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범죄행위와 관련하여 지각되는 보상과 부담

Perceived Rewards and Costs Relevant to the Criminal Conduc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8, v.22 no.2, pp.93-112
최승혁 (경기대학교)
김시업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사람들이 어떤 특정 범죄유발상황에 처했을 때, 개인들은 어떤 형태로든지 자신의 행위결과에 뒤따르는 보상과 부담들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고 생각되는 의사결정을 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개인들이 지각하는 보상과 부담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목록들을 찾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Bouffard(2002, 2007)가 제안하고 검증한 피험자 산출(subject-generated) 기법을 응용하여, 과거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범죄유형인 폭행ㆍ방화ㆍ살인과 관련된 가설적인 범죄유발 시나리오를 대학생 370명(남성 169명, 여성 201명)에게 제시 한 후, 이에 대한 보상과 부담 목록들을 기술하게 하여 다양하고 구체적인 목록들을 찾아냈다. 연구 결과 산출된 보상과 부담 목록들은 다중응답 빈도분석되었고, 가장 빈번히 응답된 목록들은 다음과 같다 : '자존심'(폭행 보상), '그와 같은 사람이 되는 것'(폭행 부담); '화풀이'(방화 보상), '달라질 것 없음'(방화 부담); '화풀이'(살인 보상), '죄책감'(살인 부담). 또한, 빈번히 응답된 목록들에 대해서는 성별, 나이, 범죄실행가능성에 따라 보고될 가능성을 탐색해 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실시되었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른 독립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사회적 지지'(폭행 보상)를 보고할 가능성은 여성들에 비해 남성들이 더 높았고, '법적 처벌'(폭행 부담)을 보고할 가능성은 나이가 많을수록 더 감소했다, '사회원망'(방화 보상)을 보고할 가능성은 나이가 많을수록 더 감소했다, '자기 목숨 보호'(살인 보상)를 보고할 가능성은 범죄실행 가능성을 크게 지각할수록 더 감소했고, '죽일 용기가 안 남'(살인 부담)을 보고할 가능성은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해 더 적었다. 각 범죄의 보상과 부담 목록들은 PIC-R의 조망에 기초하여 분석되어졌다. 이에 더해 합리적 선택이론의 분석과 본 연구의 분석이 비교되어졌다.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그리고 범죄예방과 범죄자 처우에 관한 정책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keywords
범죄, 보상과 부담, 합리적 선택이론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o find more detailed and realistic items about any perceived rewards and costs under the assumption that people had a consider pros and cons from any of their behavioral outcomes, that decision-making process was about benefiting themselves, when people were placed within a specific criminogenic situation. The method in this study was applied a 'subject-generated' technique that was proposed and demonstrated by Bouffard(2002, 2007), presented a hypothetical criminogenic scenario relevant to violence, arson, and homicide to 370(169 male, 201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discovered various detailed items about their own costs and rewards of the criminal conduct. Multiresponse frequency analysis of their response was done. The most frequently responded items were : 'self-esteem'(rewards of violence), 'to be bad guys as he'(costs of violence); 'vent one's anger'(rewards of arson), 'be unchanged'(costs of arson); 'vent one's anger'(rewards of homicide), 'guilt feeling'(costs of homicide). Als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frequently responded items were performed to explore the probability of reporting by gender, age, and offending probability level. The probability of reporting of rewards and costs were : 'social support'(rewards of violoence) was higher for male than female, 'legal punishment'(costs of violence) decreased as one became older; 'resentment of society'(rewards of arson) decreased as became older; 'protecting one's own life'(rewards of homicide) decreased as subject have a larger the probability of offending, and 'lack of courage to kill'(costs of homicide) was less males than females. In these results, detailed and realistic items were analyzed by perspective of PIC-R. In addition to this, the analyses of the rational choice theory and this study were compar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of future research, and political implications in crime prevention should be discussed.

keywords
Crimes, Rewards and costs, PIC-R, Rational Choice Theory
투고일Submission Date
2008-04-06
수정일Revised Date
2008-05-2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8-05-2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