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성별과 나이에 따른 성폭력 인식의 차이

The Effect of Gender and Age on the Perception of Sexual Violenc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5, v.29 no.1, pp.65-81
https://doi.org/10.21193/kjspp.2015.29.1.004
이선경 (고려대학교)
허용회 (고려대학교)
박선웅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나이대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성별과 나이가 성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 260명(여성 = 133명)의 성인들로 구성되었으며, 나이의 분포는 20세에서 69세(M = 41.39, SD = 11.20) 사이였다. 연구 참여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성관계 발생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구성된 가상적 성폭력 시나리오 중 하나를 읽고, 성폭력 인식과 관련된 5개의 문항(여성 거절의 진심, 여성의 불쾌감, 여성의 성적 만족, 남성 행동의 폭력성, 남성 행동의 남성성)에 답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서 성별과 성관계 여부 간, 그리고 나이와 성관계 여부 간의 이원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에 비해 남성이, 나이가 적은 사람에 비해 많은 사람이 성폭력에 대해 더 관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강간통념, 성역할 고정관념 등의 성폭력 인식 관련 척도 간의 관계성을 검토하거나 사법적 관점에서 책임 혹은 양형 판단을 측정하였던 기존 연구와 달리 연구 참여자들에게 성폭력 시나리오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여 일반적인 성폭력 인식을 측정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는다.

keywords
sexual violence, dating rape, gender difference, age difference, 성차, 나이차, 성폭력 인식, 데이트 성폭력

Abstract

We investigated how gender and age affect the perception of sexual violence. Participants whose age ranged from 20 to 69 read one of two scenarios about a dating couple. In one scenario, the man had sex with the woman against the woman's will at the end of the story. In the other scenario, the man did not attempt to have sex once realizing that the woman did not want to have sex. Participants then answered the following five items regarding the two characters in the scenario: sincerity of woman’s refusal, woman’s unpleasantness, woman’s sexual satisfaction, man’s violence, and man’s masculinity. There were several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 gender and condition, and between participant age and condition. It was found that male and old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han their counterparts to score low on sincerity of woman’s refusal, woman’s unpleasantness, and man’s violence, and score high on woman’s sexual satisfaction and man’s masculinity in the sex condition. No meaningful pattern was found in the no sex condition.

keywords
sexual violence, dating rape, gender difference, age difference, 성차, 나이차, 성폭력 인식, 데이트 성폭력

참고문헌

1.

경찰청 (2013). 2013 범죄통계.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197에서 2014, 10, 27 자료 얻음.

2.

고재홍, 지영단 (2002). 청소년의 음란물 접촉과잘못된 강간통념 수용 간의 매개변인과 조정변인의 역할. 청소년상담연구, 10, 87-105.

3.

고혜리 (2007). 남녀 대학생의 성폭행 사건 지각 차이에 대한 분석: 성역할 고정관념과 강간통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명소, 한영석, 이헌주 (2006). 한국 여성의 페미니즘 성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차이 및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83-105.

5.

김복태 (2001). 성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공감능력 및 성폭력 사건 지각의 차이. 전북대학교석사학위 논문.

6.

김상원 (1998). 한국 여성의 성 의식에 관한 계층별 비교 연구. 경기교육논총, 7, 5-72.

7.

김선영 (1989). 강간에 대한 통념의 수용에 관한 연구: 경찰, 의사, 교사, 법조인, 상담원, 언론인을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성우 (2011). 대구지역 전문대학생들의 성폭력인식도 및 성교육이 성폭력 대처에 미치는관련요인.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12(2), 13-27.

9.

김영미 (2011). 데이트 상황에 대한 성적 의도 평정의성별 차이.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김은경, 엄애선 (2010). 가정폭력 목격이 자녀의데이트 성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성역할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759-777.

11.

김은지, 박지선 (2011).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 성역할에 대한인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법정, 2(2), 171-183.

12.

