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창의적 성격용 조건추론검사의 확장: 새로운 정당화 기제 제안 및 타당화

The Extension of the Conditional Reasoning Test for Creative Personality: Suggestion of an Additional Justification Mechanism and Valid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21, v.35 no.1, pp.69-97
https://doi.org/10.21193/kjspp.2021.35.1.004
문혜진 (서강대학교)
엄정혜 (서강대학교)
이혜주 (한동대학교)
장재윤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성격의 암묵적이고 무의식적 측면에 대한 논의와 함께 최근 암묵적인 창의적 성격에 대한 개념이 제기되어왔으나, 암묵적인 창의적 성격에 대한 개념적, 실증적 이해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성격용 조건추론검사(Conditional Reasoning Test for Creative Personality; CRT-CP)에 새로운 정당화 기제(내적 동기 편향)를 추가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먼저, Schoen, Bowler와 Schilpzand(2018)에 의해 개발된 CRT-CP의 다섯 가지 정당화 기제에 대한 검토와 기존 창의성 문헌 리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당화 기제로서 내적 동기 편향을 제안하였다. 내적 동기 편향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조건추론 문항을 개발하였고, 총 240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새롭게 개발된 CRT-내적 동기 편향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외현적 및 암묵적 창의적 성격(CRT-CP)과 외현적 내적 동기와의 수렴타당도와 성실성과의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성취에 대한 CRT-내적 동기 편향과 확장형 CRT-CP의 증분타당도를 각각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RT-CP의 확대 가능성과 CRT-내적 동기 편향의 유용성과 관련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implicit measure, Conditional Reasoning Test, CRT-CP, creative personality, intrinsic motivation, 암묵적 평가, 조건추론검사, CRT-CP, 창의적 성격, 내적 동기

Abstract

The recent call for understanding the implicit and unconscious aspect of personality gave rise to the conceptualization of implicit creative personality. However, to this end, theoretical and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implicit creative personality still lacks.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add a new justification mechanism (the intrinsic motivation bias) to the Conditional Reasoning Test for Creative Personality (CRT-CP; Schoen, Bowler, & Schilpzand, 2018). First, based on the review of the five justification mechanisms included in the CRT-CP and the existing literature on creativity, we introduced the intrinsic motivation bias as an additional justification mechanism of creative people. Building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intrinsic motivation bias, we created the corresponding Conditional Reasoning items. Using a sample of 24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Korea, we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CRT-Intrinsic Motivation Bias with the CRT-CP, the explicitly measured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explicitly measured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we sought for evidence of the divergent validity with the personality trait of conscientiousness. Finally, we tested the incremental validity of the CRT-Intrinsic Motivation Bias and the extended CRT-CP, respectively, in the prediction of creative achievement. We discussed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the potential extension of the CRT-CP and the usefulness of the CRT-Intrinsic Motivation Bia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keywords
implicit measure, Conditional Reasoning Test, CRT-CP, creative personality, intrinsic motivation, 암묵적 평가, 조건추론검사, CRT-CP, 창의적 성격, 내적 동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