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5요인 성격특성과 학업 소진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Burnou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0, v.24 no.1, pp.81-93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1.006
박일경 (고려대학교)
이상민 (고려대학교)
최보영 (고려대학교)
JIN YUANYING (고려대학교)
이자영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성격적 통합 모델에 근거한 5요인 성격특성과 청소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학업소진과의 관계를 밝혀냄으로써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학업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총 447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과 5요인 성격특성을 측정한 후, 다변량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5요인 성격특성 중 외향성, 성실성, 그리고 정서적 안정성이 학업소진의 하위요인인 탈진, 냉담 그리고 학업 무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의 학업소진 중 탈진은 정서적 안정성이, 그리고 냉담과 학업 무능감은 성실성이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학업 소진, 5요인 성격특성, 다변량다중회귀분석, student burnout, Big Five,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Big Five, and to explain which personality factors influenced on academic burnou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47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sub-scales of Big Five inventor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xhaustion, cynicism, and academic inefficacy sub-scales in academic burnout inventory. While exhaus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motional stability, cynicism and academic in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onscientiousne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keywords
학업 소진, 5요인 성격특성, 다변량다중회귀분석, student burnout, Big Five,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참고문헌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09. 10. 21.). 십대 청소년 수면제처방 건수 급증. KBS 뉴스, available from worldwide wep http://news.kbs.co.kr.

2.

권도원 (2001). 사춘기의 블랙홀 청소년 우울증. 서울: 주간동아.

3.

김봉진 (2002). 중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과 건강행위 실천정도.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종주 (1990). 서울: 하나의학사.

5.

김기환, 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27-152..

6.

박명선 (2002). 완벽주의 성향과 시험불안,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일경 (2009). 성격 5요인과 학업소진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현숙 (2008). 놀이치료자의 5요인 성격특성이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송선희, 하대현, 최형주 (2004). 내․외재 동기유형과 Big-five 성격요인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0(1), 125-150.

10.

신소정 (2008). 교사의 소진과 5요인 성격 특성과의 관계. 경성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안현의, 김동일, 안창규 (2006). NEO 아동 및 청소년 성격검사의 해석과 활용. 서울: 한국가이던스.

12.

오미향 (1993).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 훈련의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오미향, 천성문 (199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15, 63-96.

14.

원호택, 이민규 (1987). 고등학교 재학생의 스트레스. 한국임상심리학회지, 6(1), 33-41.

15.

유수현 (1996). 청소년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사회학적접근. 연세사회지연구, 3, 121-139.

16.

윤은주 (2007). 상담자의 소진(burnout)에 대한 체험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윤진 (1993). 청소년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방향. 청소년학 연구, 1(1), 17-26.

18.

이경희 (1995).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관용, 김기중, 김순화 (1987). 효과적 스트레스 대응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9, 65-76.

20.

이명희 (1989).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장애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영란 (2006). 상담자의 소진(burnout)과 5요인 성격특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영복 (2009). 청소년의 학업 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영복, 이상민, 이자영 (2009).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 15(3), 59-78.

24.

이유미 (1995).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인지적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자영, 남숙경, 박희락, 김동현, 이미경, 이상민 (2008). 상담경력과 상담자소진과의 관계: 한국과 미국상담자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23-42.

26.

이지현 (200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희자 (2007). 대입 수험생의 입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혜영 (1995). 학력주의와 삶. 한국청소년 연구, 20. 30-45.

29.

정은주 (2000).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와 학업성적 및 정신건강의 관계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조학래 (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사회복지연구, 4, 186-210.

31.

최윤자 (2003).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내외통제성 및 완벽주의 성향간의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통계청 (2009). 청소년통계. 서울: 저자.

33.

한윤영 (2003). 5요인 성격특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4.

한태영 (2005). 청소년의 학교 장면 스트레스: 성격 및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177-197.

35.

홍영수 (2004). 청소년의 자상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그에 대한 문제해결능력의 완충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0, 7-33.

36.

홍종호 (2002). 완벽주의 성향이 시험불안자의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황정규 (1990). 한국학생의 스트레스 측정과 형성.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대논총 41, 25-66.

38.

