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신뢰도 및 타당도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6, v.11 no.1, pp.177-190
권선중 (침례신학대학교)
김교헌 (충남대학교)
이홍석 (한림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McCullough, Emmons, 및 Tsang(2002)가 개발한 감사 성향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심리측정적 속성을 분석했다. 먼저 대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와 문항의 속성을 분석하고 내적 일관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다음으로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타당도에 관한 준거관련 증거를 평가했다.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는 미국판의 선행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안정적인 1요인 구조를 보였고 내적 합치도가 높았으며 적절한 준거관련 타당도와 증분 타당도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긍정 심리학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keywords
감사 성향, 신뢰도, 타당도, 주관적/심리적 안녕감, 긍정 심리학, Gratitude Disposition, reliability, validity,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psycholog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GQ-6/ McCullough, Emmons, & Tsang, 2002). GQ-6 is a short, self-report measure of the disposition to experience gratitude. First,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item property are analyzed for 269 university students. Second, criterion-related evidence of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are investigated for 328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 in a similar way as the original version, displays a stable one factor structure and high internal consistency, showing good convergent, discriminant, and incremental validit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sitive psychology.

keywords
감사 성향, 신뢰도, 타당도, 주관적/심리적 안녕감, 긍정 심리학, Gratitude Disposition, reliability, validity,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psychology

참고문헌

1.

스트레스는 무죄? 스트레스를 활용한 성장에 관한 연구 Ⅰ,

2.

(1989) 학생생활연구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4.

(1997) 주관적 안녕 척도,

5.

(2000) 직업선호도검사 실시요강, 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6.

(2005)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7.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8.

(2005)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9.

(2002) 한국판 역기능적 태도척도의 개발,

10.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

11.

(1974) 자아 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12.

(2000) STAI-KYZ, 학지사

13.

(2002) 정서 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14.

(2005)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15.

(1989) Center for World Thanksgiving,

16.

(2003) Attributional style and self-esteem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17.

(2002) Gratitude and the science of positive psychology , Oxford University Press

18.

Emmons,R.A, (2003)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 being in daily life,

19.

Emmons, R. A, (2004) Gratitude, Oxford University Press

20.

Hunsley, J, (2003) The incremental validity of psychological testing and assessment: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statistical issues,

21.

& Julian, Gratitude and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in Vietnam war veterans, in press

22.

Lazarus, (1994)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3.

McCullough, G, (2000) Life events, self-concept, & adolescents' positive subjective wellbeing,

24.

McCullough, M. E, (2002) The grateful disposit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25.

Rosenberg,E.L, (1998) Levels of analysis and the organization of affect,

26.

Ryff, C. D,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ed ,

27.

Scheier,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8.

Seligman, M. E. P,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29.

Seligman, M. E. P,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30.

Tedeschi, R.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