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 단축형(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Short Form: BDPI-SF) 개발

Development of short form of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inventory (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21, v.35 no.1, pp.43-67
https://doi.org/10.21193/kjspp.2021.35.1.003
최정욱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한여울 (고려대학교)
박두진 (피비씨지(Psychology based Consulting Group))
최기홍 (고려대학교)
서동기 (한림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의 단축형을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단축형 검사 개발을 위해 원 검사에서 문항을 선별하고, 단축형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단축형 검사 개발을 위해 임상심리전문가와 심리측정전문가가 문항의 변별도와 심각도, 문항 내용을 고려하여 원 검사에서 33문항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 검사는 원 검사에 비해 개별 5요인을 구성하는 문항 수가 적어 내적 일관성 지수와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다소 낮아졌지만, 요인구조 타당도는 원 검사의 모형 적합도보다 향상되었고, 원 검사와 동일한 요인구조가 확인되었다. 단축형 검사의 수렴타당도도 원 검사의 타당도와 유사하였으며, 두 검사 점수의 프로파일도 동일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 단축형은 원 검사와 비교했을 때 문항이 80% 이상 줄었지만, 5요인을 측정함에 있어 정보의 큰 손실 없이 원 검사가 측정하는 성격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5요인 각각에 속한 하위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원 검사를 활용해야 하겠지만, 5요인을 주요 변인으로 하는 연구나 신속한 성격 측정을 위한 임상 장면 등에서는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 단축형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inventory, short form development, item response theory,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 단축형 검사 개발, 문항반응이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hort form of a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inventory(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form in order to develop the BDPI short form,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were examined. A clinical psychologist and psychometrician selected 33 of the 165 original items in light of the item content and parameters(severity and discrimina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generally low. The reason for the low reliability was an insufficient number of items for each factor. The model fit of the short form was better than that of the original form and the short form showed the same factor structure as the original form.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short form was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 form and the profiles of the short form and original form were similar to each other. As a result, although the short form was reduced by 80% from the original form, it was confirmed that the short form generated precise measurement of the same personality traits as the original form does. In order to evaluate the sub-factors belonging to each of the five factors, the original form should be used, but it is thought that the short form will be widely utilized in studies using the five factors as the main variable or in clinical settings for rapid measurements of personality. Finally, in the discussion section, limitations are addressed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further research.

keywords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inventory, short form development, item response theory,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 단축형 검사 개발, 문항반응이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