Bakker, A. B., Van Der Zee, K. I., Lewig, K. A., & Dollard, M. F.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burnout: A study among volunteer counselor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6(1), 31-50.

39.

Buss, A. H. (1989). Personality as traits. American Psychologist, 44, 1378-1388.

40.

Cherniss, C. (1980). Professional burnout in the human services organizations. New York: Praeger Publishers.

41.

Deary, I. J., Watson, R., & Hogston, R. (2003). A longitudinal cohort study of burnout and attri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bced Nutsing, 43(1), 71-81.

42.

Eastburg, M. C., Williamson, J. W., Gorsuch, R., & Ridley, C. (1994). Social

43.

Edgar, B. (2008). Well-being and performance in academic settings: The predicting role of self-efficacy, Universitat Jaume I, Castellón (Spain), support, personality and burnout in nurs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4, 1233-1250.

44.

Farber, B. A., & Heifetz, L. J. (1982). The process and dimensions of burnout in psychotherap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 Practice, 13, 293-301.

45.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 3(1), 159-165.

46.

Freudenberger, H. J. (1980). Burnout: The high cost of achievement. Garden City, New York: Anchor.

47.

Gan, Y., Shang, J., & Zhang, Y. (2007). Coping flexibility and locus of control as predictors of burnou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5(8), 1087-1098.

48.

Goldberg, L. R. (1992).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Psychological Assessment, 4, 26-42.

49.

Hendriks, A. A. J., Hofstee, W. K. B., & De Raad, B. (1999). The Five-Factor Personality Inventory(FFPI).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7, 307-325.

50.

Hu, Q., & Scaufeli, W. B. (2009). The factorial validit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net survey in China. Psychological Reports, 105, 394-408.

51.

Huebner, E. S., & Mills, L. B. (1994). Burnout in school psychology: The contribution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role expectations. Special Services in the school, 8, 53-68.

52.

Jacobs, S. R., & Dodd, D. K. (2003). Student burnout as a function of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workload.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4(3), 291-303.

53.

Kottler, J. A. (1993). On being a therapist (2nd.). San Francisco, Co: Jossey-Bass.

54.

Lee, J., Puig, A., Kim, Y. B., Shin, H. J., & Lee, S. M. (in press). Academic burnout profiles in Korean adolescent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55.

Lee, M. (1994). Cultural differences in the daily manifestation of adolescent depression: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and Korean high school senior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56.

Lee, M., & Larson, R. (2000). The Korea examination hell: Long hours of studying, di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2), 249-271.

57.

MaCare, R. R., & Costa, P. T. Jr. (1986). Personality, coping and coping effectiveness in an adult samole. Journal of Personality, 54, 385-406.

58.

Maslach, C., & Pines, A. (1977). The burnout syndrome in the day care setting. Child Care Quarterly, 6(2), 100-101.

59.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60.

Maslash, C. (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New York: Prentice Hall.

61.

Maslach, C., & Schaufeli. W. B. (1993). Historical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burnout. In W. B. Schaufeli (Ed.)..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pp.1-18). Washington, D.C.: Taylor and Francis.

62.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63.

McCarthy, M. P., Pretty, G. M., & Catano, V. (1990).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student burnout.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1, 211-216.

64.

McConnell, E. A. (Ed.). (1982). Burnout in nursing profession. St. Louis, MO: Mosby.

65.

Meier, S. T., & Schmeck, R. R.(1985). The burnout college student: A descriptive profile.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26, 63-69.

66.

Mills, L. B., & Huebner, E. S.(1999). A Prospective study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stressors, and burnout among school psychology practition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6(1), 103-120.

67.

Piedmont, R. L. (1993). A longitudinal analysis of burnout in the health care setting: The role of personal dispos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1, 457-473.

68.

Saucier, G. (1994). Separating description and evaluation in the structure of personality attribu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141-154.

69.

Schaufeli, W. B., Martez, I. M., Marques Pinto, A., Salanova, M., & Bakker, A. B.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70.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Boston, MA: Allyn & Bacon.

71.

Zellars, K. L., & Perrewe, P. L., & Hochwarter, W. A. (2000). Burnout in health care: The role of the five factors of personal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0(8), 1570-159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