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분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nger Management Program for Offenders on Anger and Self-esteem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7, v.21 no.1, pp.35-46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1.003
이철호 (법무부 진주교도소)
이민규 (경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도소 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2005년 4월 과 11월 2차례에 걸쳐 J교도소 수형자 25명을 대상으로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진행자 2명이 한 조가 되어 프로그램참여집단을 대상으로 1주일에 2번 총12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자아존중감척도, 상태․특성분노척도(STAXI-K)의 사전사후검사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반복측정다변량분석을 사용하여 자아존중감, 상태분노, 특성분노의 변화를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통제집단간 차이 검증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의 태도와 만족도를 매 회기마다 평가질문지를 수행하게 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프로그램 참여집단의 자아존중감수준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높아졌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집단의 상태분노수준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집단의 특성분노수준을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지 않았다. 넷째, 매 회기 설문을 통한 분노조절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의 반응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결과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분노조절, 상태분노, 특성분노, 자아존중감, 교도소 수형자, 교정프로그램, anger-control, state anger, trait anger, self-esteem, offenders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anger management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24 offenders participated in this anger management program and 25 offenders(the control group members) are also included in this study. The change in self-esteem and anger score from pre-treatment to post-treatment was compared for participant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elf-report measures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K, Spielberger, 1988), Self-Esteem Scale(Rosenberg, 1965). To analyse these observed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repeated measures analyses of variance were carried out with time of measurement(pre vs. post) as a within-subjects factor and group(treatment vs. control) as a between-subjects factor. Two leaders leaded participants group during twice a week for 6 weeks(total 12 session). Also, to check the participant's attitudes and satisfaction toward this program,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each s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did show that prisoners receiving the anger management program(the treatment participa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state ang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results of trait-anger showed non significance. Third, the results did show that prisoners receiving the anger management program(the treatment participa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Forth, participant's responses to this program were reported positively.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분노조절, 상태분노, 특성분노, 자아존중감, 교도소 수형자, 교정프로그램, anger-control, state anger, trait anger, self-esteem, offenders

참고문헌

1.

강선경, 박인숙 (2005). 공격성 감소와 사회재적응 향상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교정연구, 제27호, 57-77.

2.

강신덕 (1997). 비행청소년분노조절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국립서울정신병원 (1998). 분노조절프로그램. 미발표.

4.

김영순 (2004). 매맞는 아내를 위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류소영 (1995). 비행청소년을 위한 분노대처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경택 (2001). 분노조절훈련프로그램이 교도소 수용자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은영, 홍상황, 정상문, 김영환 (2002). 수형자의 PAI프로파일과 범법행위 예언지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1(4), 941-955.

8.

박지선, 이민규 (2003). 정신감정이 의뢰된 범죄자들의 MMPI프로파일 양상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2(1), 203-214.

9.

서미화 (2002). 아동을 위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의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수균, 권석만(2005). 분노조절인지행동프로그램을 통한 이중매개인지매개모델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4(3), 495-510.

11.

송미경 (2005). 알코올의존환자를 위한 인지정서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7(2), 367-381.

12.

신식, 이수경, 이수정 (2006). 성폭력 범죄자들에 대한 인지행동 교정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교정연구 제31호, 89-115.

13.

안경선, 이진영, 김미선, 이상미, 이시래, 서정근 (2000). 원예치료를 통한 여성재소자들의 사회성 및 대인관계 변화연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3(4), 17- 24.

14.

오선민 (1999). 사회적 기술 훈련이 대학생의 분노감소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수정, 이윤호, 서진환 (2000). MMPI점수로 본 교도소 수형자들의 정신건강문제 실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19, 43-63.

16.

이 영 (2004). 청소년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7.

이철호, 이민규 (2005). 교도소 수용자를 위한 분노조절프로그램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40-41.

18.

이철호, 이민규 (2006). 교도소 수형자의 성격특성과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0(1), 77-90.

19.

이철호, 이민규, 하미옥, 표현정, 지은진, 장혜련, 김혜민, 이미령 (2006). 성폭력가해자 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대회, 54-255.

20.

임소영 (2000). 비행청소년을 위한 분노조절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임태숙 (1992). 분노통제훈련이 비행청소년의 분노 및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장현갑, 윤병수, 서현정 (1997).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 영남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학생연구, 제28호, 193-269.