김재엽, 이순호, 최지현 (2011). 성인남성의 음란물 집착, 강간통념 수용과 성폭력 가해의 관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8(단일호), 65-92.

13.

김정인, 손영미, 김효창 (2006). 성별 및 성희롱경험에 따른 성희롱 통념과 성역할 관련 태도들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4), 377-397.

14.

김한균 (2013). 개정형법상 강간죄 및 유사강간죄 해석․입법론. 형사법연구, 25(3), 81-103.

15.

남현미 (2003). 대학생 데이트성폭력 실태와 가해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박 경 (2008). 과잉 남성성과 성적 공격성간의관계: 공감 및 강간통념의 중재 및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519- 536.

17.

박선미, 송원영 (2012). 성폭력에 대한 통념과 성관련 경험이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2), 265-280.

18.

박유정 (2000). 대학생의 성고정관념과 성역할정체감및 자기의식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배지선 (2003). ‘성폭력’ 개념 확장과 ‘성폭력’ 경험 인식 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백선미 (2005).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서현지 (2011). 성폭력피해자의 귀인성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성주의 (2002). 대학생들의 성관련 태도와 정보출처에대한 분석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신상숙 (2001). 성폭력의 의미구성과 ‘성적 자기결정권’의 딜레마. 여성과 사회, 13, 6-43.

24.

신혜선 (2003). 직장내 성희롱 인식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심정신, 이영숙, 오숙희 (2012). 대학생의 성역할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 및 성폭력 허용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8(2), 117-125.

26.

안옥희, 박인전 (1993). 도시주부의 성역할 태도와 가정관리에 대한 가치의식이 가사노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1(4), 1-21.

27.

양동옥, 국혜윤, 백현경, 윤가현 (2012). 참가자의성별, 피해 여성의 옷차림 종류와 음주량 수준에 따른 성폭력 책임 귀인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323-345.

28.

오숙희, 강희순, 김윤희 (2010). 남․녀 대학생의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2), 249-257.

29.

유재두 (2009). 성범죄자의 성역할 고정관념에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5(2), 149-182.

30.

윤병해, 고재홍 (2006).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1-19.

31.

윤 진, 양승연, 박병금 (2012). 가정폭력경험, 가부장적 성역할 태도, 열등감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6), 79-107.

32.

이건호, 강혜자 (2005).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태도 및 음란물 접촉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3), 23-40.

33.

이석재, 최상진 (2001). 강간통념수용도에 따른성행동, 성폭력 및 성폭행사건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1), 97-116.

34.

이은숙, 강희순 (2014).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 경험. 동서간호학연구지, 20(1), 48-56.

35.

이인숙 (2013). 대학생들의 인터넷 음란물 추구성과 성폭력(강간) 통념 수용 태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6), 2852-2861.

36.

이지연, 이은설 (2005).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피해와 가해에 대한 설명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265-282.

37.

이지혜, 박우현, 이수정 (2014). 성폭력사건의피해자 요인이 배심원 양형판단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2), 25-40.

38.

임성문, 박갑제 (2013). 자기애와 성폭력의 관계:경로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1), 45-68.

39.

임수진 (2012). 부모와의 애착이 청소년의 성폭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347-361.

40.

임채영, 정소영, 이명신 (2010). 대학생의 폭력인식이 데이트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5, 147-179.

41.

장윤경 (2002). 데이트 성폭력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2.

장윤경 (2006). 유형별 성폭력: 데이트, 스토킹. 한국성폭력상담소 발간 자료. 148-154.

43.

정순둘, 배은경, 최혜지 (2012). 세대별 부양의식및 성역할인식 유형. 한국가족복지학, 17(2), 5-23.

44.

정진경 (1990). 한국 성역할 검사.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5(1), 82-92.

45.

조현빈 (2006). 성폭력과 성폭력 피해자 심리의이해. 한국범죄심리연구, 2(2), 39-59.

46.

