은 두 맥락 조건별로 표준편차가 상당히 달랐다. 실제 의사소통시에 확률의 일정한 범위를 고려하는지를 보기 위하여 연구 1을 개념적으로 반복한 연구 2는 확률 어휘에 대한 범위 자료를 수집한 것으로 연구 1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연구 2에서는 두 맥락 조건들 사이에 확률 추정에서 높은 일치를 보였고 다양한 범위에 걸쳐서도 일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확률 관련 어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언어의 소통은 특정한 맥락에 따라서 수치확률이 다를 수 있다는 맥락효과에 따른 차이 가능성 등 추가 연구를 위한 고려 사항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한국어 어휘, 확률 수치, 맥락효과, 확률 어휘, Korean vocabulary, probability estimate, probability-related words and phrases, context effect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ow communication correspondence between speakers and receivers in employing Korean numerical wording.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estimate the numerical probability of Korean words selected from a Korean dictionary and scales in the Psychological Scaling Handbook in two contexts:no context condition and minimum context condition. Results showed corresponding numerical probability estimates of each of 56 probability-related words and phrases in Korean vocabulary. Generally they were reasonably consistent, but several words with similar meanings were different from standard deviations. Study 2 with additional rating data of the ranges of Korean probability-related words, which was conceptual replication of study 1, showed result consistent with study 1. These two studie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upplied data of probability-related words in Korean. The implications of context effects on numerical probabilities in ordinary communication settings could be plausible and other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어 어휘, 확률 수치, 맥락효과, 확률 어휘, Korean vocabulary, probability estimate, probability-related words and phrases, context effects

참고문헌

1.

이수원 (1969). 수량형용사에서의 배경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2), 62-67.

2.

이숭녕 (1990). 국어사전. 서울:금성출판사.

3.

고려대학교부설행동과학연구소 (1999). 심리척도 핸드북. 서울:학지사.

4.

Beyth-Marom, R. (1982). How probable is probable? A numerical translation of verbal probability expres- sions. Journal of Forecasting, 1, 257-269.

5.

Brun, W., & Teigen, K. H.(1988). Verbal probabilities:Ambiguous, context dependent, or both. Organiza- tional Behavior & Human Decision Processes, 41, 390-404.

6.

Budescu, D. V., & Wallsten, T. S.(1985). Consistency in interpretation of probabilistic phrases.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Decision Processes, 36, 391- 405.

7.

Erev, I., Cohen, B.(1990). Verbal versus numerical probabilites:Efficiency, biases, and the preference paradox.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Deci- sion Processes, 45, 1-18.

8.

Lichtenstein, S., Fischoff, B., & Phillips, L. D.(1967). Calibration of probabilities:State of the art to 1980, in Kahneman, D., Slovic, P., & Tversky, A. (eds.), Judgement under Uncertainty:Heuristics and biases,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9.

Lichtenstein, S., & Newman, J. R.(1967). Empirical scaling of common verbal phrases associated with numerical probabilites. Psychonomic Science, 9(10), 563-564.

10.

Wallsten, T. S., Budescu, D. V., Rapaport, A., Zwick, R., & Forsyth, B.(1986). Measuring the vague meanings of probability terms. Journal of Experimental Psy- chology:General, 115, 348-365.

11.

Wallsten, T. S., Budescu, D. V., Zwick, R., & Kemp, S. M. (1993). Preferences and reasons for commu- nicating probabilistic information in verbal or numer- ical terms. Bulletin of the Psychonomic Society, 31 (2), 135-13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