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 5,6학년 초등학생 753명을 대상으로 과외학습 실태와 인식을 살펴보았으며 과외학습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 수준과 관련한 심리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을 상위 25%와 하위 25%로 분류하여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과외학습의 실태 및 인식의 차이, 학업 자아개념, 사회적지지 지각, 우울감 등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과외학습에 의한 높은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은 학업 자아 개념과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우울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외학습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경우, 학업 장면에서 학업 불안으로 인한 낮은 학업적 수행감과 우울감을 경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외학습의 시간적인 양과 스트레스가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자신의 학업 능력을 우수하게 인지하거나 학업 성적이 우수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학업 자아개념이 높은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과외학습을 받고 있더라도 자발성이 높고 과외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으며 과외학습에 대한 스트레스는 낮게 지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심리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아동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cademic self-concept, social support evaluation and depression connected with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tress, an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caused by high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tress and to develop an effective plan to decrease negative aspects in th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tress. The survey was done for 753 5th and 6th graders in primary schools in Seoul, Kyounggi & Incheon area, who are participating in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s a resul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high level group and the low level group of th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tress. The high level group showed lower score in the rest of academic self concept and social support, demonstrated high score in the result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is result, children who recognize th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tress highly are apt to have anxiety in the class situation, and emotional depression. Ancova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two groups, in the numbers and hours of extra curricula activities, and in the perception level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onnected with this. This time the control variable was set to academic self-concept which is a predicative indicator for grade point level. In a condition excluding the academic self-concept, namely the class grade, children who spend more time in th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had more higher level of th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tres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tress and to develop an effective plan to decrease negative effect of it. This study shows how to carry out effective intervention for preventing children's psychological problem caused by th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tress.
(1998) 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2002) 학원과외 학습이 아동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002)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와 과외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1999)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가정 및 학교 생활 적응과의 관계,
(1986) 일부 여자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스트레스와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1995) 어머니의 학업 성취압력과 아동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1993) 학업 성취 및 귀인성향과 아동의 우울과의 관계,
(1993) 국민학교 어린이들이 느끼는 스트레스 수준과 자아개념과의 관계연구,
(1997)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2000) 여중생의 학업성적과 학업 자아개념 및 학업 스트레스와의 관계,
(1998)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우울성향 일상적 스트레스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1985) 대학생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일 연구 서울대학교 학생연구,
(1993)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 관계망지지 지각,
(199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서강대학교 성가대학교 상담심리소
(2001) 초등학교 아동이 인식하는 과외스트레스에 대한 조사연구,
(2000)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1991) 학업성취에 미치는 자아개념,
(1995) 부모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양식과 아동이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1999)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 스트레스가 학업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1996) 중학생이 느끼는 스트레스가 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1996)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부적응에 관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1997)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1990)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 개발,
(1986) 한국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과 인지-행동적 상담의 효과,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 문제,
(2000) 가정환경에 따른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에 관한 연구,
(1996) 초중학생의 학업성적 학업자아개념 및 스트레스,
(1962) Self-Concept of ability and School achievement S Office of educ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87) Effect of life Events Experienced by You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Compas,B.E, (1987) Copong with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s,
Coopersmith,S, (1959) A method for determining type of self-esteem,
Furman, (1987) Developmental chang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ir social network, Unpublished paper Univ
House,J.S, (1981) Work stress and support, Addison-Wisley Publishing Co
Jones,J.G.,& Grieneeks,L, (1970) Measures of self-perception as predictors of scholastic achievement,
(1981) Rating scales to aeesee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1983)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 self-rated Depression Scale for School-aged youngsters university of pittsburgh, unpublished Manuscript
(1983) Children under stress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1988) An Exploratory Study of Stressors and Symptoms,
(1964) Age and other correlates of self-concept in children,
(1970) Self-perceptions of pupils in an experimental elementary school,
(1970) Encounter groups, Haper and Row
(1988) A Praspective Study of Stressrul Circumstances Ilness symptoms and Depressed Mood Among Adolescents,
(1969) Personality correlates of academic performance I three dissimilar populations,
(1969) Personality correlates of academic performance I three dissimilar pop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