한국성폭력상담소 (2013). 2013년 한국성폭력상담소 상담통계현황. http://www.sisters.or.kr/index.php/subpa ge/pds/1에서 2014, 10, 27 자료 얻음.

47.

호선민 (2009). 남․녀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성행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8.

Abbey, A., McAuslan, P., & Ross, L. T. (1998). Sexual assault perpetration by college men: The role of alcohol, misperception of sexual intent, and sexual beliefs and experience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7(2), 167-195.

49.

Burt, M. R. (1980). Cultural myths and supports for ra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2), 217-230.

50.

Bushman, B. J., Bonacci, A. M., Van Dijk, M., & Baumeister, R. F. (2003). Narcissism, sexual refusal, and aggression: Testing a narcissistic reactance model of sexual coerc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5), 1027-1040.

51.

Check, J. V., & Malamuth, N. M. (1983). Sex role stereotyping and reactions to depictions of stranger versus acquaintance ra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2), 344-356.

52.

Cooper, J. (1976). Deception and role playing: On telling the good guys from the bad guys. American Psychologist, 31(8), 605-610.

53.

Darroch, R. K., & Steiner, I. D. (1970). Role playing: An alternative to laboratory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38(2), 302-311.

54.

Feild, H. S. (1978). Attitudes toward rape: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e, rapists, crisis counselors, and citize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2), 156-179.

55.

Glick, P., & Fiske, S. T. (1996).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3), 491-512.

56.

Glick, P., & Fiske, S. T. (2001). An ambivalent alliance: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s complementary justifications for gender inequality. American Psychologist, 56(2), 109-118.

57.

Jackson, S. M., Cram, F., & Seymour, F. W. (2000). Violence and sexual coercion in high school students'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Violence, 15(1), 23-36.

58.

Johnson, B. E., Kuck, D. L., & Schander, P. R. (1997). Rape myth acceptanc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multidimensional analysis. Sex Roles, 36(11-12), 693-707.

59.

Jones, D. N., & Olderbak, S. G. (2014). The associations among dark personalities and sexual tactic across different scenario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9(6), 1050-1070.

60.

Kaura, S. A., & Lohman, B. J. (2007).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mental health problems, and acceptability of violence: A comparison of men and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22(6), 367-381.

61.

Kopper, B. A. (1996). Gender, gender identity, rape myth acceptance, and time of initial resistance on the perception of acquaintance rape blame and avoidability. Sex Roles, 34(1-2), 81-93.

62.

Koss, M. P., & Gaines, J. A. (1993). The prediction of sexual aggression by alcohol use, athletic participation, and fraternity affiliatio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8(1), 94-108.

63.

Krulewitz, J. E. (1981). Sex differences in evaluations of female and male victims' responses to assault.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1(5), 460-474.

64.

Maynard, C., & Wiederman, M. (1997).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child sexual abuse: Effects of age, sex, and gender-role attitudes. Child Abuse & Neglect, 21(9), 833-844.

65.

Muehlenhard, C. L., & Linton, M. A. (1987). Date rape and sexual aggression in dating situations:Incidence and risk fac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4(2), 186-196.

66.

Raffaelli, M., & Ontai, L. L. (2001). ‘She's 16 years old and there's boys calling over to the house’:An exploratory study of sexual socialization in Latino families. Culture, Health & Sexuality, 3(3), 295-310.

67.

Shearer, C. L., Hosterman, S. J., Gillen, M. M., & Lefkowitz, E. S. (2005). Ar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ssociated with risky sexual behavior and condom-related beliefs? Sex Roles, 52(5-6), 311-324.

68.

Shtarkshall, R. A., Santelli, J. S., & Hirsch, J. S. (2007). Sex education and sexual socialization:Roles for educators and parents.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39(2), 116-119.

69.

Xenos, S., & Smith, D. (2001). Perceptions of rape and sexual assault among Australia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6(11), 1103-111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