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대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진로결정몰입의 관계: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nd Commitment to Their Career Choices: The Mediation Effect of Ego Identit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5, v.29 no.1, pp.45-64
https://doi.org/10.21193/kjspp.2015.29.1.003
민지애 (가톨릭대학교)
유금란 (가톨릭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진로결정몰입의 관계를 자아정체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강원, 제주 지역의 대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진로결정몰입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몰입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몰입의 수준이 높았고,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몰입의 수준이 높았다. 셋째, 자아정체감은 대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진로결정몰입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parent-student communication, ego identity, commitment to career choices,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진로결정몰입

Abstract

In this study, I have sought to explore the linkages among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ego identity, and commitment to their career choices. In particular, I have investigated whether college students’ ego ident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nd commitment to their career choices. To test my arguments, I have conducted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from Seoul, and Gangwon and Jeju provinces. A final sample includes 308 students from the above regions. For my analysis, I have employe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18.0. Additionally, I have conducted the Sobel test to test a mediation effect. I have found the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student communication, college students’ commitment to their career choices, and college students’ ego identity. Second, I have found the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tudent communication and college students’ commitment to their career choices, between college students’ ego identity and commitment to their career choices. Finally, I have found that college students’ ego ident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tudent communication and college students' commitment to their career choices. I have discussed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in the final section.

keywords
parent-student communication, ego identity, commitment to career choices,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진로결정몰입

참고문헌

1.

김성일, 김남희 (200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의사소통 유형과 자아 정체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4(1), 75-89.

2.

김영애 (2010). 사티어의 빙산의사소통방법.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3.

김원선 (1989). 진로성숙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창대 (2002). 몰입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 모형. 청소년상담연구, 10(1), 5-30.

5.

김순미 (2009).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진로결정몰입 및 진로탐색행동의 구조 관계분석.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6.

김지근, 이기학 (2011).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진로결정에의 몰입의 모형 검증: 자기성장주도성과 환경에 대한 진로탐색행동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을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2(1), 81-97.

7.

김봉환, 이제경, 유현실, 황매향, 공윤정, 손진희, 강혜영, 김지현, 유정이, 임은미, 손은령(2010). 진로상담이론-한국내담자에 대한 적용. 학지사.

8.

김태연 (2011). 중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성격요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희수, 홍성훈, 윤은종 (2005). 청소년이 지각한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6(2), 37-65.

10.

민하영 (1991). 청소년 비행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민혜영 (1990). Circumplex Model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청소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2.

박아청 (2005). 청년과 아이덴티티. 박영사.

13.

박아청 (2010). 에릭슨의 인간이해. 교육과학사.

14.

박아청 (2003).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의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학연구, 17(3). 373-392.

15.

박은선 (2008). 아버지 애착과 지지가 대학생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염미화 (2008).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초등학생의 내외통제성,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현림, 김순미 (2007).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지각된 부모 지지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영향. 직업교육연구, 26(3), 25-43.

18.

이현주 (2008). 개인적 특성과 진로정체감간 관계에서 진로탐색활동수준의 효과: 일부 지역소재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1(3), 119-135.

19.

이현주 (2009). 대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성역할태도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5(3), 79-102.

20.

이현주 (2008). 대학생의 성별 및 사회불안 수준에 따른 진로개방성, 진로탐색활동, 진로정체감의 차이. 교육학연구, 46(1), 79-99.

21.

이지민 (2009)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청소년의 학교적응간의 관계구조. 한국생활과학지, 18(5), 1021-1032.

22.

정진선 (2009). 가족응집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수정 (2007).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몰입과 가족변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최수정, 정철영 (2007).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진로결정 몰입과 가족변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2), 161-183.

25.

최동선, 정철영 (2003).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동기요인 및 애착의 관계분석. 직업교육연구, 22(1), 115-143.

26.

통계청 (2013). 청년들의 직업선택요인.

27.

통계청 (2014). 경제활동 인구조사.

28.

한국교육방송공사 (2011). 다큐프라임. 나는 꿈꾸고 싶다.

29.

허보연, 김봉환 (2012). 개념도 방법을 통한 여자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탐색. 한국상담심리학회, 24(3), 621-639.

3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1.

Barbara, D. Hillaker, Holly, E. Brophy-Herb, Francisco, A. Villarruel, & Bruce, E. Haas. (2008). The Contribution of Parenting to Social Competencies and Positive Values in Middle School Youth: Positive Family Communication, Maintaining Standards, and Supportive Familiy Relationships. Familiy Relations, 57(5), 591-601.

32.

Barnes, H., & Olso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Minesota: University Of Minesota Press

33.

Blau, G. L. (1988). Further exploring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2, 284-297.

34.

Blustein, D. L. (1988). A canonical analysis of career choice crystalization and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 297-300.

35.

Blustein, D. L. (1989). The role of career exploration in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0, 111-117.

36.

Blustein, D. L., Ellis, M. V., & Devenis, L. E. (1989).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wo- dimensional model of the commitment to career choices pro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5, 342-378.

37.

Carl R. Rogers. (2009). 진정한 사람되기. 주은선 역. 학지사.

38.

David. L. Blustein, Luanna. E. Devenis, & Barbara A. Kidney. (1989).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36(2), 196-202.,

39.

Dietrich, J., & Kracke, B. (2009). Career-specific parental behaviors in adolescents'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Available online 28.

40.

Donna J. Scott & A. Timoyhy Church. (2001). Seperation/Attachment Theory and Career Decidedness and Commitment: Effects of Parental Divor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8, 328-347.

41.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42.

Foqua, D. R., & Hartman, B. W. (1983).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Personal And Guidance Journal, 62, 27-29.

43.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119-133.

44.

Jordaan, J. P. (1974). Career commitment scale. Unpublished research sale.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45.

Jordaan, J. P., & Heyde, M. B. (1979). Vocational maturity during the high school years. New york:Teachers College Press.

46.

Marcia, J. E. (1993). The relational roots of identity. In J. kroger (Ed.), Discussions on ego identity.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7.

Mitchell, Stephen A., & Black, Margaret J. (2002). 프로이트 이후. 이재훈, 이해리 역. 한국심리치료연구소.

48.

Mihaly Csikszentmihalyi. (2010). 몰입의 재발견. 김우열 역. 한국경제신문.

49.

Paul Schrodt. (2005). Family Communication Schemata and the Circumplex Model of Family Functioning. Western Joural of Communication, 69(4), 359-376.

50.

Savikas, M. L. (1985). Identity in voc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7, 329-337.

51.

Super, D. 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

52.

Tideman, D. V., & O'Hara, R. P. (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 and adjustment. New York: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53.

Waterman, A. S. (1985). Identity in the context of adolescent psychology. In A. S. Waterman(Ed.),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54.

Whiston, S. C., & Keller, B. K. (2004). The influence of the family of origin on career development: A review and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2, 493-56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