23.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1997). 한국판 STAXI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1), 60-78.

24.

전병재 (1974).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

25.

정유희, 안창일 (2004). 성별, 재범여부, 범죄유형에 따른 수형자의 NEO-PI-R반응.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3(3), 725-740.

26.

천성문, 이영순, 이현림 (2000).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2(1), 53-82.

27.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5). 분노조절프로그램.

28.

홍성열(2002). 범죄인의 4가지 공통심리. 교정연구, 제17호, 271-288.

29.

홍성열(2005). 범죄심리학. 학지사.

30.

Anderson, D. B. (1981). The relationship between correc- tion education and parole success. Journal of Offender Counseling, Services, and Rehabilitation, 5, 13-25.

31.

Anderson, C. A., & Anderson, D. C. (1994). Ambient temperature and violent crime:Test of the linear and curvilinear hypothe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91-97.

32.

Bush, J., Glick, B., & Taymans, J. (1997) Thinking for a Change:Integrated Cognitive Behavior Change Program. The National Institute of Corrections(NIC).

33.

Cascardi, M., Vivian, D., & Meyer, S. (1991). Context and attributions for marital violence in discordant couples. Poster presented at 25th Annual Convention of the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Behavior Therapy, New York.

34.

Deffenbacher, J. L., Oetting, E. R, & DiGiuseppe, R. A. (2002). Principle of empirically supported interven- tions applied to anger management. The Counselling Psychologist, 30, 262-280.

35.

DiGiuseppe, R. & Tafrate, R. C. (2003). Anger treatment for adults: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 chology:Science and Practice, 10, 70-84.

36.

Dobash, R. E., & Dobash, R. P. (1984). The nature and antecedent of violent events.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24, 269-288.

37.

Forgays, D. G., Forgays, D. K., & Spielgerber, C, D. (1997). Factor structure of the state-trait anger ex- 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 ment, 69(3), 497-507.

38.

Friendship, C., Blud, L., Erikson, M., Traver, R., & Thornton, D. (2003). Cognitive-behavioural treat- ment for imprisoned offenders:An evaluation of HM Prison Service's cognitive skills programmes. Legal and Criminological Psychology, 8, 103-114.

39.

Gullone, E., Jones, T., & Cummins, R. (2000). Coping style and prison experience as predictors of psycho- logical well-being in male prisoners. Psychiatry, Psychology, and law, 7(1), 170-181.

40.

Hazaleus, S. L., & Deffenbacher, J. L. (1986). Relaxation and cognitive treatments of anger. Journal of cou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 222-226.

41.

Hollin, C. R. (2004). The essential Handbook of Offender Assessment and Treatmen. John Wiley & Sons Ltd.

42.

Howell, K., Day, A., Williamson, P., Bubner, S., Jauncey, S., Parker, A., & Heseltine, K. (2005). Brief anger management programs with offenders:outcomes and predictors of change. The Journal of Forensic Psychiatry & Psychology, 16(2), 296-311.

43.

Lewis, D. M. (2000). Responding to a violent incident:physical restraint or anger management as thera- peutic intervention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 57-63.

44.

Novaco, R. (1975). Anger control: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xperimental treatment. Lexington, MA:Lexington Books.

45.

Oser, C. B. (2006). The Criminal Offending Self-Esteem Nexus:Which Version of the self-esteem theory is supported. The Prison Journal, 86, 344-363.

46.

Ross, R. R., Fabiano, E. A., & Ewles C. D. (1988). Reasoning and Rehabili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32, 29-36.

47.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ce self- 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48.

Robinson, D., & Porporino, F. J. (2004). Programming in cognitive skills:the reasoning and rehabilitation programme. In C. Hollin(Ed.), The Essential Hand- book of Offender Assessment and Treatment, 63- 77. John Wiley & Sons Ltd.

49.

Vecchio, T. D., & O'Leary, K. D. (2004). Effective of anger treatments for specific anger problems: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 15-34.

50.

Welsh , W. N., & Gordon, A. (1991). Cognitive mediators of aggression:Test of a causal model.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18, 125-145.

51.

Wilson, D. B., Bouffard, L. A, & Mackenzie, D. L. (2005). A Quantitative review of structured, group-oriented, cognitive-behavior programs for offender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2(2), 172-20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