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는 사회 연계망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중독 경향자의 온라인 자기개방이 외현적 및 암묵적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 경향 척도를 실시하여 SNS 중독 경향 집단과 SNS 저사용 집단으로 나누고, 온라인 자기개방 설문 점수를 반분하여 SNS 중독 경향-고자기개방 집단(High addiction-High disclosure: HH) 30명, SNS 중독 경향-저자기개방 집단(High addiction-Low disclosure: HL) 30명, SNS 저사용 집단(Low addiction-Null: LN) 28명으로 총 88명을 선별하였으며, 암묵적 자존감 연합검사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암묵적 및 외현적 자존감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LN 집단에 비해 HL 집단의 암묵적 자존감은 낮았으며 외현적 자존감에선 차이가 없었다. 반면 LN 집단에 비해 HH 집단의 외현적 자존감은 낮았으며 암묵적 자존감에선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SNS 중독 경향-저자기개방 집단에서 낮은 암묵적 자존감을 특징으로 하는 방어적 자존감 특성을 확인한 반면 SNS 중독 경향-고자개개방 집단에서는 낮은 외현적 자존감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자존감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SNS 중독 경향자의 온라인 자기개방과 자존감의 하위 유형 간 차별적인 패턴을 보았고, SNS의 자기개방 수준과 자존감 유형을 고려하여 SNS 중독 예방에 효과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on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according to users’ self-disclosure levels. 294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with 88 SNS users selected and assigned to high-addiction and low-addiction groups, each having scored above or below 15%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Measured by Online Self-Disclosure Questionnaires,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into an SNS high-addiction / high-disclosure group (HH; N = 30), an SNS high-addiction / low-disclosure group (HL; n=30), and an SNS low-addiction control group (LN; N = 28; control). A Self-Esteem Implicit Association Test and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were both used, finding that the HL group showed lower implicit self-esteem compared to the L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licit self-esteem. Meanwhile, the HH group showed lower explicit self-esteem compared to the LN,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licit self-esteem. Individuals with SNS addiction tendencies, avoiding self-disclosure, showed defensive self-esteem characterized by low implicit self-esteem. Those who frequently disclosed themselves on SNS showed fragile self-esteem, characterized by low explicit self-esteem. This study confirms the differential effect of self-disclosure among SNS addiction tendencies, accounting for subtypes of self-esteem, and calls for intervention concerning defensive and fragile self-esteem.
선행 연구에 따르면 유머는 부정적 생애사건이 정신 및 신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완화해준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종단연구의 기간이 3개월 이하이며, 유머가 다른 스트레스 조절변인들과 독립적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년 간격의 종단연구를 통해 부정적 사건의 악영향에 대한 유머의 완화효과가 대표적 스트레스 조절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낙관성의 효과와는 독립적인지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1년 동안 일어났던 부정적 주요생애사건이 여덟 개 정신 및 신체 건강 지표(주관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부정 정서, 스트레스, 우울, 신체 증상, 체중)에 미치는 악영향과 그에 대한 유머의 완화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정적 사건의 영향을 받는 여섯 개 지표(주관적 안녕감, 부정 정서, 스트레스, 우울, 신체 증상, 체중) 중 우울을 제외한 다섯 개 지표에서 유머의 완화효과가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나 낙관성을 통제해도 이 결과는 변함이 없었다. 이는 유머가 사회적 지지, 낙관성과는 독립적으로 스트레스 조절효과를 보이며 그 효과가 상당 기간 지속됨을 시사한다.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humor buffers the adverse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s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A closer look at the literature, however, reveals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research: 1) The evidence for the stress-buffering effect of humor is inconsistent; 2) The time period of the extant longitudinal studies is not more than three months; 3) and whether humor works independently of other stress-buffering variables has never been test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rough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whether humor buffers the adverse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s independently of social support and optimism, representative variables of stress-buffering. More specifically, with 244 undergraduate participants, it was investigated whether negative major life events for the past one year adversely affect eight mental and physical health variables (subjective well-being, 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tress, depression, physical symptoms, and weight) and whether humor buffers the adverse effects.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e adverse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s on six mental and physical health variables (subjective well-being, negative affect, stress, depression, physical symptoms, and weight) and the buffering effect of humor on the five mental and physical health variables except depression among the six. Controlling for social support or optimism in the regression analyses did not change the result. This finding suggests that humor buffers stress independently of social support and optimism, and that the effect last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본 연구에서는 범죄 유형별로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판단이 참가자들의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323명(여성 179명, 남성 144명)을 연령에 따라 네 집단(20대, 30대, 40대, 50대)으로 나눈 후, 강간과 폭행 사건을 읽고 각 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비난 및 책임에 대한 판단을 하게 하였다. 또한 양가적 성차별의식과 대인 폭력 허용도를 함께 측정하여 성별과 연령대가 범죄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범죄 유형에 따라서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간 사건에서는 참가자들의 연령대에 따라 피해자 비난에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높은 연령대의 참가자들이 낮은 연령대의 참가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자 비난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가 강간 피해자 비난에 미치는 영향은 적대적 성차별의식에 의해 매개되었다. 반면 폭행 사건에서는 남성 참가자들이 여성 참가자들보다 가해자 비난을 덜 하였으며 이는 대인 폭력 허용도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피해자 비난 등 범죄에 대한 인식에서 성범죄와 비 성범죄를 비교한 최초의 연구이며, 판단자들의 성별뿐만 아니라 연령대에 따른 인식 차이를 함께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blaming the victim and perpetrator by participants’ sex and age in different types of crime. A total of 323 participants(179 female, 144 mal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age(20~29, 30~39, 40~49, 50~59) read a case of rape and assault and rated on victim and perpetrator blaming and perpetrator sentencing. Additionally,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ambivalent sexism scale and acceptance of interpersonal violence scale in order to examine how their ambivalent sexism and acceptance of interpersonal violence affected evaluations of victim and perpetra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blaming victim and perpetrator between rape and assault cases. In a rape case, the age of participants had an effect on victim-blaming, such that the older the participants, the more they blamed the victim. This effect was mediated by hostile sexism. In an assault case, male participants blamed the perpetrator less than female participants did, which was mediated by acceptance of interpersonal violence.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in South Korea that compared judgment toward victim and perpetrator between sexual violence and non-sexual violence, considering participants’ age as well as their s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